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ism disorder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초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 인식 비교 (Emotion Recogni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Comparison of Musical and Visual Cues)

  • 윤예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과 일반 아동(Typically developing, 이하 TD)의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4가지 기본정서(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 인식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 만 7세~13세 아동 9명과 일반 아동 14명으로, 모든 참가자를 대상으로 4가지 기본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음악 과제와 시각 과제를 실시하였다. ASD 아동과 TD 아동의 단서 조건, 즉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에 따른 정서를 인식하는 정확도와 정서 유형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결과, ASD 아동이 TD 아동에 비해 정서 인식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시각 단서보다 음악 단서에서 정서 인식 정확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정서 유형에 따른 차이는 ASD 아동과 TD 아동 두 그룹 모두 음악 단서에서 행복이 정서 인식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고, 시각 단서에서 ASD 아동은 행복이 TD 아동은 분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ASD 아동은 음악 매체가 제공되었을 때 시각 매체보다 정서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ASD 아동 대상 정서와 관련된 첫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비장애 형제간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협력적 악기연주 프로그램 적용 사례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Neurotypical Siblings Through a Cooperative Music Playing Intervention)

  • 정진원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2호
    • /
    • pp.61-88
    • /
    • 2023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과 비장애 형제를 대상으로 협력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형제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대상자는 만 7-12세 ASD 아동 3명과 만 6-11세 비장애 형제 3명으로 ASD 아동과 비장애 형제로 구성된 각 그룹이 40분씩, 주 2회, 총 8회기의 중재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동시적 행동 수행의 단계, 상호보완적 행동 수행의 단계, 협력을 통한 공동의 목표 성취의 단계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매회기 중재 시 ASD 아동과 비장애 형제에게 나타난 상호작용 시작·반응행동, 연쇄적 상호작용 행동 및 협력적 연주 행동을 관찰하여 측정하였으며 중재 전후 비장애 형제는 형제관계척도를 보호자는 보호자가 지각한 형제관계척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 시작·반응행동, 연쇄적 상호작용 행동, 협력적 연주 행동이 중재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보호자와 비장애 형제가 평정한 형제관계척도의 평정 점수 또한 프로그램 후 증가하였으나 형제 갈등 및 경쟁의식 하위 영역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형제간 접촉이 증가하면서 갈등과 경쟁의식을 경험하는 기회 역시 증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ASD 아동과 비장애 형제가 함께 참여하는 중재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협력적으로 연주하는 중재가 형제간 상호작용 시도 및 친밀감 증가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pp-기반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대화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Novel App-based Listener Responsiveness Conversation Training Program on Enhancing Conversa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 조희정;김소연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115-128
    • /
    • 2023
  •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App-기반 청자 대화기술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6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전반적 발달장애로 진단된 초등학생으로, 연령과 IQ, SCQ, ASSQ 점수를 사용하여 중재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짝지어 분배하였다. 중재 집단은 9주 동안 교사와의 비대면 학습을 주 1회 실시하고, 가정에서도 부모 또는 아동이 앱(App)을 활용하여 대화훈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다른 특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훈련 전과 후에 평가자와 아동 간의 1:1 대화를 수행하여 대화 자료를 수집하고,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 운용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집단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중재 집단은 청자 조건에서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유지되었고, 통제 집단은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화자 조건의 대화 차례 주고받기에서는 개시율과 유지율이 증가하고, 주제 운용능력에서는 적절한 주제 개시율이 증가하고, 부적절한 주제 개시율은 감소하였다. 논의에서는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대화 양상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Analysis of Joint Atten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Type of Attentional Cue and Reinforcing Stimulus)

  • 김온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1권1호
    • /
    • pp.69-87
    • /
    • 2024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비장애(neurotypically developing, 이하 NT) 아동 그룹과 비교하는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ASD 아동 13명과 NT 아동 1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의 반응을 유도하는 단서(음악적 단서 대 언어적 단서)와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에 대한 후속 자극(언어 자극 대소리 자극 대 음악 자극)을 구성하고 총 6가지 과제 조건을 2회씩 총 12회 제시하였다. 먼저, 주의 유도 단서를 제공하고 3초 이내 대상자의 주의 전환을 평가하였고 대상자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나타난 경우, 후속 자극을 제공하였으며 후속 자극을 제공하는 동안 대상자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발생 빈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 유도 단계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제공했을 때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수준을 높게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이어 후속 자극 제공 단계에서는 음악 후속 자극이 ASD 아동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음악 후속 자극이 단서로서의 감각자극에서 나아가 대상자로 하여금 타인의 사회적, 정서적 정보를 이해하고 반응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ASD 아동의 공동주의 행동 이후 제공하는 후속 음악 자극이 효과적인 사회적 강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anaging the behavior of a patient with autism by sedation via submucosal route during dental treatment

  • Jo, Chan-Woo;Park, Chan-Hee;Lee, Jong-Hyug;Kim, Ji-Hu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157-161
    • /
    • 2017
  • In sedation via the submucosal route, the drug is administered through the maxillary buccal submucosa. It is time saving, effective, and safe. Patients with autism, a mental disorder, often find it hard to mak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These patients display a strong resistance to dental treatment and sedation. This study reports a successful case of behavioral management during dental treatment, using sedation via the submucosal route. The patient was strongly resistant to sedation via the oral, intramuscular, and intravenous routes. The drug used was 9 mg (0.1 mg/kg) of midazolam. Through this case report, we reaffirm the significance of sedation via the submucosal route, and expect that it will be used more frequently for patients with autism, who display behaviors that are difficult to manage, patients with other disabilities, and children.

How Well Do We Understand Autistic Savant Artists: A Review of Various Hypotheses and Research Findings to Date

  • Seungwon Chung;Jung-Woo S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2호
    • /
    • pp.93-111
    • /
    • 2023
  •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utistic savant artists, hypotheses on the proximate and ultimate causes of their emergence, recent psychological and other studies about them, and psychological and neuroaesthetic studies about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The artistic features of autistic savant artists were significantly similar to those of outsider artists. Furthermor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aradoxical functional facilitation theory, the superior visual perception hypothesis, the "Hmmmmm" hypothesis, and the Neanderthal theory of autism regarding the emergence of autistic savant artist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an increase in savant characteristics was related to a decrease in the ability for social communication. The authors suggested that in studie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their aesthetic experience ability is never lower than that of neurotypical individuals and that some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may potentially have artistic talent. Finally, the authors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the "autism savant spectrum syndromic disorder" proposed by some researchers.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studies on autistic savant artists from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are warranted.

The effect of game-based dual-task training for executive function and repetitive behaviors in patients with autism

  • Yu, Jae-ho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4-395
    • /
    • 2022
  • Exergame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healthcare/rehabilitation. It has also been used to improve motivation among patients with reduced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pilot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augmented reality (AR) with game-based cognitive-motor training programs for executive function,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s (RRB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ixteen children aged 6 -16 year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utcome measure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included executive function,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 A satisfactory survey was conducted post-interv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working memor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5). However, despite no statistical improvements in cognitive inhibition and four subscales of RRBs, promising changes were observed in all the subscales of the executive function and the behavioral outcomes. Parents appreciated the program and children enjoyed the interaction with the AR game-based training. The findings of this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showed that AR using Kinect v2 motion with a cognitive-motor game content can be used for children with autism. However, there is a need for conducting a large-scale study to evaluate his effectiveness on executive function and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s.

  • PDF

소아기 붕괴성 장애 1례 (A CASE OF THE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 강병구;조수철;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110-119
    • /
    • 1996
  • 1908년에 Heller는 일정한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달 과정을 밟다가 발달적 퇴행을 하는 소아를 관찰한 후 '유아기 치매'라고 명명하여 보고하였다. 그러나 후속 연구가 부족하여 정확한 개념 정립이 안된 상태에서 그 명칭도 유아기 치매, Heller 증후군, 붕괴성 정신병, 붕괴성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등 여러가지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DSM-IV및 ICD-10에 의해 소아기 붕괴성 장애라는 독립된 진단명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그 개념, 특성, 자폐증 및 유사한 다른 병들과의 관련성, 그리고 병의 치료 및 예후 등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아직 이 병에 대한공식적인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본 저자들은 소아기 붕괴성 장애로 생각되는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것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Magnesium Statu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or Autism Spectrum Disorder

  • Skalny, Anatoly V.;Mazaletskaya, Anna L.;Ajsuvakova, Olga P.;Bjorklund, Geir;Skalnaya, Margarita G.;Chernova, Lyubov N.;Skalny, Andrey A.;Tinkov, Alexey A.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1권1호
    • /
    • pp.41-45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erum, hair, and urinary magnesium (Mg) level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both ASD and ADHD to reveal potential interactive effects. Methods: A total of 148 boys aged 4-9 years ol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ncluding 44 children with ADHD, 40 pediatric patients with ASD, 32 patients with both ADHD and ASD, as well as 32 healthy neurotypical children. Hair, serum, and urinary Mg levels were assessed using inductively-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Laboratory quality control was performed using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of human hair, plasma, and urine. Result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serum Mg levels was observed. Mg content in hair was found to be reduced in children with ADHD and ADHD+ASD compared to that in healthy controls by 11% and 15%, respectively. Urinary Mg levels in children with ADHD+ASD exceeded the control, ADHD, and ASD values by 51, 76, and 65%, respectively. Factorial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contribution of ADHD to hair and urinary Mg leve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hair and urinary Mg levels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omplexity. Conclusion: We propose that impaired Mg status may provide a link between ADHD and AS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Behavior Problems Inventory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nd/or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 Hwang, Samuel Suk-Hyun;Park, Jangho;Kim, Sohee;Lee, Gayoung;Kim, Yeni;Bhang, S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1호
    • /
    • pp.7-13
    • /
    • 2018
  • Objectives: Problem behaviors pose a great obstacle to daily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eficits and are an important target for treatment. In this study, we translated 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 (BPI)-01 into Korean language and tested its psychometric properties. Methods: We attained the approval of the BPI author and performed standard translation-back translation. Then, professional caregivers examined appropriateness according to cultural and situational contexts in order to make necessary modification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PI. Results: The BPI-01, Korea-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K-SIB-R),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were completed for 98 autistic spectrum disorder or intellectual development disorder participants (mean age=28.3, standard deviation=7.3, range=10.1-51.7).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BPI-01 was found to be high (r=0.992-1.000). As for the results for concurrent validity for subscale items of BPI-01 and scales of SIB, correlations between SIB and BPI-01 subsc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0.357-0.672). Discus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BPI-01 showed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with high reliability and sufficient convergent validity. Further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BPI-01 should be carried out with inclusion of younger aged children and a closer look at less frequently occurring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