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fat thickness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1초

돼지 품종의 교배조합간 육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Crossbreeds)

  • 오하식;김현열;양한술;이정일;주영국;김철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1-180
    • /
    • 2008
  • 비육돈 생산에 있어 교배조합이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LY{\times}D$, $Y{\times}B$$L{\times}B$ 품종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교배조합별 30두씩 공시, 출하평균 체중은 110-120 kg이며, 일괄적으로 부경양돈농협 김해공판장에서 도축하여 24시간동안 $-3^{\circ}C$의 예냉실에서 냉도체를 만든 후 돈육의 등심부위(5번 늑골-3번 요추사이)를 발골 정형하여 처리구당 개체 5반복하여 wrap으로 함기포장한 후 냉장온도($4^{\circ}C$)가 유지되는 boxer에 담아 경상대학교 식육가공연구실로 운반하여 돈육의 일반선분, 이화학적 특성분석(pH, 전단가, 육즙손실, 가열감량), 육색과 지방색, 조직감, 지방산화, 관능적 특성분석 및 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여 교배조합간 돈육 등심의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등지방두께는 LYD그룹이 YB나 LB 그룹에 비하여 두꺼웠다. 육질평가에서 근내지방, 근간지방, 피하지방 및 탄력성은 교배조합간에 차이가 없었다. 육질특성에서 일반성분, pH, 육즙감량, 조리감량 및 가열육의 관능검사는 교배조합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단가는 LB 그룹이 LYD나 YB그룹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총 육색소 함량은 YB 그룹이 LYD와 LB 그룹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지방산화(TBARS)는 YB 그룹이 저장 5일과 8일에 LYD 그룹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교배조합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색 중 L 간은 YB 그룹이 가장 낮았으며, a 값은 가장 높았다. 지방색은 반대로 L 값은 YB 그룹이 가장 높았으며, a 값은 가장 낮았다 조직감 중 경도와 부착성은 LB 그룹이 가장 높았으며(p<0.05), 응집성은 LYD 그룹이 가장 높았다(p<0.05). 신선육의 관능검사 중 육색은 YB 그룹이 LYD나 LB 그룹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지방산 조성중 myristic acid(14:0) 함량은 LB 그룹이 가장 낮았으며, 반면에 arachidonic acid(20:4) 함량은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 고찰하면 교배조합간의 육질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YB 품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및 수송거리별 출하 한우의 도체특성 및 표면육색의 변화 (Changes of Carcass Traits and Surface Meat Color of Korean Cattle (Hanwoo) Reared Different Altitudes or Transferred from Different Distance)

  • 장용설;최장근;이정우;곽돈규;성철완;안준상;박병기;이종인;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51-58
    • /
    • 2012
  • 본 연구는 고도 차이 혹은 수송 거리의 차이가 한우(거세우 및 암소)의 도체특성, 표면육색 및 혈중 cortisol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공시동물은 총 190두로 이중 거세한우는 118두 암소는 72두였다. 자료는 사육 고도(100, 200, 300, 400 및 500 m) 혹은 수송 거리(50, 100, 150, 200 및 250 km)에 따라 분석하였다. 사육 고도의 차이가 거세한우 및 암소의 육량 및 육질 형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며, 수송 거리의 차이가 거세한우 및 암소의 육량 형질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송 거리의 차이가 거세한우 및 암소의 근내지방도, 육색 및 지방색에 미치는 영향과 사육 고도 혹은 수송 거리의 차이가 거세한우 및 암소 등심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선명도 및 색상색에 미치는 영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소의 경우 사육고도 100 m에서 200 m에 비해 등심의 명도가 증가되었으며(p<0.05), 거세한우의 경우 수송 거리 250 km 그리고 암소의 경우에는 200 km에서 등심의 명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혈중 cortisol 농도는 낮은 사육 고도에 비해 높은 사육 고도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수송 거리가 거세한우 및 암소의 cortisol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사육 고도 혹은 수송 거리가 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Phase Feeding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Nutrient Excre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Barrow and Gilt

  • Kim, Y.G.;Jin, J.;Kim, J.D.;Shin, I.S.;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6호
    • /
    • pp.802-810
    • /
    • 2000
  • A total of 120 finishing crossbred pigs ($Landrace{\times}Large$ $White{\times}Duroc$) with equal numbers of barrows and gilts weighing 58.5 kg body weight were used in a feeding trial, and 6 pigs (three of each sex) were used in a metabolic tria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ase feeding. Finishing period was divided into two phases and 4 different diets were fed for those periods. Growth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within the same sex. This result showed that 16% crude protein for early finishing period and 14% crude protein diet for late finishing period should be optimum. During the early finishing period, only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xes (p<0.01), but in late finishing period daily weight gain (p<0.001) and feed intake (p<0.01) of barrow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ilts. During the early finishing period,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protein and phosphoru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lts than in barrows (p<0.05). However, there was no treatment effect within same sex during the early and late finishing period. During early finishing period, excretion of N of pigs fed 16% CP diet in early and 14% CP diet in late-finishing period was less than that of pigs fed 17% CP diet in early and 15% CP diet in late-finishing period (p<0.05),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During the late finishing period, N excretion with two phase feeding was reduced by 8.5% compared with single feeding. In gilts, total cost reduction by two phase feeding compared to single feeding was 9.1%, but in barrows it was just 3.19%. Relative margin increased with two phase feeding by 2.5% in gUts and 0.2% in barrows. There was a tendency that backfat thickness at 10th rib of gilts was thinner than that of barrows (p>0.05). Within the same sexes, there was no treatment effect on back fat thickness (p>0.05). Carcass grade was improved by two phase feeding compared to single feeding. Carcass grade of gilt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barrows (p<0.001). From this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finishing pigs could be fed two-phase diets to improve profit and reduce pollution.

돼지 Melanocortin 4 Receptor (MC4R) 유전자의 육질연관성 분석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Melanocortin 4 Receptor (MC4R) Gene Effect on Pork Quality Traits in Pigs)

  • 노정건;김상욱;최정석;최양일;김종주;최봉환;김태헌;김관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1-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재래돼지의 MC4R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변이들을 규명하고 그 유전자형 효과가 유전자표지인자를 이용한 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 MAS)에 활용 가능한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한국재래돼지의 MC4R 유전자 총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해 6개의 Primer들을 이용하여 증폭산물을 생성하였으며,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총 6개(c.-780C>G, c-135C>T, c.175C>T-Leu59Leu, c.707A>G-Arg236His, c.892A>G-Asp298Asn, c.*430A>T)의 단일염기변이를 발견하였다. 한국재래돼지 MC4R 유전자내의 총 6개의 단일염기변이들간의 연관불균형과 반수체 분석을 통해 단일염기변이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c.-780C>G, c-135C>T, c.175C>T-Leu59Leu, c.707A>G-Arg236His와 c.*430A>T는 완전한 연관불균형을 이루고 있었고, c.892A>G(Asp298Asn) 단일염기변이만 $r^2$-value가 0.028, D'-value가 0.348로 연관불균형 정도가 매우 낮았다. c.707A>G (Arg236His)와 c.892A>G (Asp298Asn) 단일염기변이들을 선발하여 PCR-RFLP 유전자형 분석방법을 이용해 돼지 5품종간의 유전자형 빈도를 추정한 결과, c.707A>G (Arg236His) 단일염기변이는 요크셔 품종 집단에서 오직 A (His) 대립유전자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한국재래돼지, 랜드레이스, 버크셔와 듀록 품종에서는 G 대립유전자의 고정으로 나타났다. c.707A>G 단일염기변이와 육질형질을 484두에서 연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지방, 등심 내의 수분, 육색, 적색도 그리고 황색도 등에서 유의적인 연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c.892A>G (Asp298Asn) 단일염기변이의 유전자형 빈도는 품종별로 차이가 났으며, A (Asn)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가장 높은 품종은 듀록으로 나타났고, G (Asp)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가장 높은 품종은 한국재래돼지로 조사되었다. c.892A>G (Asp 298Asn) 단일염기변이와 돼지 4 집단의 육질형질을 1,126두에서 분석한 결과, 등지방두께에 고도의 유의적인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2). AA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가 AG나 GG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보다 등지방두께가 두꺼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C4R 유전자 내의 c.892A>G (Asp298Asn) 단일염기변이는 돼지의 선발개량에 유전자표지인자로서 충분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돼지 Duroc 품종에서 A-FABP promoter의 다형성과 성장형질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in the Promoter Region of Porcine A-FABP Gene and Growth Traits in Duroc Pigs)

  • 한상현;조인철;이종언;김효선;이정규;전진태;오문유;고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21-28
    • /
    • 2006
  • 지방세포 내에서 자유 지방산과의 결합수송과 근내지방의 축적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지방세포 지방산결합단백질 유전자(A-FABP)의 promoter 영역에서 다형성(T-406C)를 SSCP에 이은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돼지 Duroc 품종에서 확인하였다. 이 돌연변이 406C는 전사인자 nuclear factor 1의 결합 활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돌연변이로 확인되었다. Duroc 집단에서 HinfⅠ-RFLP 방법으로 유전자형을 결정한 결과 세 종류(TT, TC, CC)의 유전자형을 확인하였고, 빈도는 각각 42.3, 44.3, 13.4%로 확인되었다. 발견된 유전자형과 성장형질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분석했을 때, 406C/ (TC와 CC)인 돼지의 20주령 체중이 TT인 돼지에서보다 더 무거운 양상을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생시체중, 3주령, 10주령 체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동형접합인 406C/C 돼지들은 406T/인 돼지들에 비해 일당증체량, 90kg 도달일령, 사료효율 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등지방두께의 변화와는 무관하게 등심단면적과 정육률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고, CC 동형접합인 돼지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A-FABP 유전자의 promoter 상에서 발견된 돌연변이인 T-406C는 생육 후반기에서 체중과 등심단면적의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사료되며, 생육 후기 근내지방의 축적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유전자의 다형성은 Duroc 품종의 육종을 위한 분자 marker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당대검정 탈락축의 산육능력 및 육질 향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mprovement of the Unselected Hanwoo Bulls in the Performance Test)

  • 김형철;이창우;박병기;이상민;권응기;임석기;전기준;박연수;홍성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427-434
    • /
    • 2010
  • 본 연구는 거세, 월령별 적정 사료 급여관리 및 아미노산 강화 반추위 보호지방산(ruminally protected amino acid-enriched fatty acid, RPAAFA)의 급여가 당대검정 탈락축의 산육능력 및 육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당대검정 탈락축은 생후 14개월령에 거세를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거세 한우 16두(15개월령, 평균 체중 $412.9{\pm}24.9kg$)를 12개월 동안 RPAAFA를 급여하지 않는 대조구(control) 및 100g 급여하는 처리구(treatment)의 2처리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거세한우는 생후 27월령에 도축하였다.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의 일당증체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사료요구율은 낮은 경향이었다. RPAAFA의 급여가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육량 A등급 및 육질 l등급 이상의 고급육 출현률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배최장근의 수분, 지방, 단백질 및 회분 함량은 처리간 유사한 수준이었다. RPAAFA의 급여가 배최장근의 보수력, 산화환원전위, 총육색소 및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거세, 적정 사료급여 관리 및 RPAAFA의 급여는 당대검정 탈락축의 산육능력 및 육질등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죽초액의 첨가수준이 비육 한우암소의 육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he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Bamboo Vinegar on Growth Performance, Serum Profile and Meat Quality in Fattening Hanwoo Cow)

  • 국길;김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57-68
    • /
    • 2003
  • 본 시험은 한우 암소에 대한 죽초액의 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비육중인 암소 15두를 대상으로 대조구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의 3개 처리구에 5두씩 공시하여 4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약간 증가한 반면에 죽초액 6% 급여구에서는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죽초액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혈액성상에서 glucose 농도는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Total protein과 cholesterol 농도는 죽초액 3% 및 6% 급여구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BUN의 농도는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도체성적에서 등심단면적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등지방 두께가 죽초액 6%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근내지방도는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나 육질등급이 향상되었다. 죽초액 급여에 의한 부분육 성적에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조지방 함량이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단력가와 콜레스테롤 함량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등심의 지방산 조성에서 16:0은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18:1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죽초액 3% 급여구에서 포화지방산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불포화지방산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죽초액 급여에 의한 냄새와 외관의 개선효과는 없었다. 맛은 죽초액 3%와 6%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우 암소에 대한 죽초액 3% 급여는 근내지방도 및 조지방 함량의 증가, 전단력가 및 콜레스테롤 함량의 감소, 불포화지방산 비율의 증가, 그리고 관능평가에서 맛에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Effects of Fattening Perio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Lipogenic Gene Expression in Hanwoo Steers

  • Kwon, Eung Gi;Park, Byung Ki;Kim, Hyeong Cheol;Cho, Young Moo;Kim, Tae Il;Chang, Sun Sik;Oh, Young Kyoon;Kim, Nam Kuk;Kim, Jun Ho;Kim, Young Jun;Kim, Eun-Jib;Im, Seok Ki;Choi, Nag-J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54-1660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fattening periods i.e. 25, 27 and 29 months of age (25 mo, 27 mo and 29 mo), on feed consumption, body weight gain, carcass parameters, and lipogenic gene expression in 45 Korean native steers (Hanwoo). Daily DM intake was higher in steers on 29 mo compared with those on 25 mo or 27 mo. Daily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steers on 25 mo compared with those on 27 mo or 29 mo during fattening and overall experimental periods. Therefore, feed conversion ratio was lower in 25 mo compared with 27 mo or 29 mo during the fattening and whole experimental periods. As expected, slaughter and carcass weight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29 mo>27 mo>25 mo. Carcass yield grade was relatively lower in 29 mo reflecting higher back fat thickness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while carcass quality grade was not largely influenced by the treatments. By investigation with an ultra-sound scanning technique, the marbling score was significantly and numerically higher in 25 mo compared with 27 mo or 29 mo. The mRNA levels of stearoyl-CoA desaturase (SCD) gene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late fattening stages (p<0.01) and mRNA of acetyl-CoA carboxylase (ACC), ATP citrate lyase (ACL) and glucose transporter 4 (GLUT4) gene were highly expressed in 29 mo compared with 25 mo and 27 mo (p<0.05). However, gene expressions of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FABP4) and lipoprotein lipase (LP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Thu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t fattening period has no major effect on carcass characteristics, although 25 mo had a lower carcass weight compared with 27 mo or 29 mo.

Effects of Italian ryegrass diet on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metabolites of Hanwoo steers

  • Kim, Hwi Jae;Ki, Kwang Seok;Jang, Sun Sik;Yang, Seung Hak;Lee, Eun Mi;Kang, Dong Hun;Park, Bo Hye;Kwon, Eung Gi;Chung, Ki Y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84-9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asture feeding program for reducing the Hanwoo feeding cost. Italian ryegrass (IRG) is a major plant which is abundantly produced in the southern area of South Korea. Locally produced Italian ryegrass has a 30 - 50% reduced pasture cost compared to imported pasture grasses. We hypothesized that Italian ryegrass feed could reduce the feeding cost but not chang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woo steers in the feedlot. Four treatments (Control, short fed IRG silage, long fed IRG silage, and IRG hay) in a completely random design were used to feed 27 Hanwoo steers. Three or four steers were fed in the same pen, and 8 pens were used for the treatments. Blood was drawn from each steer on the first week of every month from 11 to 30 months. Overall,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p < 0.05) except for the final fattening diets (p < 0.05). The long fed IRG silage group had a low ADG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 < 0.05). The serum non-esterified fatty acid and glucose concentrations were reduced during the fattening periods (p < 0.05); however, the serum albumin, total proteins, triglycerides, and phosphorus were increased during the fattening periods (p < 0.05). The carcass weight, longissimus muscle area and back-fat thickness were low in the long fed IRG silage group (p < 0.05). The IRG diet induced saturated fatty acids in the longissimus dorsi (p < 0.0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RG diet increased the serum triglycerides but reduced the glucose level at the final fattening diet and decreased the meat yield score in Hanwoo steers.

Effects of feeding system on growth performance, plasma biochemical components and hormon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 Chung, Chan Sung;Cho, Woong Ki;Jang, In Seok;Lee, Sung Sill;Moon, Yea Hw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117-1123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carcass traits by two feeding systems (concentrate with roughage separately [CON] vs total mixed ration [TMR]) in Hanwoo steers, and to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components during fattening or finishing phases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steers. Methods: Sixty steers aged 8 months were allotted to two feeding systems and fed similar amounts of average dry matter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hroughout whole experimental period according to each feeding program. Steers were weighed monthly, taken blood at the end of growing,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and slaughtered at 30 month of age. Results: Growing performance was higher (p<0.05) in the CON group compared to the TMR group during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The CON group was lower (p<0.05) in blood aspartic acid transaminase, blood urea nitrogen and retinol levels during growing period, but higher in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during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compared to the TMR group. The CON group was greater (p<0.05) in rib-eye area, and lighter (p<0.05) red in meat color compared to the TMR group.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lood components of steers and carcass traits, retinol had a negative (p<0.05) correlation with marbling score and rib-eye area. Leptin had a positive (p<0.05) correlation with back fat thickness.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positively (p<0.05) correlated with carcass weight and rib-eye area. Conclusi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ribeye area and meat color showed a more desirable result in the CON compared to the TMR in Hanwoo steers. Assessing the accumulated data of carcass traits with blood components including hormones-particularly retino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eptin-during the fattening or finishing phases, it may be possible to find a biomarker for determining beef quality in living anim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