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xidized soybean oi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자동산화 대두유의 돌연변이원성에 관환 연구 (A Study on the Mutagenicity of Autoxidized Soybean Oil)

  • 이진영;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11-617
    • /
    • 1999
  • 자동산화된 유지의 산패도와 돌연변이원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우유를 $60{\pm}2^{\circ}C$에서 자동산화시키면서 과산화물가가 일정한 수치에 도달한 시료를 대상으로 Salmonella typhimurium 변이균주 중 구조이동형(frame shift) 변이균주인 TA98, TA1537과 염기치환형(base-pair substituent) 변이균주인 TA100, TA1535 및 102를 사용하여 Ames test를 수행하였다. TA98은 대사활성화법에서, TA100은 직접법에서, TA1535 및 TA1537은 직접법과 대사활성화법 모두에서 돌연변이 활성이 인정되었으나 TA102는 시료유지의 전자동산화기간에서 돌연변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돌연변이원성이 과산화물가가 높은 시기에 나타나 유지의 과산화물 함량과 돌연변이 활성간에 갚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식용대두유에 대한 Chelating agent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ome Chelating Agents on Soybean Oil)

  • 조미자;함태식;권태봉;오성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30-36
    • /
    • 1989
  • 식용대두유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항산화제로서 Chelating agents의 항산화효과를 mild한 조건(67ml $O_{2}/min$, $50^{\circ}C$)하에서 A.O.M.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기기분석법 (UV,IR,MMR)에 의한 측정의 가능여부를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Chelating agents의 항산화 효과는 diphenic acid(109.3%), naphthoquinone(111.2%), pyremellitic acid(168.6%), Quinolinic acid(183.6%), naphthalic acid(921.2%)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Control에 비하여 각각 9.3, 11.2, 68.6, 83.6, 821.2% 증가하였다. 2. Chelating agents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철과 등을 첨가했을 경우에 현저하였다. 또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화합물의 관능기와 분자구조에 따라 다르며 diphenic acid, naphthoquinone 등에서 낮았다. 3. 본 실험과 같이 mild한 조건하에서 NMR 분석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으나 UV와 IR은 적당치 않았다.

  • PDF

식용대두유에 대한 Phenolics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ome Phenolics on Soybean Oil)

  • 조미자;권태봉;오성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37-43
    • /
    • 1989
  • 식용대두유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항산화제로서 phenolics의 항산화 효과를 mild한 조건 (67ml $O_{2}/min$, $50^{\circ}C$) 하에서 active oxygen method로 측정하였다. phenolics의 항산화 효과는 OH group의 수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ferulic acid(101.5%), quinalizarin(126.7%), sesamol(149.1%), alizarin(230.7%), fisetin(355.2%), purpurogallin(360.8%) 순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control에 비하여 각각 1.5,26.7,49.1,130.7,255.2,260.8% 증가하였다. 금속이온을 첨가할 경우 역시 항 산화효과를 나타내었으나 ferulic acid, alizarin, quinalizarin의 경우는 그 효과가 적었다. 본 실험과 같이 mild한 산화조건하에서 NMR 분석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으나 UV와 IR 분석법은 적당치 않았다.

  • PDF

Bangah(Isodon japonicus, Hara)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Bangah(Isodon japonicus, Hara)Leaves Extracts)

  • 김동필;최옥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42
    • /
    • 1996
  • To develop antioxidant substances in plant, phenolic compounds in Bangah (Igodon japonicus, Hara)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ell extracts were investigated. Defatted samples of Bangah were extracted with acetone/methanol and the extracts were fractionated Into the free and bound types of phenolics. The equal amounts of fractions were dissolved In soybean oil and autoxidized at 45$^{\circ}C$ for 25 days. Peroxide value and TBA values were determined every 5 days during oxidation. Changes of peroxide and TBA values showed antioxidant effects, which were lower than control during the oxidation periods. The effects of cell extracts were evaluated as high as BHT, 0.02 ppm. The antioxidative effect of insoluble-bound phenolic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free.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insoluble-bound fraction were also higher than free fr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