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ssment literacy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초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A Study on Exploring Digit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rough Analysis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35-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의 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 및 정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의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둘째, PISA 독서 리터러시 개념과 평가틀에는 독서 전중후의 전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평가틀은 Big6 Skills와 같은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인지적 과정과 유사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였으나 차이점도 있었다. 넷째, 평가틀에는 디지털 독서가 반영되었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은 사서가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 모형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An Assess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박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90
    • /
    • 2005
  •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를 위한 루브릭과 평가지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평가 도구 개발의 이론과 과정을 고찰하였고, 대학 단위, 지역 전문대학 단위, 주정부 단위, 고등학교 학군 단위에서 개발한 미국의 평가 도구를 분석하여 우리 고등학생의 정보활용 능력 평가 도구를 제시하였다.

  • PDF

한국형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 평가 개발 및 연구 동향 분석 (Development on Korean Visualization Literacy Assessment Test(K-VLAT) and Research Trend Analysis)

  • 김하늘;김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96-1707
    • /
    • 2021
  • 최근 정보 기술의 성장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같은 다양한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에서 필수적이고, 일상생활 모바일 앱에서도 다양하게 쓰이는 데이터 시각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데이터 시각화 활용 능력을 측정하는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 평가 체계에 대해서 다룬다. 2016년에 개발된 영문형 데이터 시각화 활용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 체계(VLAT, Visualization Literacy Assessment Test)에 대해서 설명하고, 한국형에 맞춰 개발한 K-VLAT 평가 체계를 소개한다. K-VLAT은 국내 사용자의 맥락에 맞춰 12개의 시각화와 53개의 문항을 웹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의 연구 방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영문형 VLAT을 참조한 79건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4개의 대분야 및 11개의 소분야로 분류하였으며,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와 관련한 인지, 체계에 대한 확장, 교육과의 연계, 사용자 중심형 대시보드 개발 및 효과 평가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른 K-VLAT의 향후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PISA 문항을 활용한 예비 수학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Assessment Literacy Using PISA Items)

  • 이민희;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57-175
    • /
    • 2015
  • 교사는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평가방법을 선택하고, 평가의도에 따라 적절한 평가문항을 개발하며, 학생들의 응답을 평가의도에 따라 해석할 수 있는 평가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수학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의 수학적 지식과 사고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전문성을 가져야 하는데, PISA의 삼차원 평가틀과 문항은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34시간 동안 이루어진 강의에서 예비 수학교사에게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수학적 과정, PISA 2012 평가틀의 맥락을 축으로 갖는 평가틀을 제시하고, 이 평가틀을 토대로 1, 2차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개발 문항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수학적 과정과 맥락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하고, 상세한 채점 기준을 개발하는 평가 전문성이 신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 for Asia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 안지숙;양숙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0-34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elf-report measure for easy assessing of the health literacy of Asia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Methods: After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tent validity evaluation, 14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These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Data were collected from 229 Asian immigrant women.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Results: Factor analysis yielded final 10 items in three factors: primary functional and interactive health literacy, secondary functional and interactive health literacy,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which explained 61.90% of the total variance of health literacy. In known-group comparisons, 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ly lower in recent immigrants, those with a low education level, and those with low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convergent validity, health liter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alth specific self-efficacy and maternal health knowledge.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health liter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ALM-SF.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alpha}$) of the instrument was .773. Conclusion: The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 for Asian Immigrant Women (HLAS) represent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which encompasses functional, interac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This self-report HLAS can be a useful and convenient method for appraising the health literacy of Asian immigrant women.

CBA 시스템을 활용한 정보화 역량 검사도구 개발 - OECD PIAAC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CT Literacy Assessment Tool Using Computer Based Assessment(CBA) System - Case of OECD PIAAC)

  • 이수영;이영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25-132
    • /
    • 2011
  • 본 논문은 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역량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고 정보화 시대의 역량 특성이 반영된 정보화 역량 검사도구 개발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2007년부터 초 중 고등학생들의 ICT 리터러시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여 국가 수준의 ICT 리터러시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웹기반의 선다형과 수행형 ICT 리터러시 검사 시스템은 정보화 역량 고유의 특성을 완전히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OECD에서 연구개발 중인 PIAAC(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의 컴퓨터 기반 정보화 역량 검사도구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보화 역량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

한의약 건강정보이해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한의 진료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patter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medicine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 박정수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3-40
    • /
    • 2018
  • Objectives : Health literacy can affect medical results. This study aimed to detect to the modify point of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s. Methods : The general Korean Medicine service procedure was recorded and categorized. The participants were in- or out-patient of Korean Medical hospital. Written informed consents were obtained. Results : A total of 20 patients participated, with nine males and eleven females. The chief complaints were pain, growth, cerebral infarction sequela, dyspepsia, diarrhea, feeling of helplessness, mental stress, postpartum symptoms, and menstrual disorder. The Korean Medicine service were categorized into collecting patient information, relationship building, and treatment. Terms used in the service embraced general medical terms and Korean Medical terms. Conclusions : The Korean-medical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should incorporate western-eastern combined treatment and Korean medical terms.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Tools of Performance Task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0
    • /
    • 2011
  • 교육에 있어서 평가는 피교육자의 성장과 발달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평가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필시험, 객관식 고사와 같은 전통적인 평가 방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수행평가가 등장하였다. 수행평가는 피교육자가 과제를 완성한 정도나 상태를 바탕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정보활용교육은 피교육자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수행평가는 정보활용능력의 상태나 정도를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수행평가를 위해서는 먼저 수행과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수자가 수행평가의 요건을 모두 고려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정보활용교육을 전개함에 있어서 수행과제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수행과제 개발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는 템플릿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4단계 즉, 교육목적 및 학습목표, 지식과 기능, 과제 유형, 측정 및 채점기준으로 구성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 양길석;서수현;옥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8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현재와 미래사회를 대비한 핵심역량의 하나라는 판단 하에 이를 자가진단하거나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효과성 검증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2개 영역, 8개 구인,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구성하였다. 약 3천 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후 적합성 판단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는 일차적으로 초중등학교 및 성인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 도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누구나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각 개인의 자기계발에 필요한 교육 정보를 제공한다면 우리 국민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사서교사의 정보이용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and Tool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Teacher-Librarians)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3-97
    • /
    • 2008
  • 본고는 사서교사가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는 데 필수적인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사서교사의 정보이용교육에서 중요한 영역이 평가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사서교사의 교육 활동은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다만, 초 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에 평가 영역이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이에, 사서교사가 실시하는 정보이용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의 개발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평가 방법과 도구는 평가이론과 목표준거에 입각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본고의 최종적인 목적은 현장 사서교사들이 수행평가이론과 목표준거를 바탕으로 정보이용교육을 위한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 도구, 사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