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omycetous fungi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울릉도의 균류상(VI) -자낭균류, 목이류, 및 복균류에 대하여- (Fungal Flora of Ullung Island (VI) -on ascomycetous, auriculariaceous, and gasteromycetous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1-9
    • /
    • 1995
  • 1989년 10월부터 1993년 10월까지 도합 10차례에 걸쳐 울릉도 전역을 탐색하여 채집한 70 여점의 목이류, 복균류, 및 자낭균류의 표본을 분류 동정한 결과 자낭균아문의 반균강 주발버섯목이 3속 4종, 반균강 고무버섯목이 2속 1미기록속 2종 1 미기록종, 핵균강 맥각균목이 1속 1종, 핵균강 콩버섯목이 3속 1종 3 미기록종, 담자균아문의 균심강 목이목이 1속 1종, 및 복균강 말불버섯목이 3속 4종으로서 2 아문, 4 강, 6목, 10 과, 13속 1 미기록속에 13 기록종과 4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미기록속은 Dasyscyphus(신칭(新稱), 털종지버섯속(屬))으로, 미기록종은 Dasyscyphus virgineus (신칭(新稱), 솜털종지버섯), Hypoxylon serpens(신칭(新稱), 주름방석꼬투리버섯), Hypoxylon rubiginosum(신칭(新稱), 갈색방석꼬투리버섯), 및 Eutypa scabrosa(신칭(新稱), 돌기마른버짐버섯)으로 판명되었다. 본 목록에다 기존에 발표된 보고서의 기록종을 합하면 울릉도의 목이류, 복균류, 및 자낭균류는 도합 2 아문, 4 강, 9 목에 15 과, 22 속, 27종으로 집계되었다. 울릉도의 목이류, 복균류, 및 자낭균류에 대한 전반적인 균류상은 육지의 경우에 비하여 매우 제한된 종류의 분포상을 보이고 있었다. 육지의 산림에서 흔히 채집되는 자낭균류의 안장버섯, 곰보버섯, 콩꼬투리버섯, 담자균류의 흰목이, 어리알버섯, 찻잔버섯과 같은 종류들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반면에 동충하초, 콩버섯, 및 털목이 종류가 우점종으로 주로 발견되었다. 특히 털목이는 전적으로 말오줌때의 죽은 나무에 서식하고 있으며 울릉도의 주민들은 이 나무를 "목이나무"라고 부르고 있어서 섬지방의 삼림환경에 잘 적응된 균류로 사료되었다. 이들 균류들은 울릉도의 부식토, 토양, 나무가지, 죽은 나무 등지에서 주로 발견되었으며, 이 지역에 적응하여 서식하는 우점종들은 섬의 도처에서 주기적으로 채집되었으나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종류들은 단지 육지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균류상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아 육지로부터 고립된 도서지방의 균류상의 한계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 PDF

Phylogenetic study of penicillium chrysogenum 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of chitin synthase

  • Park, Bum-Chan;Lee, Dong-Hun;Sook, Bae-Kyung;Park, Hee-M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59-164
    • /
    • 1997
  • The phylogenetic study of Penicilium chrysogenum was performed based on amino acid sequence comparison of chitin synthase. Phylogenetic trees were constructed with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highly conserved region of chitin synthease gene fragments amplified by PCR. The BlasP similarity searcch and the bootstrap analysis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chitin synthase from P. chrysogenum with those form other fungi showed a close evolutionary relationship of Penicillium to ascomycetous fungi, especially to genus Aspergilus. The result from bootstrap analysis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Class II chitin synthase from ascomyceteous fungi supported the usefulness of the Class II chitin synthease for phylogenetic study of filamentous fungi.

  • PDF

Identification of Ectomycorrhizal Fungi from Pinus densiflora Seedlings at an Abandoned Coal Mining Spoils

  • Park, Sang-Hyeon;Jeong, Hyeon-Suk;Lee, Yoo-Mee;Eom, Ahn-Heum;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143-14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native ectomycorrhizal (ECM) fungi colonizing Pinus densiflora for revegetation of abandoned coal mines in Korea. Seedlings of P. densiflora growing on coal mining spoils of a study site in Samcheok were collected. ECM roots were observed under stereomicroscope and their DNA were extracted from each root tip for a seedling for molecular identification. A PCR primer pair specific to fungi, ITS1F and ITS4, was used to amplify fungal DNA. Restriction enzymes, Alul and Hinfl were used fo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Combined with RFLP profiles and sequence analysis, total twenty one taxa were identified from the ECM root tips. Basidiomycetous fungi including Thelephoraceae, Pezizales, Laccaria, Pisolithus and Ascomycetous fungi including ericoid mycorrhizal fungi were identified from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study sites was a species in Thelephoraceae. A possible use of ECM fungi identified in this study for the revegetation of abandoned coal mines with P. densiflora was discussed.

국내에 분포하는 Sordariales목 균에 관한 보고 (New Report on Sordarialean Fungi in Korea)

  • 이선주;류진창;고승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293-301
    • /
    • 1998
  • 토양 희석방법을 이용하여 토양에 분포하는 곰팡이에 대한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양 시료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분포하는 머스크멜론 시설 재배지에서 채취하였으며 총 7종의 자낭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중 Sordariales목에 속하는 5종의 균을 국내에 처음 보고하며 이들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다. 이들 균은 완전세대와 불완전세대를 동시에 가지는 Corynascus sepedonium과 Petriella sordida와 완전세대만을 가지는 Thielavia fragilis, Chaetomium indicum과 Chaetomium brasiliense이다. 본 논문에 기재된 균들은 농업과학기술원 농용미생물 보존센타에 보관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자낭균류(子囊菌類) 버섯의 미기록종(未記錄種) (Notes on Unrecorded Fleshy Ascomycetes in Korea)

  • 홍순우;장용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6-79
    • /
    • 1987
  • 자낭균류에 속하는 100여 개체의 버섯표본을 관찰한 결과 3속 9종의 미기록 속과 종이 동정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미기록 속은 땅주발버섯 속(Tarzetta,), 살갗버섯 속(Mollisia), 점버섯속(Hypocrea) 등이다. 미기록 종은 노란긴대주발버섯(Cyathipodia cupuliformis), 솜털긴대주발버섯(Cyathipodia villosa), 갈색땅주발버섯(Tarzetta catinus), 오목땅주발버섯(Tarzetta cupularis), 갈색투구버섯(Cudonia confusa), 작은잎맥섯(Rutsroemia petiolorum), 노란상수리술잔고무버섯(Hymenoscyphus pileatus), 연한살갗버섯(Mollisia ventosa), 점버섯(Hypocrea rufa) 등이다.

  • PDF

First Report on Plum Pocket Caused by Taphrina deformans in South Korea

  • Oh, Nam Kwon;Hassan, Oliul;Chang, Taehyun
    • Mycobiology
    • /
    • 제48권6호
    • /
    • pp.522-527
    • /
    • 2020
  • Plum pocket caused by the dimorphic ascomycetous fungi, Taphrina spp., results in unsightly malformations and crop loss. In 2016, Japanese plums (Prunus salicina Lindl.) with plum pocket symptoms were found in Gimcheon. Three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symptomatic P. salicina fruits and identified as Taphrina deforman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sequence analysis of includ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 (ITS) and the mitochondrial small ribosomal subunit (SSU) regions of the three isolates. Pathogenicity test on plum fruits confirmed that, the present T. deformans isolates are causal agent of plum pocke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lum pocket caused by T. deformans in South Korea.

한국 논 토양중의 균류에 관한 연구 - III . 자낭균류 - (Fungs flora of paddy fields in Korea. - III. Ascomycetes -)

  • Kyung Hee MIN;Tadayoshi ITO;Tatsuo YOKOYAMA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0-88
    • /
    • 1982
  • 한국의 두장소의 논토양에서 회석평판법에 의하여 토양균을 분리하였다. 동정된 30종중 14종은 한국에서 미기록종이며 이중 7종은 자낭균류에 속하는 것으로 본 논문에 서술하였다. Talaromyces의 종중에서는 Talaromyces flavus var. flavus, T. panasenkoi, T. stipitauts 그리고 T. trachyspermus가 가장 우세하게 분포되어 있다. 또 특이한 것은 Westerdykella multispora가 현저하게 주목된다. Westerdykella multispora는 많은 격막이 있는 원통형 자낭포자가 32개 포함된 자낭을 가지고 있는 구형 또는 아구형의 pseudothecia를 형성한다. Chaelomium globosum은 cellulose를 분해하는 ascomycetes의 종류로 많은 파상 정모와 ostiole을 가지고 있는 검은 자낭각을 형성한다. 이 자낭각은 레몬형태의 올리브색을 띤 갈색자낭포자 8개를 포함하고 있는 곤봉모양을 하고 있으며 소실성의 자낭을 형성한다. 또 다른 Ascomycete로써 Acremonium an-amorph를 가지고 있는 Emericellopsis terricola로 2곳의 채취장소에서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Penicillium diversum으로부터 두 chitin synthase 유전자 절편의 분리 (Cloning of Two chitin Synthase Gene Fragments from Penicillium diversum)

  • 조성필;이상근;이동훈;배경숙;박희문;맹필재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167-175
    • /
    • 1997
  • Penicillium diversum KCTC 6786으로부터 두개의 chitin synthase 유전자 절편(PdCHSl과 PdCHS2)을 PCR로 증폭하고 cloning하였다. PdCHSl과 PdCHS2는 primer 서열을 제외하면 각각 570 bp 길이의 연속된 open reading frame (ORF)을 포함하고 있었다. BLASTP를 이용하여 유추된 아미노산 서열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P. diversum은 자낭균류와 상당한 진화적 유연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아미노산 서열을 CLASTAL W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본 실험에서 분리된 두 유전자 절편은 Bowen 등 (1992)이 제시한 몇 부류 중 서로 다른 부류, 즉, PdCHSl은 Class I에, PdCHS2는 Class II에 각각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ou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각 유전자는 P. diversum KCTC 6786의 genome에 1개씩만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류 및 섬유질 문화재의 미생물에 관한 연구 (紙類 및 纖維質 文化財의 微生物에 關한 硏究) ­경남지방(慶南地方)을 중심(中心)으로-

  • 민경희;안희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14권
    • /
    • pp.225-250
    • /
    • 1981
  • 경남지방(慶南地方)의 지류(紙類) 및 섬유질유물(纖維質遺物) 보관고내(保管庫內) 공중균(空中菌)의 분포(分布) 조사(調査)를 위하여 중요민속자료(重要民俗資料) 37호(號) 이휴정소장출토복식(二休亭所藏出土服飾) 등(等) 4개소(個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리배지(分離培地)는 malt extract agar이었으며 잡균(雜菌)의 증식(增殖)을 방지(防止)하기 위(爲)하여 chloram phenicol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4개소 유물보관고(遺物保管庫)에서 분리(分離) 동정(同定)된 공중(空中) 사상균(絲狀菌)은 Cladosprium cladosprioides, Alternaria chlamydo-spora, Aspergillus fumigatus, A. versicolor, Eurotium chevalieri penicillum charlesii Var. rapidum, P. oxalicum, P. viridcatum, Trichoderma viride, Acremonium sp, Mucor sp, yeast 등(等) 8속(屬) 9종(種) 이었으며 또한 4개소(個所)의 유물보관고내(遺物保管庫內)에 분포(分布)된 사상균(絲狀菌) 포자(包子)는 Cladosporium cladosporioides가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Acremonium sp, penicillium, Aspergillus Trichoderma, Aeternaria, Eurotium의 순서이었다. 또한 지류(紙類) 및 섬유질문화재(纖維質文化財)로부터 사상균(絲狀菌)을 직접 채취(直接 採取)하여 분리(分離)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8속(屬) 14(種)이 검출되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분리(分離)된 종(種)은 Clodosporium cladosporioides이었고 그 외에 Acremonium, Penicillium, Asper gillus, Trichoderma 등도 분리(分離) 동정(同定) 되었다. 이중에서 특히 아직 우리 나라에서 미기록종(未記錄種)은 Chacetomium globosum, Mucor racemosus, Pspinalosum, Torulaellisii 등(等) 4종(種)이 발견(發見)되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끝으로 화학약제(化學藥劑)에 대(對)한 방균(防菌) 효과(效果) 실험(實驗)은 Aspergillus penicillium, cladosporium Trichoderma 등(等) 8종(種)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약품(藥品)은 Benzoic acid, Sorbic acide, Dehydroacetic acid, Thymol 등(等) 4가지 화학약품(化學藥品)을 사용(使用)하여 방균효과(防菌效果)를 조사(調査) 하였다. 동실험결과(同實驗結果) Thymol은 0.5%이상(以上)에서 모든 균(菌)의 생장(生長)을 저지하였으며 기타 3가지의 화학약제(化學藥劑)는 각각(各各)의 농도(濃度)에 따라 억제상황(狀況)이 상이(相異)하게 나타났음을 보고(報告)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