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xonic cultur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조직내 및 배야기내 자유생활아메바의 전자현미경적 비교연구 (Ultrastructural observation of Naegleyiu fowleri trophozoite in mouse brain and axonic culture)

  • 유재숙;소진탁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59-266
    • /
    • 1984
  •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 (primary amoebic rneningoencephalitis; PAM)을 일으키는 자유생황아메바인 Svaegleria few입번를 사용하여 액체배지에서 무균적으로 배양된 영양형과 실험적으로 감염시켜 얻은 마우스 뇌조직에 존재하는 영 양형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마우스 뇌 조직내의 영양형은 다소 등근 모양인데 반해 액체배지에서 무균배양하여 엎은 영양형은 불규칙한 모양을 보였다. 2. 배 양기에서 얻은 아메바 세포질내 mitochondria 는 난원형, 구형 및 원통형 등 형태가 다양한데 마우스 뇌 조직내의 아메바에서는 이러한 형태 이외에 아령 모양이 특이하게 있었고 배양기내 아메바의 mitochondr심는 진하게 염색되나 마우스 뇌 조직내의 아메바에서 는 진한 것과 흐린 것이 모두 있었다. 3. 조면세포질내세망(rER)의 형태에 있어 마우스뇌조직내 아메바에서는 세관(microtubule)모양인데 비해 배 양기내 아에 바에서는 세관모양 이외에도 소낭(vesiole) 모양이 관찰된다. Ribosome은 배양기내 아메바에서는 free ribosome이 많은 반면 마우스 뇌조직내 아메바에서는 polysome이 많았다. 4. 배양기내 아메바에서는 내용물이 없는 액포(vacuole)가 많고 그 안에 미엘린양 구조가 존재함을 보앗다. 이것으로 아메바는 마우스 뇌조직내에서 강한 식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5. Naegleria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 뇌조직은 괴사가 심하였다. 침윤된 염증세포로 다핵백혈구가 많았고, 아메바는 혈관 주위에 많았다.

  • PDF

적조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순수분리 및 성장 (Axenic Culture Production and Growth of a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서필수;이상준;김윤;이정호;김학균;이재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76
    • /
    • 1998
  • C. polykrikoides의 항생제에 대한 특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C. polykrikoides의 항생제에 대한 $50\%$ 생존시간을 조사하였다. C. polykrikoides는 tetracycline과 thlorarnphe-nicol에 대해서는 아주 민감하였고, polymixin-B, ampicil-lin, penicillin-G, dihydrostreptomycin, neomycin에 대 해 서 는 저항성이 큰 선택적 특이성을 가졌다. C. polykrikoides에 민감한 항생제인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의 경우는 사멸곡선을 분석하여 사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를 확인했으며, 또한, 농도에 따른 C. polykrikoidess에 대한 항생제의 작용특성을 분석하였다. 박테리아에 오염된 C. polykrikoides 배양액을 percoll 원심분리로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전에 C. polykrikoides에 저항성이 큰 항생제에 대한 박테리아 군집의 감수성 시험을 행하여 박테리아 제거를 위한 적당한 항생제와 농도를 결정 한 뒤, percoll 원심분리로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제거하고, 조체를 회수한 후, 남아있는 소량의 박테리아를 감수성이 큰 항생제를 연속적으로 처리 (antibiotic cascade)하여 C. polykrikoides의 순수배양(axonic culture)이 가능하게 되었다. 순수배양한 C. polykrikoides은 밀도가 약 740cells/ml 이상에서 대수증식기에 접어들었고 최대 5,800cells/ml까지 증식하였다. C. polykrikoides의 하루당 분열율 k 값은 저밀도 세포 상태에서 아주 정확한 증식지표를 제시하였고, 대수증식기 전에 반드시 최대의 k 값 변화를 가진 세포의 밀도가 존재하였으며, 우리는 이 최대 k 값 변화를 가진 밀도를 정확한 적조 예보와 초기에 적조제어를 위한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확립된 C. polykrikoides의 순수분리에 의한 배양방법은 C. polykrikoides 뿐만 아니라 다른 적조 생물의 독성학적, 면역학적, 생화학적, 생태학적,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위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grobacterium rhisogense에 의해 형질 전환된 인삼의 모상근 배양에서 Ginsenoside의 생산 (Ginsenoside Production by Hairy Root Cultures of Panax ginseng Transformed With Agrobacterium rhizogenes)

  • 고경수;허인옥고정삼이윤진
    • KSBB Journal
    • /
    • 제5권3호
    • /
    • pp.263-268
    • /
    • 1990
  • 인삼의 조직에 Agrobacterium rhizogenes strain 15834와 A4을 감염하여 형질전화체를 얻었다. 이는 인삼에서처럼 무균식물을 얻기어려운 경우 leaf disk 방법으로 모상근을 유도할 수 있었다. 모상근의 ginsenoside(Rg2,Rg1,Rf,Rd,Rc,Rbl, and Rb2)는 HPLC에 의해 定量하였으며, 진탕배양한 모상근의 ginsenoside의 함량은 0.34-1.19% 건량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배 인삼과 배양 인삼의 ginsenoside의 함량에 비해 좋은 성과라고 사료된다.

  • PDF

이질아메바 한국분리주 YS-27의 무균 배양화 (Axenization of Entamoeba histolytica, a Korean strain YS-27)

  • 장재경;임경일;소진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87-390
    • /
    • 1995
  • 1969년 8월 10일 서울 고려병원의 입원친자 김00의 간농양에서 채취한 고름을 modified diphasic배지(Faust and Russell 1964)에서 배양하여 이필아메바 한국븐리쿠 YS-27을 얻었다. 이를 1985년 2월부터 TTY-53 배지에 넣어 Crithidia와 함께 $37^{\circ}C$에서 혼합 배양하였으며 3~4일 간격으로 계대하였다 Crithidia는 Dr. L.S. Diamond(미. NIH)로 부터 분양받아 TW-SB 배지 10 ml에 500만개씩 넣어 $25^{\circ}C$에서 1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Monoxenic 배지인 TIY-SB 에서 이질아메바와 Crithidia를 혼합배양하면서 세균 제거를 위하여 배지 100 ml 당 Penicilin G 2,000-10,000 I.U.와 Streptomycin 2-10 mg을 첨가하였으며 세균이 완전히 제거되고 monoxenic 상태로 되기까지 1년 이상 걸렸다. TIY-SB배지에러 arsenic배지 TYI-5-,B3으로 바꾸었더니 저음 이직아메바 영양형의 증식이 피지 않았으나 Crithdia를 넣어 주었더니 이질아메바의 증식이 잘 되었다. 3-4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1하였으며 수수간 배양후에는 Crithidia를 보충하지 않아도 이질아메바 영양1형만 잘 증식되었다. 이질아메바 한국분지주 YS-27은 1995년 10월 현재 TYI-5-33 배지에서 무균적으로 지속적으로 계대 배양되고 있으며 영양형의 증식도 양호하다.

  • PDF

Agrobacterium rhizogenes 에 의한 hairy root 형성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 IV. Hairy root 배양 및 배양 조건에 관한 조사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Formation of Hairy Root by the Agrobacterium rhizogenes ; IV. Culture of Hairy Root and Survey of the Culture Condition.)

  • 황백;안준철;이재혁
    • KSBB Journal
    • /
    • 제4권3호
    • /
    • pp.246-253
    • /
    • 1989
  • Agorobacterium rhizogenes에 의하여 유도된 당근(Daucus carota L. )의 hairy root를 배양하였으며 opine 유무에 대한 형질전환 확인 및 배지조성을 달리하여 성장률에 따른 색소함량을 비교하였고, 재분화된 식물체의 형태적 차이를 관찰하여 몇가지 결론을 얻었다. Hairy root는 균 접종 2-4주 후에 형성층 부위를 중심으로 유도되었다. 유도된 hairy root의 초기 배양에는 R.C.M 배지가 적합하였으며 MSO(2, 4-D $10^{-4} ml/ l, pH6, sucrose 5%, 질소원 0.03M 등)에서 최대 성장을 보여주었고 성장의 증가에 따른 색소의 형성은 비교적 안정하였다. 재분화된 식물체는 정상 식물체에 비하여 형태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형질전환된 hairy root 및 재분화된 식물체에서 mannopine 분석으로 Ri-plasmid에 의한 형질전환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 PDF

질트리코모나스증에서 간접형광항체법을 이용한 혈청내 항질트리코모나스 IgG 및 IgM 항체의 측정 (Detection of IgG and IsM Antibodies with Immunofluoreseent Antibody Technique in Buman Trichomoniasis)

  • 윤경찬;김경민;안명희;민득영;차동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7-12
    • /
    • 1987
  • The indirect fluorescent antibody(IFA) test was used to detect serum IgG and IgM antibodies to Trichomonas vaginalis in 31 vaginal trichomoniasis, 7 candidiasis and in 20 non-infected healthy women with antigen prepared from axonic culture of Trichomenas vaginalis isolated from vulvovaginitis pat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31 vaginal trichomoniasis the positive reactions of IgG antibody were 27 in the 1/8 dilution or higher and :l in the 1/4 dilution whereas in healthy women the reaction showed significantly low as in the 1/4 dilution or below. 2.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IFA test for IgG antibody to trichomonad antigen in this study were 87.1% and 100%, respectively. 3.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gM antibody levels between vaginal trichomoniasis and healthy women was observed. 4. No 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IgG and IsM antibodies to trichomonad antigen by IFA test was observed. 5. No relation between the time lapse and the level of serum IgG antibodies in IFA test of vaginal trichomoniasis was regarded.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FA test in trichomoniasis could be a useful tool for detection of anti-trichomonad IgG antibodies and applicable as an immunodiagnostic method.

  • PDF

자유생활아메바 Naegleria fowleri의 계대감염에 의한 병원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pathogenicity of Naegleria fowleri by serial brain passage in mice)

  • 이득기;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234-240
    • /
    • 1983
  • 장기간 시험관내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병원성이 약화된 자유생활아메바 naegleria fowleri를 마우스에 연속적으로 감염시켜 그 병원성의 증감여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체증 18∼22gm의 백색 마우스를 secobarbital로 마취시키고 오른쪽 비강에 Naegleria fowleri를 떨어뜨려 감염시켰다. 시험관내에서 7년이상 CGVS배지에서 계대배양된 0주와 마우스에 감염시켜 뇌조직을 2번 통과시킨 2-1주의 병원성을 비교하였다. 행동둔화, 자극에 민감, 회전운동, 사지마비등 여ㅓ 증상이 나타났고, 뇌의 오른쪽 앞쪽 부위에 심한 염증 및 괴사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증상과 병소는 0주 감염군보다 2-1감염군에서 보다 빨리, 보다 심하게 발생되었음을 관찰하였다. 감염 7일 후부터 감염된 마우스가 사망하기 시작하였으며 2-1주 감염군에서 0주 감염군 보다 생존기간이 짧았으며 감염 13일 후부터 사망한 예에 있어서는 육안적으로 뇌에서 병소가 없었고 폐장에서 염증이 심하였음을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비강을 Naegleria fowleri를 감염시켜 전형적인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 장기간 시험관에서 무균적으로 계대배양된 Naegleria fowleri는 병원성이 약화되어 있었고 이 아메바를 마우스에 연속적으로 감염시켜 뇌조직을 통과시킴으로 다시 병원성이 증강됨을 관찰하였다.

  • PDF

질트리코모나스의 병원성과 단백 분해 효소와의 상관성 (Proteinase activity in the isolates of Trichomonas vaginalis according to their pathogenicity)

  • 심영기;박경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17-128
    • /
    • 1993
  • 이 연구는 환자로부터 분리하여 무균 배양된 10개의 질트리코모나스 분리주에 대하여 병원성 여부를 판정하고 단백분해효소 관련 여부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것이다. 질트리코모나스 분리주들은 마우스 피내 접종 실험을 통한 병원성 판정에서 약병원성 주, 중등도 병원성 주 및 강 병원성 주 등 3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중성 단백분해효소 및 산성 단백분해효소 활성도는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 및 그 배양액에서 약 병원성 주에 비해 강 병원성 주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 피하농양 크기에 따른 병원성과 상기 단백분해효소의 비활성도(specific activi쇼)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p < 0.05) 질트리코모나스 단백분해효소는 gelatin을 기질로 하는 SDS-PAGE 전기영동에서 RF치를 달리하는 5가지 분획대가 나타났으며 그 분획양상은 각 분리주 의 병원성에 따라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여러가지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전기 영동 효소액에 처리했을 경우 antlpaln과 leupeptin 처리군에서는 분획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EUTA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그 활성이 약화된 분획이 관찰되었고, PMSF 처리군에서의 분획들은 대조군과 그 활성의 차이를 볼 수 없어 이들 단백 분해효소는 cystelne 단백분해효소로 추정되었다. 조직 세포에 대한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병원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추출물의 단백질 농도 $12.0{\;}\mu\textrm{g}/100{\mu}\ell$ 이상에서 세포 독성에 따른 병원성 구분이 용이하였다. 그리고 질트리코모나스 추출물에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독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antipain 처리군에서는 조직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ysteine계로 추정되는 질트리코모나스의 단백분해효소는 특이한 전기영동 활성 분획상을 나타내었는 바 이들은 모두 충체의 병원성 및 세포 독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