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lysat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오징어 간 가수분해물의 기능성 (Functionalities of Squid Liver Hydrolysates)

  • 이수선;박시향;박주동;;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77-1685
    • /
    • 2012
  • 북해도산 오징어 간의 유효이용을 목적으로 자가소화물과 Protamex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식품학적 특성과 몇 가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자가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은 간의 함량 93.5%, pH 6.4, 항온온도 $47^{\circ}C$였으며, Protamex 가수분해의 최적 조건은 오징어 간에 대한 Protamex의 첨가비율 0.33%, pH 6.0, 가수분해온도 $55^{\circ}C$이었다. Promatex 가수분해물의 총 아미노산 조성에서 proline, cysteine 및 methionine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조성에서는 검출되었다. 오징어 간, 자가소화물 및 Promatex 가수분해물의 카드늄 함량은 건조 중량으로 각각 $8.32{\pm}0.03$ mg/100 g, $3.56{\pm}0.02$ mg/100 g, $13.26{\pm}0.04$ mg/100 g으로서 식품안전 규정 이하의 농도로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자가소화물의 주요 저분자 물질의 분자량은 1.0~1.5 kDa인 반면, Protamex 가수분해물은 210~470 Da이었다. 자가소화물과 Protamex 가수분해물 간에 표면 소수성, 유화활성 지표, 유화안정성, 지방 및 수분 흡착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높은 ACE 효소 저해효과가 관측되었다. 한편 HepG2 세포주에 대한 독성은 200 ${\mu}g/mL$까지 관측되지 않았다.

자가 소화액 및 정어리 기질 코오지를 이용한 속성 정어리 액젓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Use of Sardine Meal Koji and Autolysates from Sardine Meat in Rapid Processing of Sardine Sauce)

  • 김영명;구재근;이영철;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7-177
    • /
    • 1990
  • 매쇄 정어리 육에 정어리 자가 소화액 및 정어리 코오지를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키므로서 질소 함량이 높고 풍미가 양호한 숙성 정어리 제조조건을 검토하였다. 정어리 자가 소화액의 제조조건은 마쇄한 정어리육에 $80\%$ 가수한 후 $55^{\circ}C$에서 180 r.p.m.으로 교반하면서 6시간 자가소화 시키는 것이 적합하였다. 속성 정어리 액젓 제조를 위한 식염 농도 및 발효 온도는 각각 $15\%$$40^{\circ}C$가 적당하였으며 마쇄정어리 육에 자가 소화액 및 정어리 기질 코오지를 각각 $10\%$ 첨가하고 식염, 밀가루, 정어리 자가 소화액을 각각 $15\%$, $10\%$$150\%$ 비율이 되도록 혼합한 후 $40^{\circ}C$에서 15일간 발효시키므로서 향미가 양호하고 질소함량이 높은 속성 정어리 액젓을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betha.-1, 3-glucanase 생성균의 분리 및 효소 생성 조건 (Isolation of .betha.-1, 3-glucanase producing strain and cultural conditions of its enzyme production)

  • 정기택;방광웅;송형익;김재근;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5-301
    • /
    • 1986
  • The bacteria, which were capable of producing ${\beta}-1$, 3-glucanase inducibly by utilizing cell wall of Aspergillus fumigatus as a sole carbon source, were isolated from soil in the campu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mong them, the strain which produced the enzyme excellently was selected and identified to be Pseudomonas stutzeri KF 13 by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examination.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enzyme production from Pseudomonas stutzeri KF 13 were investigated. the enzyme production was reached maximum state shen the broth cultured for 72hr at $30^{\circ}C$. And the enzym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medium containing 3.5% cell wall as an inducer, 15% yeast autolysate as a nitrogen source and 0.05% $MnSO_4$ at pH 7.5.

  • PDF

Penicillium vietnamense sp. nov., the First Novel Marine Fungi Species Described from Vietnam with a Unique Conidiophore Structure and Molecular Phylogeny of Penicillium Section Charlesia

  • Nguyen, Van Duy;Pham, Thu Thuy
    • Mycobiology
    • /
    • 제50권3호
    • /
    • pp.155-165
    • /
    • 2022
  • Penicillium vietnamense sp. nov. was isolated from Nha Trang Bay, Vietnam in June 2017. It is phylogenetically distinct from the sister species of Penicillium section Charlesia series Indica based on multi-locus sequence typing result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ribosomal RNA, b-tubulin, calmodulin, and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regions. It showed strong growth on Czapek yeast autolysate agar at 37 ℃, a strong acid production on Creatine sucrose agar, and produced short stipes, small vesicles, and subglobose to globose conidia delicately roughened with very short ridges. As the first novel marine fungi species described from Vietnam and discovered in a unique environment, the data could be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the taxonom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fungi in tropical coastal systems such as Vietnam.

Krill solube의 가공 및 아미노산 조성 (PROCESSING OF DRILL SOLUBLE AND ITS AMINO ACID COMPOSITION)

  • 이응호;김세권;조덕재;한봉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0
    • /
    • 1979
  • krill을 식용화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paste상 및 분말상의 krill soluble을 가공하고 제품의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 리의 조성을 검토하였다. 생동결 krill, 자가소화 및 $0.2\%$의 pronase-p의 첨가후의 가수분해에 의한 paste상과 분말상의 krill solube의 구성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 lysinge 및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cystine과 histidine이 가장 적었다. 생동결 krill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lysine, arginine, proline, glycine, alanine 및 leucine이 가장 많았으며, cystine과 histidine 그리고 구성아미노산에서 그 함량이 많던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적었다. 자가소화에 의한 paste상의 krill soluble의 유리아미노산에서는 생동결 krill에서 보다 glutamin acid, serine threonine, isoleucine, aspartic acid, valine 등의 량이 많아졌으며, 특히 glutamic acid는 거의 40배정도로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는 lysine, leucine, threonine 및 alanine 등이 많았으며 cyst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의 량이 적었다. $0.2\%$의 pronase-p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paste상의 krill soluble 유리아미노산에는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이 량이 자가소화시보다 월등히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및 proline이 많았으며 cystine, histidine, serine 등의 량이 적었다. 생동결 krill 및 drill soluble의 필수아미노산은 함량면에서 달걀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during the Autolysis Proces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X-2

  • Li, Xiao;Shi, Xiaodan;Zou, Man;Luo, Yudi;Tan, Yali;Wu, Yexu;Chen, Lin;Li, Pe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9-258
    • /
    • 2015
  • In this paper, the autolysis proces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X-2 (S. cerevisiae FX-2) via, a variety of endogenous enzyme, was investigated systematically by analyzing changes in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autolysate, surface morphology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yeast cells. As an explicit conclusion, the arisen autolysis depended on the pH and the optimal pH was found to be 5.5.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mycelia morphology, a hypothesis is put forward that simple proteins in yeast vacuolar are firstly degraded for utilization, and then more membrane-bound proteins are hydrolyzed to release hydrolytic enzymes, which arouse an enzymatic reaction to induce the collapse of the cell wall into the cytoplasm.

Clostridium butyricum ID의 자가분해 (Cellular Autolysis of Clostridium butyricum ID-113)

  • Kwag, Jong-Hui;Lee, Se-Yong;Kim, Tae-Han;Lee, Jung-Ch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68
    • /
    • 1989
  • 낙산균 Cl. butyricum ID의 자가분해 최적 조건과 특징을 조사하였다. 영양세포의 자가분해 최적 pH는 0.05M 완충용액에서 7.0 이었으며, 최적 온도는 37$^{\circ}C$였다. 자가분해 속도는 대수기의 영양세포가 가장 높았으며, 대수기 이후의 영양세포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대수기의 영양세포는 0.3M 이상의 NaCl, sucrose, glucose를 포함하는 배양액에서는 자가분해가 일어나 정상적인 증식을 할 수 없었다. 자가분해 효소는 균체내에서 세포벽에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였고 배양중 대수 증식기에 체외로 배출되어 배양액에도 존재하였다.

  • PDF

Catalytic Importance of the C-Terminal Region of a Fibrinolytic Enzyme from Lumbricus rubellus

  • Kim, Yu-Sam;Kim, Jeong-Eun;Byun, Hye-Sin;Chang, Chung-Soon;Suh, Jung-Jin
    • BMB Reports
    • /
    • 제28권5호
    • /
    • pp.398-401
    • /
    • 1995
  • Two fibrinolytic enzymes from the autolysate of Lumbricus rubellus were purified in homogeneous form. Their molecular sizes were 31,000 (Enz1) and 35,000 (Enz2) Da. respectively. However, th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s of Enz1 and Enz2 were exactly the same: Ile-Val-Gly-Gly-Ile-Glu-Ala-Arg-Pro-Tyr-Glu-Phe-Pro-Trp-Gl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z1 is a shortened form of Enz2 formed during autolysis. When a synthetic substrate, Ile-Pro-Arg-pNA, was used, the catalytic activity were observed in the pH range of 5-10 and the kinetic parameters including $K_m$ (1.6 ${\mu}m$) and $V_{max}$ (40 nmol/jmin/mg) were almost identical between the two enzymes. However,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Enz2 was at least 1.25 times higher than that of Enz1, suggesting that the C-terminal region of Enz2 is important in fibrinolysis but not in amidolysis. Furtheimore. fibrinolytic activity of the enzymes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the lipid extracted from L. rubellus in the presence of $MgCl_2$ or $CaCl_2$. The stimulatary effect of lipid on Enz2 was higher compared to Enz1.

  • PDF

돼지감자 Fructo 올리고당-Inulin이 돼지의 주요장내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inulin of Jerusalem artichoke on the Growth of Intestinal Microorganisms of Pig)

  • 김창곤;김수일;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5-399
    • /
    • 1993
  • 돼지분변의 균총조성을 steel-wool 방법으로 배양하여 조사한 결과 총균수는 분변 g당 $10^{9.83}$으로 나타났고 Bacteroidaceae와 Peptococcaceae의 수가 각각 $10^{9.3},\;10^{9.2}$로 나타나 최우세균으로 밝혀졌다. 그 다음으로 Lactobacilli, Eubacteria, Clostridia의 수가 각각 $10^{8.79},\;10^{8.23},\;10^{7.14}$으로 나타났다. 돼지감자 가수분해물로부터 분리해낸 fructo 올리고당-inulin(FOSI)이 돼지의 주요 장내세균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분변배지’와 PYF broth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두 배지에서 총균수와 Lactobacilli는 FOSI 첨가구에서 당무첨가구에서보다 훨씬 많이 나타났고 포도당 첨가구에 비해서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Bifidobacteria는 당무첨가구와 포도당 첨가구에 비해 약$50{\sim}500$배 이상 많은 수로 나타났다. FOSI의 첨가에 의해 Clostridia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E. coli는 Lactobacilli와 Bifidobacteria의 경우와는 반대로 FOSI 첨가구에서 $10^{-1}{\sim}10^{-3}$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 PDF

닭폐기 부산물 Silage와 소맥피 혼합 및 오븐건조에 따른 일반성분과 미생물 총균수 변화 (Proximate Composition and Microbial Content Change of Broiler Waste Silage by Mixing with Wheat Bran and Oven-drying)

  • 차상협;조재휘;정건섭;장판식;이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3-67
    • /
    • 1995
  • 닭 가공부산물의 재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산물에 산을 첨가하여 자가분해(autolysis)시켰다. 자가분해 중 일어나는 pH와 지방산 조성변화 그리고 자가분해산물(autolysate)과 소피맥의 혼합과 혼합물 건조에 따른 일반성분과 미생물 총균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마쇄한 부산물의 초기 pH 6.52는 산 첨가 직후(5분 내) 2.75로 급격히 내려갔다가 자가분해 중 약간 증가해서 $3.06{\sim}2.92$를 유지하였다. 일반성분과 지방산 조성은 자가분해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나 미생물 총균수와 진균수의 log CFU/g은 각각 7.45와 7.11에서 자가분해 후 3.39와 2.03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자가분해는 닭 가공부산물의 사료자원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