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gmented virtualit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3차원 환경 복원을 위한 다중 키넥트의 마커리스 캘리브레이션 (Marker-less Calibration of Multiple Kinect Devices for 3D Environment Reconstruction)

  • 이수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142-1148
    • /
    • 2019
  • Reconstru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3D) environment is a key aspect of augmented reality and augmented virtuality, which utilize and incorporate a user's surroundings. Such reconstruction can be easily realized by employing a Kinect device. However, multiple Kinect devices are required for enhancing the reconstruction density and for spatial expansion. While employing multiple Kinect devices, they must be calibra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dvance, and a marker is often used for this purpose. However, a marker needs to be placed at each calibration, and the result of marker detec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calibration accuracy. Therefore, a user-friendly, efficient, accurate, and marker-less method for calibrating multiple Kinect devices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proposed method includes a joint tracking algorithm for approximate calibration, and the obtained result is further refined by applying the iterative closest point algorithm.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 convenient alternative to conventional marker-based methods for calibrating multiple Kinect devices. Hence, the proposed method can be incorporated in various applications of augmented reality and augmented virtuality that require 3D environment reconstruction by employing multiple Kinect devices.

심리적 거리로서의 가상성 : 가상성에 따른 광고메시지 전략 (Virtuality as a Psychological Distance : The Strategy for Advertisement Message Appeal Depending on Virtuality)

  • 박도형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4권2호
    • /
    • pp.39-54
    • /
    • 2017
  • At present, various technologies are rapidly advancing, centering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From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 which allows us to experience the senses as if they existed, to the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which provides new information or services based on reality, they are no longer strange things for ourselves because we experience them every day and night. Even though the concept of virtual is very familiar in terms of technology, it is not known how individuals accept the concept of virtuality, how they change our way of thinking, and how their behavior changes. This study aims to approach virtuality perceived by the individual from the viewpoint of individual's information processing. Virtuality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the situation facing an individual is far from actual reality. An individual can judge the degree of virtuality easil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is study, we have confirmed whether the argument is applied to the real world in the context of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construal level theory, when an individual feels virtuality at a high level, the individual thinks that the situation they are facing is psychologically distant and accordingly has a high level construal. Therefore, it is more influenced by 'advertisement emphasizing symbolic appeal' which is matching with higher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an individual feels a low level of virtuality, the individual thinks that the situation they are facing is psychologically near and thus has a low level construal. Therefore, respondents are more sensitive to functional appeal, which is related to lower level. This study ha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erms that the degree of virtuality affects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individual.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contribution in terms of being able to be actively used in the information delivery strategy centered on the advertisement.

미디어 재매개적 관점에 의한 증강현실 가상성과 주체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Virtuality and Subjectivity of Augmented Reality in Media Remediation)

  • 김진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19-530
    • /
    • 2011
  • 본 논문은 증강현실이 일상적 공간위에 표상된 시공간을 새롭게 느낄 수 있도록 맥락적 인식을 가상화시키고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혼합하는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가상성 개념을 중심으로 주체성을 전통적 미디어 관점에서 해석해내고자 한다. 미디어 재매개 관점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를 중심으로 현실 반영성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밝힘을 통해, 증강현실은 기존 미디어와는 달리 스크린을 주체 일부로 기능하게 하고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관찰자, 조작자를 포괄하는 완벽한 디지털미디어의 주체로 전환시켜줌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 참여 가상공간 스토리북 구현 (A study of user performed Virtual Space Storybook)

  • 박수진;정문열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15-12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가상공간 스토리 북을 기획하고 구현하여 연구 실험 하였다. 구현한 스토리북은 시나리오를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시나리오상의 미션을 수행해야 시나리오가 진행이 되는 것이다. 가상공간 스토리 북의 시나리오를 진행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프로젝션으로 가상공간을 구현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 맞추어 사용자는 실제 물체를 가져와 가상의 공간에 실제 물체를 삽입한다. 세 번째, 실제 물체와 대응되는 3D모델이 증강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증강된 이미지와 실제 물체를 자유롭게 제어함으로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시나리오를 체험한다. 구현한 결과물은 3명의 5살 어린이들에게 유저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어린이는 가상공간 스토리북을 매우 잘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실제 물체를 가상의 공간에 집어넣는 과정을 이해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어린이는 현실과 가상을 혼돈하지 않고 실제 물체와 가상 이미지를 구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가상공간 스토리 북을 통해 가상의 공간위에 실제 물체를 증강시키는, 방식을 가진 가상공간 스토리북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증강현실을 위한 가상 공간좌표 생성 (Cyberspace Coordinate Create for Augmented Reality)

  • 반경진;류남훈;김경옥;한재정;김응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5-769
    • /
    • 2009
  • 기존의 증강현실은 객체와 배경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하여 데이터 글러브나 마커 등을 이용하였다. 이는 사용에 불편함과 몰입감 저하의 결과를 발생한다. 증강현실에서 몰입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입력장치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마커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정확한 공간좌표의 인식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에서의 몰입감 향상을 위해 부가적인 입력장치의 착용없이 상호 작용을 하기 위한 가상의 공간좌표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획득한 영상을 2차원 공간상에 투영하고 특징선을 추출하여 투영된 가상공간좌표를 계산하여 가상의 객체를 투영하였다. 이는 Markerless 증강과 모바일 증강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 PDF

혼합현실의 단초 - 20세기 영상예술과 인터랙티브 아트를 중심으로 (Beginnings of Mixed Reality : 20th Century Visual and Interactive Art)

  • 김희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315-333
    • /
    • 2013
  • 본 연구는 오늘날의 혼합현실 기술이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20세기 영상예술과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그 본격적인 단초를 찾아볼 수 있음을 탐구하고자 한다. 먼저 사진예술의 경우 평면에 입체를 표현하고 현실과 가상의 이미지를 혼합하여 혼합현실을 드러낸다. 포토그램은 2차원 평면이미지와 3차원 입체감을 동시에 느끼게 하였고, 포토몽타주는 다양한 사진을 결합하여 현실과 가상을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영화에서는 오브제와 CG를 활용하여 가상과 현실을 결합하려 시도했다. 초기영화는 필름과 실물 오브제를 합성하였고,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사 이미지 위에 오브제 CG를 혼합하다가 배경 CG의 합성으로 나아갔다. 마지막으로 원격현전예술은 현실과 가상, 주체와 객체의 경계를 허물어 혼합현실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도했다. 현실 속의 가상공간과 가상속의 현실공간을 오가거나 원거리 참여자의 원격제어로 혼합현실을 재현한다. 앞으로 혼합현실의 발전을 위해서 영상예술과 인터랙티브 아트의 참조는 더욱 필요할 것이다.

혼합증강현실에서 라이브 행동자와 실체 표현을 위한 표준 모델 (Standard Model for Live Actor and Entity Representation i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 류관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92-199
    • /
    • 2016
  • 혼합증강현실 기술은 순수 현실세계와 순수 가상세계를 제외한 증강현실과 증강 가상을 포함하여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혼합하는 내용을 다룬다. 혼합증강현실에서 현실세계에서 움직이는 라이브행동자와 실체(LAE: live actor and entity)가 3D 가상공간과 혼합하여 자연스럽게 표현될 수 있으면, 원격 3D 몰입 회의, 3D 가상 체험 교육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AE를 3D 가상공간에 자연스럽게 혼합하고, 서로서로 상호작용할 수 모델을 표준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을 기반으로 LAE의 혼합과 상호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Spatial augmented reality for product appearance design evaluation

  • Park, Min Ki;Lim, Kyu Je;Seo, Myoung Kook;Jung, Soon Jong;Lee, Kwan H.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38-46
    • /
    • 2015
  • Augmented reality based on projection, called "Spatial Augmented Reality (SAR)", is a new technology that can produce immersive contents by overlapping virtuality and real-world environment. It has been paid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digital contents in media art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thodology to evaluate the product appearance design more intuitively by means of SAR technique. The proposed method first projects the high-quality rendered image considering the optical property of materials onto the mock-up of a product. We also conduct a projector-camera calibration to compensate a color distortion according to a projector, a projection surface and environment lighting. The design evaluation methodology we propose offers more flexible and intuitive evaluation environment to a designer and user (evaluator) than previous methods that are performed via a digital display. At the end of this research, we have conducted a case study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appearance design of an automobile.

자기노출 심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로봇 콘텐츠의 효과 (The Effect on the Contents of Self-Disclosure Activities using Ubiquitous Home Robots)

  • 김수정;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7-63
    • /
    • 2008
  • 본 연구는 인간의 자아표현 욕구와 창조적 욕구로 인해 자신을 대체할 산물들을 끊임없이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되는 자기노출이라는 심리를 이용하여 아바타와 학습자의 얼굴을 합성하는 증강가상을 통하여 가상세계에서의 현실감을 부여함으로써 학습자의 몰입을 유도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증대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증하기 위하여 컴퓨터기반으로 콘텐츠를 개발한 후, 로봇 콘텐츠로써의 활용을 위해 컨버팅하고 자동 로딩을 통한 학습자의 사진을 아바타와 합성시켰다. 실험 결과 자기노출 기반 콘텐츠의 효과는 모든 집단의 경우에서 학습에 대한 집중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자기노출 개념 적용에 대하여 긍정적인 결과라고 보여지는데, 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단순히 사진을 찍어 로딩하는 증강가상보다는 얼굴검출을 통한 실시간 증강가상과 같은 증강가상 효과의 증대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Multi-Marker에 관한 기법 (Techniques on Multi-Marker for the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 김학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09-1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가상과 현실을 이어주는 하나의 방법인 마커(Marker)인식방법에서 멀티마커방법을 사용하여 복잡한 환경이나 또는 손으로 가려지는 현상에서도 추적이 가능한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마커인식 방법은 한 개의 마커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마커가 가려짐 현상에서 객체가 깜박이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 시스템에서 마커가 가려지더라도 여러 개의 마커가 가려진 마커를 대신함으로써 증강된 객체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관점 매트릭스(perspective matrix)를 이용한 멀티 마커 추정 방법으로 다른 연산이 없기 때문에 빠르게 추정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구현된 기술은 영상으로부터 다양한 환경에서 마커를 인지하고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로써 다양한 환경에서 3차원 객체를 표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