•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regrowth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1초

재증식속도에 의한 상수도 시스템의 세균재증식능 평가 (Assessment of the Bacterial Regrowth Potential in Drinking Water System Using Specific Regrowth Rate)

  • 오정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9-31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탄소원, 질소원 및 인산염 인의 형태별, 농도별 각각 다른 배양조건에 대하여, 세균의 재증식 특성을 기존지표인 BRP(Bacterial regrowth potential)법과 새로운 지표인 세균 재증식속도를 이용하여 비교평가하였다. 기존지표인 BRP법에 의해 평가된 세균재증식능은 유기탄소원의 경우 Glucose를 주입했을 경우가 Acetate 및 Humic acids를 주입했을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질소원에 대해서는 $NH_4^+-N$을 주입한 재증식량이 $NO_2^--N$$NO_3^--N$을 주입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산염 인의 경우, $10\;{\mu}gP/L $ 이하의 매우 낮은 농도범위에서도 급격한 재증식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새로운 지표로써 세균 재증식속도에 의한 평가에서는 유기탄소원에 대해서, Glucose의 경우($0.005{\sim}0.082\;hr^{-1}$)가 Acetate($0.005{\sim}0.068\;hr^{-1}$) 및 Humic acids($0.005{\sim}0.008\;hr^{-1}$)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질소원에 대해서도, $NH_4^+-N$의 경우($0.008{\sim}0.072\;hr^{-1}$)가 $NO_2^--N$($0.008{\sim}0.055\;hr^{-1}$) 및 $NO_3^--N$($0.008{\sim}0.059\;hr^{-1}$)보다 높은 재증식속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평가지표로써 재증식속도에 의해 평가된 결과는 기존지표에 의한 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세균 재증식속도에 의한 재증식능 평가방법은 기존지표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체지표로,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계활성탄과 석탄계활성탄에서의 세균재생장 비교 (Comparison of Bacterial Regrowth on Plant- and Coal-based Granular Activated Carbon)

  • 이동근;박성주;하배진;하종명;이상현;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04-109
    • /
    • 2004
  • 정수용 입상활성탄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으로 사용되는 식물계와 석탄계 활성탄의 미생물 재생장 현상을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해 활성탄 칼럼을 대상으로, 유입수와 유출수 비교와 함께 활성탄 상의 종속영양세균의 분포와 활성을 분석하였다. 활성탄 칼럼은 총유기탄소와 잔류염소를 잘 제거하였으며 이온은 잘 제거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칼럼 유출수의 세균수는 10일째 파과 (breakthrough)가 발생한 후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석탄계와 식물계 활성탄에서 각각 1.1 ${\times}$ $10^3$, 6.2 ${\times}$ $10^2$ CFU/mL로 나타났다. 칼럼 내부 활성탄 상의 미생물 활성은 GAC-C가 15.35~29.06$\mu\textrm{g}$ INT-formazan/g-GAC/h이었고, 세균수와 세균활성 모두 석탄계가 조금 높았다. 입상활성탄 상의 미생물 재생장 현상이 확인되었고, 석탄계 활성탄이 야자계 활성탄보다 미생물 재생장 유발 효과가 큰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활성탄 상의 세균에 의한 유기물 제거능력이 확인되었다.

영양원의 제한에 의한 수돗물에서의 세균재증식능 억제 (Controlling Bacterial Regrowth Potential by the Limitation of Nutrients in Drinking Water)

  • 오정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1-43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충족농도를 기준으로 영양원를 제한한 경우와 탄소원 및 질소원이 각각 두 종류씩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수돗물 토착세균 및 Pseudomonas fluorescence P17을 접종균으로 한 BRP법을 이용하여 세균의 재증식 특성을 연구하였다. 세균재증식능은 영양원의 제한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가지 이상의 영양원이 동시에 제한된 경우, 세균재증식능의 억제가 더욱 증가되는 상승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제한된 영양원에 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더욱 낮은 세균재증식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NO_3^-$-N에 대해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균재증식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원으로써 Glucose 및 Acetate 질소원으로 $NH_4^$-N 및 $NO_3^-$-N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를 대상으로 세균의 재증식 특성을 조사한 결과, 탄소원에 대해서는 Glucose 및 Acetate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각각의 탄소원을 단독으로 주입했을 경우보다 세균재증식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질소원에 대해서는 $NH_4^+$-N의 주입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세균재증식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 활성탄 여과지에서 세균의 재성장과 생물막 형성 세균의 분리 및 동정 (Bacterial regrowth in biofilms formed in granular activated carbon filter adsorbers and the bacteri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 이규철;권순복;이병기;박종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5-212
    • /
    • 200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iofilm formation, bacterial regrowth,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granular-activated carbon (GAC) filter adsorbers (FAs) used in water treatment plants. In 2005 and 2006, raw water, settled water, GAC FA by depth, and filtered water were collected twice a year from water treatment plants (WTPs) B and S. The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including mesophilic and psychrophilic bacteria, in such collected waters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total number of coliforms therein. Heterotrophic bacteria were detected in most samples, mainly at the surface layers of the GAC FAs, and fewer such bacteria were found in the lower and bottom layers. An increase in the bacterial number, however, was observed in the samples from various depths of the GAC FAs in WTPs B and S compared with the surface layers. An increase in the bacterial number was also detected in the filtered water. This may indicate that there is a regrowth of the bacteria in the GAC FA. Considering, however, that heterotrophic bacteria were not found in the filtered water, it can be deduced that most bacteria are removed in the chlorination process. Coliforms were detected at the surface layer of the GAC FAs, but their regrowth was not observed. MicroLog systems were used to identify the bacteria community distribution. Eight genera and 14 species, including Pseudomonas spp., were detected in WTP B, and 8 genera and 9 species, including Aeromonas spp., in WTP 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their role in the biofilms in water treatment processes.

급수관에서 관재에 따른 부식특성과 미생물 재성장 고찰 (Influence of Pipe Materials on Corrosion and Bacteria Regrowth in A Model Home Plumbing System)

  • 김태현;이윤진;이환;이철효;안교철;이우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1-128
    • /
    • 2007
  • This study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pipe materials on corrosion and bacteria regrowth using a laboratory scale batch test. Two varieties of feed water with different microbial conditions were selected: tap water, surface river water (Han River water), and five pipe materials; carbon steel, copper, galvanized iron, stainless steel, and PVC, Carbon steel and galvanized iron pipes showed higher corrosion rates than other materials. In terms of attached bacterial growth, pipes with PVC and stainless steel showed higher bacteria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materials. Pseudomonas vesicularis was the predominant bacteria found on biofilm. The behavior of bacterial growth in the pipes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fficiency Comparison between Chlorine and Chlorine Dioxide to Control Bacterial Regrowth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 Lee, Yoon-Ji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2-291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activation of the total coliform, an indicator organism in chlorine and chlorine in order to control microbial regrowth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s and select an appropriate disinfection strategy for drinking water systems. The disinfection effects of chlorine and chlorine dioxide with regard to the dosage of disinfectant, contact time and DOC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spite of the consistency of chlorine residuals at approximately 0.2 mg/l, bacteria regrowth was detected in the distribution system and it was confirmed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The influence of organic carbon change on the killing effect of chlorine dioxide was strong.

급수관내 염소 주입이 미생물의 증식과 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lorine Application on Corrosion and Bacterial Growth in Home Plumbing Systems)

  • 김태현;이윤진;임승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1-439
    • /
    • 200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model home plumbing system composed of copper, stainless steel, galvanized iron, carbon steel, and PVC (polyvinyl chloride) pipe. The number of bacteria present in stainless steel pipe and PVC was higher than other pipes. High turbidity and zinc release were found in galvanized iron pipe material and detected during the first 6 months. Conversely, there was a decrease in turbidity and zinc release after 6 months resulting in levels similar to other pipes. Copper concentration decreased as operation times increased. In this experiment, the number of bacteria detected in biofilm for a copper pipe continued to increase. Pipe material influenced bacterial numbers in biofilm and water. This showed that elevated chlorine could not control bacterial growth in biofilm for galvanized iron and stainless steel systems. It also suggested that the dosing of chlorine might not be available for all kinds of pipes. Therefore, another complementary method should be introduced to manage biofilm effectively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생물막 세균의 염소소독제에 대한 내성 (Resistance of Biofilm Bacteria to Chlorination)

  • 조재창;박성주;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5-260
    • /
    • 1993
  • Enterobacter cloacae 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slide glass) 와 아연도강관조각 (galvanized-iron coupon) 상에 생물막을 형성시킨 후 부착생장세균의 염소에 대한 내성을 측정한 결과 부유생장세균에 비해 각각 14배와 380배의 내성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입자에 부착된 세균군집의 경우 부유세균군집에 비해 48배로 내성이 증가되었다. 슬라이드와 아연도강관조각을 수돗물에 75일간 접촉하였을때 각각 $4.75 {\times} 10^{4}$ cfu/$cm^{2}$, $1.12 {\times} 10^5 cfu/cm^{2}$의 생물막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수돗물에서의 장내세균과 종속영양세균 입자에 부착 혹은 흡착되거나 응집된 상태로 존재함으로써 잔류염소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되며, 또한 정수과정에서 염소살균을 피하여 비급수계통으로 유입되면 배급수관 내벽에 생물막을 형성하여 잔류업소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배급수계통에서 생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Enrofloxacin과 Colistin의 배합비육에 따른 항균작용과 균의 사멸속도 (Killing Rate Curve and Antivacterial Activity against Various Pathogenic Bacteria in the Presence of Enrofloxacin and Colistin)

  • 윤효인;김민규;박승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5-222
    • /
    • 1997
  • Enrofloxacin-colistin combination, widely used in Gram negative infections in veterinary sector,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MIC and initial killing rate using E coli k 88ab, Salmonella typhimurium, Pasteurella multocida type A, Bordetella bronchiseptica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test organisms. On the basis of MICs of enrofloxacin-colistin combination against the above bacteria, killing rates of the combination of enrofloxacin and colistin at the ratio of 5:0, 4:1, 3:2, 1:1, 2:3, 1:4 and 0:5, indicated high and rapid antibacterial acitivities against all but Staphylococcus aureus R-209, with the number of bacteria reducing to less than one percent within two hours. At the MIC of enrofloxacin or colistin, both antibacterials showed the highest killing rates during 2-4 hours against Gram negatives such as E coli K88ab,Pasteurella multocida type A and Bodetella bronchiseptica but allowed the regrowth of the same pathogens thereafter. On the while, the combination of two antibacterials at a fourth MIC resulted in high killing rate without bacterial regrowth during 24 hours, suggesting the synergistic antivacterial effects. The combination, however, did not show favourable activity against Gram negatime S typhimurium and Gram positive S aureus 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 negatime pathogens but also colistin showed LPS-neutraization, we could suggest the combination should provide clinically positive therapeutic armarium in Gram negative infections.

  • PDF

상수도계통에서의 세균 분포 및 변화 (Bacter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in Water Supply Systems)

  • 박성주;조재창;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5-254
    • /
    • 1993
  • 1991년 9월부터 1992년 9월까지 23회에 걸쳐 서울시 구의정수장의 상수도계통 즉 원수와 정수 및 이곳에서 공급되는 단일 배급수계통의 3개 수돗물에서 종속영양세균(heterotrophic plate count : HPC) 과 장내세균(Enterobacteriaceae : total coliforms) 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R_{2}A$ 한천배지에서의 종속영양세균수는 원수 $1.22{\times}10^{3}~3.05{\times}10^{5}$ 정수 $1.50{\times}10^{1}~4.29{\times}10^{3}$, 수돗물 $2~5.41{\times}10^{3}$ cfu/100ml, 수돗물 0-47.5 cfu/100 ml 의 범위였으며, m-T7 한천배지에서의 손상된장내세균을 포함하는 장내세균수는 전수 0-27, 수돗물 0-35 cfu/100 ml/의 범위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정수장에서 공급된 물이 배급수관을 통하여 공급되면서 종속영양세균 및 장내세균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세균재생장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의 동정결과 원수, 정수, 수돗물을 포함하는 상수도계통의 물에서는 Peudomonas 와 Acinetobacter 가 우점하였으나, 원수에서는 Pseudomonas 의 비율이, 그리고 정수와 수돗물에서는 Acinetobacter 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내세균은 Enterobacter agglomerans 가 우점종이었으며, 수돗물에서는 정수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Citrobacter freundii,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Shigella dysenteriae 등의 기회성 및 병원성 장내세균도 검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