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toward the elderly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노인의 자살에 대한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Attitudes of Elderly Koreans toward Suicide - a Q-Methodological Approach -)

  • 조계화;이현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05-91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suicide attitudes among the Korean elderly. Method: The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irty-four selected Q-statements from 38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using a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QUANL PC program. Result: Three types of suicide attitudes for research subjects in Korean elderly were identified. Type I is understanding suicide-self conquest and labor type, Type II is opposing suicide-family band foundation type, and Type III is sympathizing with suicide-painful situation escaping typ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three types of suicide attitudes among Korean elderly.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노인환자 유사체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rsing Students' Elderly Patient Simulation Experience)

  • 오현수;정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58-3367
    • /
    • 2013
  • 본 연구는 충청북도 소재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88명(실험군: 47명, 대조군: 41명)을 대상으로 노인환자 유사체험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결과변수로는 노인 및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와 공감 정도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환자 유사체험은 간호대학생의 노인 및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 못하였으나 공감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은 노인환자 유사체험에 대한 제한점으로 1회성의 단편적 경험, 노화에 대한 불안감 야기, 체험복장의 현실감 부족, 체험 과정 중의 사고 위험성 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제한점이 유사체험의 긍정적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점들을 고려하여 중재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제공한다면 중재가 간호 대학생들의 노인환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공감적 이해증진으로 이어지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양보호사의 노인 돌봄 태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he Caregiver Attitude toward Care of the Elder)

  • 강혜승;이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59-464
    • /
    • 2019
  • 본 연구목적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감정노동, 회복 탄력성이 노인 돌봄 태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 및 유지를 위한 전략을 제공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로 D시, K도 요양보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결과 분석 프로그램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돌봄 태도는 $3.56{\pm}0.90$점, 감정노동은 $3.23{\pm}0.74$점, 회복 탄력성은 $3.94{\pm}0.40$점이었다. 노인 돌봄 태도는 회복 탄력성(r= .294, p<.005)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노인 돌봄 태도의 설명력은 15.6%로 회복 탄력성(${\beta}=.360$, p= .002), 근무 형태(${\beta}=-.282$, p= .001)가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요양보호사들에 관한 근무형태가 안정적일수록 자신의 직무인 노인 돌봄 태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어려운 상황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회복 탄력성에 관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볼 필요성이 있다.

사회과학적 융합을 통한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조사 (Study on Attitude of the Elderly among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Therapy through social science convergence)

  • 문소라;김명철;이민수;김남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57-1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학적 융합을 통한 물리치료학을 전공하는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의 정도를 분석하여 노인을 위한 의료서비스의 개발 및 노인 물리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전체 1027명의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노인관련 경험 및 노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anders(1984)의 의미분별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방법은 t-test, ANOVA와 Scheff test를 사용하였다. 노인에 대한 태도의 긍정도는 46.0%였다. 30대 이상 집단에서 51.48%로, 남학생 집단이 47.52%로 더 긍정적이었다. 노인관련 강의수강 경험이 없을 경우 와(t=-2.035, p=0.0042) 노인과의 동거경험이 있는 경우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t=2.951,p=0.003). 학생들의 노인관련 교육과정에서 노화현상을 긍정적인 관점에서도 볼 수 있도록 강의 및 실습에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물리치료사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개선,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전남 일부지역 노인들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 (Th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in Jeolla province)

  • 김은미;이향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3-20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result as basic resources for oral health project for elderly people. we found the needs of oral health project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of elderly people. we conducted a study on 194 elderly more than 60 years living in several social welfare facility, asylum, or care centers in Jeolla province. Through self-filled questionnaires and direct interviews from December 2008 to January 2009. The obtained result were as follows. 1. I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57.7% of respondents said they have hypersensitivity and 42.8% of respondents needed denture. 2. In oral health promoting behavior, 67.0% of respondents said they didn't have any tooth brushing and 45.9% of respondents said they haven't visited to dentist for the last year. 3. In oral health knowledge, 94.8% of respondents gave correct answers on dental caries prevention but only 7.2% of respondents gave correct answers on dental caries cause. 4. In oral health attitude, 40.2% of respondents said they don'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ral hygiene devices. 46.9% of respondents the unnecessary to see a dentist even though they don't have toothache. 5. Needs of oral health project, 53.6% of respondents said they wanted to have a dentist come over their house. Therefore, oral health projects should have vehicles of dental treatment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visit places where elderly people live and treat them in person. Also, it is vital to continue educate people about oral health knowledge in a systematic way to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oral health. Moreover,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more proactively.

  • PDF

일상생활수행 제한 노인들의 재활운동행위의 실천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Influential Factors on Rehabilitation Exercise Practice in Elderly Lmited Activities of Daily-Living: An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수민;박재용;한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71-281
    • /
    • 2010
  • 이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하여 일상생활수행에 제한이 있는 노인 환자들의 자발적 재활운동 행위의 실천에 영향을 주는 예측인자를 분석하고자 부산 경남지역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한 노인 중일상생활수행에 제한이 있는 350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자 중 316명에 대해 4주간의 재활운동교육을 시행하고 2주후 재활운동 실천 행위를 확인하기 위해 2차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재활운동행위에 대한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태도(.61), 지각된 행위통제(-.56), 주관적 규범 (.27) 순이었으며, 운동행위 실천에 대해 의도는 유의하였으나, 지각된 행위는 유의하지 않아 선행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태도가 지각된 행위통제에 비하여 의도를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인일수록 주관이 강하고 자신의 생각을 쉽게 바꾸지 않는 성향에 따라 태도가 의도로 표출되는 것이므로 재활운동행위의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건강신념을 가지게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최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노인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a Geriatric Nurs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고지운;양지원;정미영;차선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63-372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 돌봄에 대한 이론과 실습교육이 융합된 노인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 간호실천 의지 및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로 연구대상자는 충청남도 A시 소재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9명이었다. 인성함양, 역량개발, 글로벌 역량개발, 지역공헌을 포함한 노인간호 융합교육프로그램은 2017년 8월 28일부터 2017년 12월 8일까지 80시간 동안 진행 되었다.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Z=-.46, p=.66), 노인 간호 실천(Z=-.64, p=.53), 글로벌 역량(Z=-1.08, p=.2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노인간호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간호대학생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노인과의 경험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노인간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 형성을 위하여 교과목 간 융합과 연계 및 노인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실습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Distance toward Older Adults of Nursing Students)

  • 하지연;박주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39-54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social distance toward older adult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137 students in a nursing colleg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March 2019. The measurement instruments included social distance scales, the Fact on Aging Quiz (FAQ I), a 20-item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assess attitudes), and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otal score for social distance toward older adults was 3.98±0.54 out of a maximum of 5. Social dist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nowledge (r=.20, p=.022),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r=-.31, p<.001), and elderly stigma (r=-.27 p=.008).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were education in geriatrics (β=.33, p=.004), grade (β=-.29, p=.014), attitudes (β=-.21, p=.018), academic major satisfaction (β=.19, p=.028), and knowledge (β=.15, p=.04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4%.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departmental efforts that nursing students acquire correct knowledge about the life and health of the elderly with the aging process and develop positive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n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um and community senior-college student link programs.

A Comparison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Attitude Groups Regarding Elderly Lives and Living Arrangements

  • You Byung-Sun;Hong Hyung-Oc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1호
    • /
    • pp.117-12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opinions on elderly housing and attitudes toward the problems related to elderly lives, which were due to dependence or independence in later lif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ddle-aged people in their fifties, living in Seoul. The final sample included 498 respondents. Sinc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focused only on independent and dependent groups, total cases for the analysis were 37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that was more independent in later life tended to be healthier, lived with a husband or wife, had no children, and had more monthly income and assets. Secondly, the group that was more independent in later life believed that they had the sole responsibility of resolving later life issues. The group that was more dependent believed that their family, not themselves, must resolve their later life problems. The independent group wanted to continue their work or enjoy leisure. Thirdly, the group that was more independent about elderly housing stated that they were responsible for it, while the other group stated that their family w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general idea, and social interest. However, the independent group answered that mor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lderly housing were needed. The expected living arrangement in their later lives was similar. Also,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living with family or the demand for service from elderly housing.

신체억제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인식과 태도 (Elderly Care Worker's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Uses of Physical Restraints)

  • 성병주;고성희;이영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495-504
    • /
    • 2016
  • 본 연구는 신체억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및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신체억제에 대한 인식 정도는 전체평균 2.83점(5점 만점)이었고, 대상자의 신체억제에 대한 태도 정도는 전체평균 3.56점(5점 만점)이었다. 대상자의 신체억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r=.3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신체억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점수가 낮은 문항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신체억제의 적절한 사용방법에 관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신체억제 적용기준과 관련된 지침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노인의 인권보호를 위해 신체억제 감소 및 폐지를 위한 노력과 관심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