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cteria counts

검색결과 918건 처리시간 0.03초

The Influences of Addition of Sugar with or without L. buchneri on Fermenta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Maize Silage Ensiled in Air-stress Silos

  • Guan, Wu-Tai;Driehuis, F.;Van Wikselaar,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2호
    • /
    • pp.1738-1742
    • /
    • 2003
  • The whole plant of crop maize was chopped and ensiled in double-layered polyethylene bag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residual sugar on the fermentation of lactic acid and aerobic stability by L. buchneri in whole crop maize silage made in airstress condition. There were a total of six treatments used in this experiment as follow: added 25 g de-mineralised water per kg chopped maize serving as control (con), 37.5 g glucose solution containing 12.5 g glucose ($g_1$), 75 g glucose solution containing 25 g glucose ($g_2$), 25 g, L,.buchneri suspension intended for $10^6$ cfu $g^{-1}$ (L.b.), $g_1$+L.b. and $g_2$+L.b. All silos were opened at day 91 after ensiling for measuring the pH values, microbiological enumeration, fermentative products and aerobic stability. The dry matter loss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due to inclusion of sugar or L. buchneri. The lower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p<0.01) in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only or in combination with sugar addition than the correspondent uninoculated silages. Compared with control silage, ethanol production was about 3 or 6-fold higher due to addition 12.5 or 25 g glucose per kg chopped maize at ensiling. The silages added with sugar contained less acetic acid concentration (p<0.01) than control, but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showed the contrary effects (p<0.01) at different sugar levels. No butyric acid was found in uninoculated silages, silages inoculated with L. buchneri. producted more propionic acid, 1-propanol and butyric aci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creased markedly (p<0.01) due to inoculation with L. buchneri, whereas it was reduced (p<0.01) by added suga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ount of yeast, but inoculation with L. buchneri shows a decreasing trend. Mould count in all silages was less than 2 (log cfu $g^{-1}$). The added sugar had negative effects on aerobic stability of maize silage made under air-stress conditions, whereas inoculation with L. buchneri improves (p<0.01) the aerobic stability.

통보릿가루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Added with Whole Barley Floura)

  • 이미자;김경순;김양길;박종철;김형순;최재성;김기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21-7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보릿가루를 발효식품에 이용하고자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와 Streptococcus thermophilussei (1:1:1)등 3종의 혼합균주를 이용하여 탈지분유와 보릿가루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보릿가루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품질특성, ${\beta}$-glucan 분석, 항산화 활성, 관능평가를 측정하였다. 보릿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1%와 3% 보릿가루 첨가군에서 pH는 낮았고, 적정산도와 당도는 높았다. 젖산균 수는 대조군에 비해 적었으나 점도는 높았고, 색도의 경우 L값은 낮았고, a값과 b값은 높았다.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결과 젖산이 주요 유기산 성분이었으며 3% 보릿가루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고 초산의 경우에도 3% 첨가군이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beta}$-Glucan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보릿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3% 보릿가루 첨가군이 대조군과 비슷하였고 보릿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는 감소하였으며 연령대별 기호도는 보릿가루첨가에 따른 기능성 향상이라는 점에서 높은 연령대에서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 보릿가루는 3%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한 Bt 배추의 토양미생물상 영향 비교평가 (Molecular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in Soils Cultivating Bt Chinese Cabbage)

  • 손수인;오영주;오성덕;김민경;류태훈;이기종;서석철;백형진;박종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3-29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Bt 배추의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토양미생물 조사에 앞서 토양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Bt 배추와 일반품종 배추 근권토양간 화학성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육 최대 성숙기의 토양미생물 군집밀도를 조사했을 때 Bt 배추 근권토양의 미생물 군집밀도 범위가 일반 배추 근권토양의 미생물 군집밀도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DGGE 분석결과 일반품종 배추 근권토양 미생물 군집에 비해 Bt 배추 근권토양 미생물 군집의 변이는 없었다. 형질전환 벡터 유래 유전자부위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수평이동성을 조사했을 때 Bt 근권토양 유래 DNA에서는 벡터 유래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

전통장류 유래 Bacillus sp.를 이용한 콩 발효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by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bean Paste)

  • 이선영;엄정선;최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56-762
    • /
    • 2014
  • 전통 장류 유래 효소 활성 및 항균 활성 우수 Bacillus sp.를 스타터로 한 콩 발효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균수는 HJ5-2를 접종한 시료가 $3.00{\times}10^9CFU/mL$로 가장 높았으며, 유산균은 스타터 첨가 콩 발효물에서 $2.50{\times}10^2{\sim}7.30{\times}10^4CFU/mL$를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접종된 균주가 우점종이 된 것을 확인하였다. ${\alpha}$-Amylase 활성은 RD7-7(20.82 unit/mL)과 HJ18-4(18.45 unit/mL), protease 활성은 RD7-7(647.92 unit/mL)을 접종한 콩 발효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HJ18-4(2.35%),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RD7-7(227.96 mg%) 접종 콩 발효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arginine 순으로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oxalic acid(36.51~63.57 mg/100 g)가 모든 실험군에서 검출되었으며, succinic acid(600.15~429.49 mg/100 g)는 control과 RD7-7 접종 콩 발효물에서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28종(esters 3종, ketones 6종, aldehydes 2종, alcohols 4종, hydrocarbons 2종, pyrazines 2종, acids 4종, 기타 4종)이 검출되었으며, RD7-7과 HJ18-4를 접종한 콩 발효물에서 23종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고품질 장류용 스타터 개발을 위한 단일균 접종 콩 적용 시험으로 향후 혼합배양 스타터 개발 및 기능성 콩 발효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Forsythia suspensa Extract Has the Potential to Substitute Antibiotic in Broiler Chicken

  • Han, X.;Piao, X.S.;Zhang, H.Y.;Li, P.F.;Yi, J.Q.;Zhang, Q.;Li,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569-576
    • /
    • 2012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Forsythia suspensa extract (FSE) to substitute for antibiotic in broiler chicken. First, a well-diffusion assay procedure and a 2-fold dilution method were used to determine the bacteriostatic activity of FSE on Escherichia coli K88,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was assayed. An inhibitory effect of FSE was observed on the growth of these bacteria. This effect seems to be dose depended, which disappeared after 25.00, 12.50, 1.56 mg/ml. Second, a 42-d trial with 252 broiler chickens (d 1, $38.7{\pm}1.1$ g BW)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SE in broiler chicken. The feeding program consisted of a starter diet from d 1 to 21 and a finisher diet from d 22 to 42. Dietary treatments included were: i) NC: negative control fed a corn-soybean meal based diet; ii) PC: positive control group fed based diet with chlortetracycline; and iii) FC: a test group fed with 100 mg FSE/kg diet. In this study growth performance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during the starter period. However, dietary supplemental chlortetracycline and FSE increased (p<0.05)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compared with NC during the finisher and overall phase. Apparent digestibility of calcium on d 21, digestibility of energy and calcium on d 42 of FC was greater (p<0.05) than NC. Moreover, cecal Escherichia coli counts for birds from FC were lower (p<0.05) than NC. Dietary FSE supplementation also improved (p<0.05)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s in both duodenum and ileum and decreased (p<0.05) crypt depth in the duodenum. Duodenum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 in both duodenum and ileum from the FC group were also greater (p<0.05). Serum growth hormone and IGF-1 were not influenced by different treatments. Apparently, FSE has the potential to substitute for antibiotic in broiler chicken.

액상유의 살균후 오염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Post-Pasteurization Contamination of Fluid Milk Products)

  • Huh, Chung-Ja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17-521
    • /
    • 1988
  • 저온성 미생물의 살균후 오염에 관하여 HTST 살균법에 의하여 제조된 음용유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살균후 제조공정중의 시료와 충병제품의 시료론 시유와 탈지유별로 대형 음용유 공장에서 채취하였다. 제조공정중의 시료를 시유의 경우 아홉개의 각각 다른 시료채취 장소에서 각각 채취하였다. 각각 의 제조공정중의 시료는 21$^{\circ}C$에서 16시간 동안 예비배양(PI)을 한 후 표준평판검사(SPC)바 그람음성균 검사(CVT)를 실시하였다. 보존성검사를 위하여 각시료를 7.2$^{\circ}C$에서 7일간 보존한 후 풍미검사와 SPC 및 저온미생물검사(PBC)를 실시하였다. 제조공정중의 시료 이외에 실제품의 보존성을 검사하기 인하여 1000ml용 종이용기에 충병된 완제품을 각 제품(시유 및 탈지유)의 생산이 시작될 때마다 일련적으로 연속하여10개씩 충병기로부터 채취하였다. 충병제품 시료들에 대해 예비배양(PI)을 거친 후 SPC와 CVT를 실시하였다. 보존성 검사를 인하여 각 충병제품 시료를 7.2$^{\circ}C$에서 7, 10 및 14일간 보존 후 풍미 검사와 SPC 및 PBC를 실시하였다. 제조공정중의 시료의 예비배양 후 CVT(PI-CVT) 평균치는 시료채취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살균유 저장탱고로부터 충병기까지의 제조공정에서 오염이 주로 발생하였다. 충병제품 시료의 PI-CVT 값은 10 및 14일간 보존 후 풍미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조공정중의 시료의 PI-CVT 값은 10일간 보존후 양호한 풍미를 유지한 충병제품 시로의 전체 충병제품 시료에 대한 백분율과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산채류를 이용한 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Beverages Drinks Using Mountain Edible Herbs)

  • 함승시;이상영;오덕환;김상헌;홍정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2-97
    • /
    • 1997
  • 산채 일반음료는 산채를 착즙하여 쥬스를 제조한 후 각종 부원료를 사용하여 최적의 배합비로 산채음료를 제조하였으며, 산채 발효음료는 Lactobacillus helveticus를 이용한 산채음료 원액과 시럽 믹스를 1 : 3으로 혼합한 다음,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후 요구르트 향료를 첨가하여 발효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시제품들에 대한 일반분석 실험과 저장안정성 실험을 행하였다. 산채 일반음료의 일반분석 결과 37$^{\circ}C$에서 6개월간 저장시 수리취와 고려엉겅퀴음료의 pH는 각각 3.80과 3.7, 산도는 각각 0.50 및 0.49, OD값은 각각 1.021 및 1.119 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장안정성 시험은 상온 및 37$^{\circ}C$로 구분하여 6개월간 저장하면서 pH와 색도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상온에서의 pH의 변화는 수리취가 3.96~3.95, 고려 엉 겅퀴는 3.99~3.89로 각각 0.01과 0.1정도의 미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37$^{\circ}C$에서는 각각 3.95 ~3.83과 3.98~3.87로 0.12정도의 변화폭을 보였다. 산채 발효음료의 일반분석에서는 수리 취와 엉겅퀴의 pH는 각각 3.65와 3.70, 산도는 0.57 및 0.60, S.N.F.는 3.2 및 3.1 그리고 유산균수는 각각 2.5$\times$$10^{8}$ 과 4.0$\times$$10^{8}$ 으로 나타났다. 저장 안정성 실험은 4$^{\circ}C$에서 15일간 저장 하면서 pH와 산도의 경시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리취와 엉겅퀴의 pH는 3.56~3.39 및 3.67~3.48로 각 각 0.17과 0.19의 차이를 보였다.

  • PDF

막분리한 두부순물 농축분말첨가가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ddition of Membrane-Filtered Powder of Sunmu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 정진영;정해정;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79-158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순물의 막분리에 의하여 제조된 농축분말을 사용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pH, 적정산도, 점도, 생균수, 향기성분, 관능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UF 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 24시간 후 pH와 적정산도는 모든 시료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는 대조군보다 UF 분말 첨가군이 낮았고 색도를 측정한 결과 UF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L값과 a값은 대조군과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b값은 UF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져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생균수는 18시간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가 그 이후 완만히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는 12.6$\∼$14.3$\times$$10^{8}$ CFU/mL를 나타내었고 대조군보다 UF 분말 첨가군에서 생균수가 높게 측정되었다. 요구르트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UF분말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다양한 향미 성분이 검출되었다. 관능검 사결과 냄새와 조직감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고 신맛은 UF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바람직성에서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UF분말을 이용하여 첨가수준을 조절하고 제조방법을 다양화한다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요구르트로서 그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lectron Beam 조사가 고추장 분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Kochujang Powder)

  • 권훈;이정은;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5-662
    • /
    • 2000
  • 전자선을 이용하여 고추장분말의 살균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마 선과 비교 검토하였다. 고초장분말의 미생물 농도는 총세균이 105~106 CFU/g, 효모 및 곰 팡이는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음성으로 나타났다. 총세균은 5~7.5 kGy의 전자선 조사에 의해 1~2 log cycles 정도의 감균효과를 보였고, 10 kGy 조사구에서는 104 CFU/g 이하로 낮아져 미생물학적 품질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전자선의 감균효과는 감마선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살균처리 후 실온에서 4개월 간 저장된 시료의 미생물 생육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총세균의 방사선감수성 (D10값)을 측정해 본 결과, 전자선은 2.88~3.02 kGy, 감마선은 3.57~3.59 kGy 범위로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한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고추분말의 미생물학적 품질개선이 가능한 7.5~10 kGy 범 위의 전자선 조사는 기계적 색도, capsaicin,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 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선 조사 후 저장 중 시료의 capsanthin 함량과 TBA가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므로, 방사선 조사 시기는 사용하기 직전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수연안 및 동중국해의 세균상 1. 일반 세균, Vibrio spp., 대장균군 균수에 따른 수평 분포 (Bacterial Flora of East China Sea and Yosu Coastal Sea Areas 1. Horizontal Distributions According to Number of Bacteria, Vibrio spp. and Coliform Group)

  • 정규진;신석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6
    • /
    • 1996
  • 1992년 8월 6일부터 8월 14일까지에 걸쳐 조사한 동중국해 및 여수연안의 세균 flora, Vibrio spp., 대장균군에 대한 양적인 수평분포를 조사하여 미생물 생태계 해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중국해의 염분농도는 $24.64\~33.78\%_{\circ}$였고, 외양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2. 수온은 $22.53\~29.18^{\circ}C$였고, 연안에 비해 외양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3. 여수 연안 해수중의 일반세균수는 $1.0\times10^2\~3.0\times10^4/ml$, Vibrio spp.는 $0.2\times10\~9.0\times10^3/ml$, 대장균군은 $0.3\times10\~3.0\times10^3/ml$로서 연안에서 멀어질수록 균량은 감소하였다. 4. 동중국해 해수중의 일반세균수는 $0.4\times10\~2.0\times10^3/ml$, vibrio spp.는 $0.8\times10\~3.0\times10/ml$, 대장균군은 $0.9\times10\~l.3\times10/ml$였고, 외양으로 갈수록 일반세균은 적게 나타났으며, Vibrio spp.와 대장균군은 나타나지 않았다. 5. 동중국해에서 Vibrio spp.와 대장균군의 출현한 곳은 중국연안에 가까운 해역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