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ospore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1초

Arthothelium punctatum (Arthoniaceae, Arthoniales), A New Lichen Species from South Korea

  • Park, Jung Shin;Park, Sook-Young;Park, Chan-Ho;Jang, Seol-Hwa;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255-262
    • /
    • 2017
  • A total of 121 species of lichens belonging to the genus Arthothelium have been described to date, most of which have been found in tropical regions. Here, we describe the discovery of a novel Arthothelium species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Until now, Arthothelium ruanum was the only Arthothelium species reported in South Korea. Among the 113 specimens collect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ruanum and a putative new species, Arthothelium punctatum (J. S. Park & J.-S. Hur, sp. nov.). The diagnostic characters of A. punctatum are as follows: apothecia punctate, shortly elongate to branched, small, 0.1-0.2 mm wide, hypothecium hyaline to pale brown and obovate to broadly ellipsoid, muriform ascospores, $29.5-44.6{\times}12.2-18.2{\mu}m$. The new species was found in Mt. Seokbyeong at an altitude of 790 m on smooth bark. Upon phylogenic analysis, the putative new species, A. punctatum, was separated from other Arthothelium species although the specimens analyzed were clustered with Arthoniaceae in phylogenetic trees based on both the mitochondrial small subunit (mtSSU) sequence and combined mtSSU and nuclear ribosomal large subunit sequences. Our data clearly indicate that this species is a new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Arthoniaceae. To elucidate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new species, we provide morphological descriptions and a distribution map.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꽃범의 꼬리 균핵병 (Sclerotinia Rot of Obedient plant (Physostegia virginiaqn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28-31
    • /
    • 2003
  • 2002년 5월 상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약초시험포장에 심겨진 꽃범의 꼬리에서 잎과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생기면서 시들어 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여기서 병원균을 분리하였을 때 균핵은 PDA배지 상에서 잘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형으로 검은색이고 크기는 1.0~10.3$\times$1.0~8.4 mm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0.8~1.8 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84~286$\times$4.7~26.3 $\mu\textrm{m}$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으로 단세포이며 무색이다. 크기는 7.6~12.8$\times$3.4~6.2 $\mu\textrm{m}$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였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꽃범의 꼬리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Isolation of Anagonistic Fungi Associated with the Lichens Distributed in Southern Parts of Korea

  • Hur, Jae-Seoun;Han, Geon-Seon;Kim, Jin-Won;Lee, Yin-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280-286
    • /
    • 1999
  • Lichen-forming (LFF) or lichenicolous fungi (LCF) were isolated from the lichens collected at‘Backwoon’mountain area,‘Chiri’mountain area and‘Sorok’island in the southern regions of Korea and were screened for antagonistic efficacy against several phyto-pathogenic fungi. Symbiotic algae-free LFF and LCF were isolated by the following methods: I) discharged spores (ascospores), II) macerated thallus suspension and III) direct use of thallus fragments. Among 58 isolates obtained from 34 lichens, 8 isolates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solani.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strongest antagonistic isolate (LB9810) originated from the thallus of Parmelia quercina lichen were evaluated against 15 phyto-pathogenic fungi. When crude methanol extract of mycelia of the LB8910 isolate was employed at the rate of 0.5% (v/w), fungal growth of Magnaporthe grisea and Rhizoctonia solani was severly and Rhizoctonia solani was severly inhibited as much as approximately 60% compared to control. Growth of various food-borne same extract. The extract was successively partitioned with n-hexane, ethyl acetate and n-butanol. n-Hexane fraction displayed the strongest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R. solani. The LB9810 isolate was finally identified as Fusarium equiseti (Corda) Sacc., which has not been reported as LFF or LCF yet. Therefore, it is very likely that F. equiseti isolated it the study was originated from the contaminants associated with thallus fragments rather than from LFF or LCF.

  • PDF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urotium rubrum Isolated from Mejuin Korea

  • Yun, Yeo-Hong;Hyun, Min-Woo;Suh, Dong-Yeon;Kim, Yong-Min;Kim, Seong-Hwan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251-257
    • /
    • 2009
  • We isolated and identified a strain of Eurotium rubrum from Meju that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This fungus is yellowish brown; reverse dark brown on CYA and PDA while yellow on 2% MEA at $25{^{\circ}C}$. Cleistothecia are first bright yellow and gradually turned brown. Mycerial growth on CYA attained a diameter of 30 mm at $20{^{\circ}C}$, 37 mm at $25{^{\circ}C}$ and 32 mm at $30{^{\circ}C}$ after 15 days. The isolate grew slower on 2% MEA ($<$ 20 mm 15 days at $25{^{\circ}C}$) compared to CYA and PDA ($<$ 40 mm 15 days at $25{^{\circ}C}$). Cleistothecia are superficial, yellow to light brown, globose to subglobose, 40~75 ${\mu}m$ in diameter. Asci are 8-spored and globose to subglobose 8~11 ${\mu}m$. Ascospores are disciform, 4.0~5.0 ${\mu}m$ in length and 4.2~4.5 ${\mu}m$ in width. Conidia are ovate or bacillar, finely roughened to densely spinulose, 4.6~6.0 ${\mu}m$ in length and 3.0~4.3 ${\mu}m$ in width. Compared to known Eurotium rubrum, the Korean isolate showed 99% sequence similarity in ITS rDNA (554 bp) and calmodulin (750 bp) gene and 100% in $\beta$-tubulin (1016 bp) gene. The E. rubrum isolate also had weak $\beta$-glucosidase and protease activities.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팔손이 균핵병 (Sclerotinia Rot of Fatsia japonic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2-124
    • /
    • 2006
  •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거제시 거제면 팔손이 재배 농가포장에서 잎과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생기고 시들어 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균총은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띄었다. 균핵은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형으로 검은색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0.8{\sim}1.3 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70{\sim}220{\times}4{\sim}18{\mu}m$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 단세포, 무색이며 크기는$6{\sim}12{\times}4{\sim}6{\mu}m$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였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팔손이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Taxonomic consider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Xylariaceae

  • Lee, Yang-Soo;Han, Sang-Sub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심포지엄
    • /
    • pp.43-49
    • /
    • 2003
  • The Xylariaceae Tul. & C. Tul is a family of sphaeriaceous genera with obscure but apparently common ancestry (Rogers, 1979). A central core of genera - Xylaria, Hypoxylon, Rosellinia, Poronia, Podosordaria, Hypocopra, Daldinia, Biscogniauxia, Kretzschmaria, Camillea, Penzigia - are obviously related,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generic limits are arguable (Rogers, 1979; Barr, 1990; Eriksson & Hawksworth, 1991; Laessoe, 1994). In general, the family Xylariaceae is primarily defined as a group of stromatic pyrenomycetes with unitunicate asci characterized by a typical apical apparatus and pigmented ascospores having a germ slit (Rogers, 1979). Since Winter (1887) circumscribed the family to include Pyrenomycetes with predominately a dark stroma, dark unveiled spores containing 5 geners: Nummularia Tul, & C. Tul., Hypoxylon Bull., ustulina Tul. & C.Tul., Poronia Willd. and XylariaHill ex Schrank, many more genera has been added to the family (Dennis, 1961; Eriksson & Hawksworth, 1993; Whalley, 1996). In the absence of the clear circumscription of the family (Rogers, 1994) the agreed number of accepted genera is governed by individual views and there are therefore difference between the proposals for the ascomycetes recognized 35 genera and indicated a further 3 which might belong there. Laessore reviewed the family and included 37 genera but a few of these were listed as uncertain (Laessoe, 1994). In the most recent accounts Whalley (1996) listed 41 genera but again a number of these were considered uncertain and Ju and Rogers (1996) accepted 39 genera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family. Since Laessoe (1994) merged Daldinia and Versiomyces with Hypoxylonand Ju and Rogers (1996) combined Astrocystis with Resellinia and Helicogermslita, which can be argued strongly against, it is likely that a realistic number of genera will be close to 40(Whalley, 1996; table 1).

  • PDF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갯기름나물 균핵병 발생 (Sclerotinia Ro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정원권;임양숙;김민기;김종수
    • 식물병연구
    • /
    • 제27권3호
    • /
    • pp.115-119
    • /
    • 2021
  • 2020년 경상북도 포항군 연일읍의 갯기름나물 재배 농가포장에서 잎에 작은 갈색 반점이 형성되고 잎끝부터 갈변되며 고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균총은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띠었다. 균핵은 검은색의 구형 또는 타원형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0.5-0.9 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75-240×5.9-17.3 ㎛이었다. 자낭포자는 무색의 타원형이었으며 크기는 8.4-10.7×4.8-5.8 ㎛이었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과 ITS4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과 100% 일치하였으며, 이와 같은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결과 그리고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갯기름나물 잎반점과 마름 증상의 원인균은 S. sclerotiorum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갯기름나물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First Report of Leptosphaerulina saccharicola Isolated from Persimmon (Diospyros kaki) Tree Bark in Korea

  • Fulbert, Okouma Nguia;Ayim, Benjamin Yaw;Das, Kallol;Lim, Yang-Sook;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18
    • /
    • 2019
  • A fungal strain, designated PTT-2, was isolated from the bark of the trunk of a persimmon (Diospyros kaki) tree in Cheongdo, Korea. The isolate showed morphological similarities with Leptosphaerulina saccharicola. Strain PTT-2 had more rapid growth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than on oatmeal agar, malt extract agar, and synthetic nutrient poor agar media, with colony sizes of 53.8 mm, 49.8 mm, 48.4 mm, and 28.1 mm after 7 days at $25^{\circ}C$ temperature, respectively. Strain PTT-2 produced ascospores, which had irregular wavy edges, oblong to ellipsoidal shape, hyaline appearance and $23.6{\times}10{\mu}m$ size. The black ascomata were developed on PDA medium, and asci were recorded. A BLAST search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TEF1-${\alpha}$ and RPB2 gene sequences revealed that strain PTT-2 showed more than 99% nucleotide similarity with a strain of Leptosphaerulina saccharicola previously reported from Thailand. A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by concatenating the above-mentioned sequences, and showed that strain PTT-2 clustered in the same clade with L. saccharicol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Leptosphaerulina saccharicola occurring in Korea.

느타리버섯 유해균 Hypocrea sp.의 형태 및 URP-PCR 분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RP-PCR Analysis of Hypocrea sp., a Weed Mould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서건식;김병련;박명수;김민경;유승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6-94
    • /
    • 2002
  • 느타리버섯 균상에 발생하는 Hypocrea속 균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립하기 위하여 유성세대 및 무성세대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국내 분리 균주의 RAPD, RFLP, URP-PCR 분석 등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1. 충남과 전남 일대의 8개 시, 군의 느타리 재배사에서 19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간의 형태적, 발생생태학적 변이는 없었고, 기존 보고된 Hypocrea 종들과는 다른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2. Hypocrea 자좌의 크기는 $6.0{\sim}13.0{\times}3.0{\sim}11.0mm$이었고, 위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군생하고 처음엔 백색이지만 성숙되면 노란빛을 띤 갈색을 나타내었다. 자낭각은 구형으로 크기가 평균 $239.9{\times}204.1{\mu}m$이었으며, 자낭에는 16개의 자낭포자(part ascospores)를 형성하였고, 자낭과 장낭포자의 크기는 각각 $103.3{\times}4.9{\mu}m$$6.5{\times}4.7{\mu}m$이었다. 3. 무성세대의 phialide는 보통 Trichoderma virens와 유사한 형태로 모여서 형성되나 때때로 penicillate의 형태도 관찰되었다. T. virens형 phialide의 크기는 $10.8{\times}3.5{\mu}m$이었고 penicilliale형은 $14.7{\times}3.4{\mu}m$이었다. 분생포자는 계란형에서 타원형으로 표면은 매끈하고 크기는 $4.5{\times}2.9{\mu}m$이었다. 4. Hypocrea 균주들의 배양적 특징 조사한 결과, PDA 배지에서 균사생장 최적 온도는 $25^{\circ}C$이었고 자좌는 $15{\sim}25^{\circ}C$ 범위에서 발생하였으며 자좌 발생 최적 온도는 $20^{\circ}C$였다. 5. RAPD 및 RFLP 분석을 실시한 결과 Hypocrea속 균은 공시균주는 모두 단일 유전 개체군으로 느타리 재배사에서 발생하는 Trichoderma속 균 및 기존에 보고된 Hypocrea spp.와는 다른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번데기동충하초의 RAPD 분석에 의한 종내 그룹의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of Cordyceps militaris in Korea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 성재모;김상희;윤철식;성기호;김용욱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256-273
    • /
    • 1999
  •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양 받은 2균주를 포함하여 1989년부터 1995년 사이에 국내 11개 장소에서 채집된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72균주를 대상으로 기주적 지리적 근연관계에 따른 균주간 변이도를 관찰하고자 균사체의 배양적 특징 및 불완전세대 관찰과 DNA 분석에 의해 분류동정을 행하였다. 균사의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균사의 자라는 모양, 속도, 색택 등에 있어서 균주간에 차이가 나타남이 관찰되었다. 번데기동충하초의 불완전 세대를 관찰한 결과 분생자경이 분지하며 윤생으로 형성되는 Verticillium속으로 동정되었으며 포자의 모양은 구형을 띠는 것으로 나타나 형태적으로는 각 균주간의 별 다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공시균주 중 인공자실체 형성이 우수하였던 두 균주(C18, C738)를 선택하여 단포자분리를 행하였으며 여기서 분리된 단포자균주 56균주와 공시균주 72균주를 대상으로 RAPD를 행하였다. RAPD에서 나타난 균주간 변이도를 NTSYS program을 사용하여 UPGMA 분석방법으로 phonogram을 작성한 결과 단포자 균주내의 평균 유전적 거리는 0.207로 나타났으며 단포자 분리를 행하였던 두 균주에 따라 각각 A그룹(C18)과 B그룹(C738)으로 나누어짐이 확인되었다. 두 그룹의 평균 유전적 거리는 각각 0.150(A group)과 0.163(B group)으로 나타났으며 그룹간 평균 유전적 거리는 0.221로 나타났다. 공시균주간에는 크게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들의 평균 유전적 거리는 0.330으로 나타나 본 실험에서 사용된 번데기동충하초(C. militaris)의 균주 간에는 33%의 유전적 변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고, SF4와 LF4는 처리군 중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용존 $CO_{2}$함량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F4, LF4, SF15는 관능검사 결과 발효가 지연되어 풋내와 짠맛이 높게 평가되었고 탄산미는 낮게 평가되었다. LF25는 관능검사 결과 다른 처리군에 비해 신맛과 이취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15^{\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킨 나박김치 (LF15)와 $25^{\circ}C$에서 12시간 발효시킨 나박김치(SF25)는 탄산미와 관계가 있는 용존 $CO_{2}$함량이 저장 12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 동안 다른 처리군에 비해 풋내와 이취가 적으면서 탄산미가 높게 평가되어 $15^{\circ}C$에서 24시간 발효(LF15)와 $25^{\circ}C$에서 12시간 발효(SF25)가 적합한 초기 발효 조건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물김치류인 동치미나 열무 물김치도 초기 발효 조건에 따라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화점에서 시판되고 있는 계란 총 446개에 대해서도 동일한 절차와 방법으로 조사하였던바, 재래시장에서 구입했던 계란의 난각부분(Egg-shell)에서만 가금티푸스(fowl Typhoid)의 병원체인 S. gallinarum이 1주$(0.2\%)$만이 분리되었고, 기타 세균으로서는 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다양한 동물종유래 S. aure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