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soil

검색결과 894건 처리시간 0.026초

Comparison of Organic Matter Dynamics between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Adjacent Artificial Evergreen Coniferous Forest

  • Takahiro, Ichikawa;Terumasa, Takahashi;Yoshito, Asan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4호
    • /
    • pp.217-22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conversion of the forest management type from a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o an artificial evergreen coniferous forest based on organic matter dynamics. We investigated the amounts and carbon contents of the forest floor and the litterfall,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ellulose decomposition rates in the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adjacent artificial evergreen coniferous forest. In the artificial evergreen coniferous forest were planted Japanese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on the upper slope and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on the lower slope. The soil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CEC and microbial activity had decreased due to the conversion of the forest management type from a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o an artificial Japanese cypress forest, and were almost the same for the conversion to a Japanese cedar forest. Under the same condit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soil fertility was different by planting specific tree species because the organic matter dynamics were changed by them.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 공간 토양수분 분포도 산정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at Yongdam Dam Watershe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박정아;김광섭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9-33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상관측 토양수분, 강수량, 지면온도 및 MODIS NDVI와 인공신경망모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 공간분포 산정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신뢰성 높은 토양수분 관측 자료를 보유한 용담댐 유역에 대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토양수분 산정모형의 학습에 사용된 주천, 부귀, 상전의 3개 지점의 경우 약 0.9353의 상관계수와 약 1.4957%의 평균제곱근오차를 보여주며, 검증지점으로 사용된 천천2의 경우에는 약 0.8215의 상관계수와 약 4.2077%의 평균제곱근오차를 보여 토양수분 산정모형의 적용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인공위성으로부터 관측된 광역의 식생정보와 자료간의 비선형 상관특성을 잘 구현하는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수립된 토양수분 산정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공간분포도를 산정한 결과, 용담댐 유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지역의 토양수분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보여주는 토양수분의 분포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토양수분 산정 방법은 광역 토양수분 산정에 유용한 접근법으로 판단된다.

인공함양 지역 클로깅 가능성 평가를 위한 충적층 토양 특성에 관한 예비 연구 (Preliminary Study on Alluvial Soil Characteristics for Clogging Possibility in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Area)

  • 황정;최명락;김규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40권1호
    • /
    • pp.39-46
    • /
    • 2024
  •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용수확보 방안으로 인공함양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함양률을 감소시키는 클로깅 문제는 인공함양 기법의 활용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하천수 주입 과정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클로깅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인공함양 예정 지역 충적층의 토양 조직과 광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충적층 쇄설성 입자의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정장석, 사장석, 흑운모 등이며, 공극을 충진하는 주요 2차 광물은 일라이트, 카오린나이트, Fe-산화광물이다. 2차 광물로서 탄산염 혹은 황산염 광물의 산출이 없는 것은 인공함양 실험 전인 연구 지역 충적층에서는 지하수와 지표수 간의 반응에 의한 화학적 클로깅은 발생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인공함양 실험과 관련된 화학적 클로깅에 대한 평가를 위해 대수층 내 공극에서 2차 광물의 생성과 성장과 같은 충적층의 토양특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무관수 옥상녹화시스템의 차이에 따른 들잔디 적응성 평가 (Evaluation on Adaptation of Zosia japonica as Effected by Different Green Roof System under Rainfed Conditon)

  • 주진희;김원태;최우영;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137-1142
    • /
    • 2010
  • This study proposes a guideline of a green roof system suitable for the local environment by verifying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in a shallow, extensive, green roof system under rainfed condition. The experimental soil substrates into which excellent drought tolerance and creeping Z. japonica was planted were made with different soil thicknesses(15cm, 25cm) and soil mixing ratios(S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The plant height, green coverage ratio, fresh weight,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s of Z. japonica were investigated. For the soil thickness of 15cm, the plant height of Z. japonica was significantly as affected by the soil mixing ratio and it was shown in the order SL= $P_4P_4L_2$ < $P_7P_1L_2$ = $P_5P_3L_2$ < $P_6P_2L_2$. For the soil thickness of 25cm, the plant height was increased in order to SL <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 $P_4P_4L_2$. The green coverage ratio was not observed by soil the mixing ratio or soil thickness. However, the green coverage ratio was 86~90% with a good coverage rate overall. The chlorophyll contents of Z. japonica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oil mixing ratio in the soil thickness of 15cm, but were higher in the natural soil than in the artificial soil at 25cm soil thickness. The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Zoysia japonica were heavier in the 25cm thickness than in the 15cm thickness and in the artificial soil mixture than in the natural soil.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was more effective in the 25cm soil thickness with artificial soil than in the 15cm soil thickness with natural soil in the green roof system under rainfed condition.

인공지반의 녹화에 의한 도시의 재생 (Urban Renewal with Green on Impermeable Surface)

  • Hajime, Koshimizu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7-31
    • /
    • 2004
  • How far of natural regeneration of the city and improvement on the urban environment will be possible in the replanting on the impermeable surface? The replanting of what kind of form will be obtained in order to realize it? The regeneration of the nature is possible, if it can be realized at the thin soil layer in which the result of being equivalent to the natural soil function. Using the light artificial soil with the water retentiveness, it is possible that green on the artificial ground reinforces the green skeleton of the city. The green of artificial ground improves the thermal ambience of the city and demonstrates stormwater runoff depression effect. It is necessary to built the landscape which continues with the surrounding green. Ecologically stabilizing green has the high amenity. The development of replanting technology of the artificial ground which fosters the city culture is desired.

대규모 지하통합주차장을 갖는 공동주택 인공식재지반 토양품질 개선방안 (Improvement of Soil Quality for Artificial Planting's Ground with Large Integrated Underground Parking Lot in Apartment Complex)

  • 강명수;이은엽;이정민;김미나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1호
    • /
    • pp.31-39
    • /
    • 2015
  • 공동주택 아파트의 조경공간이 변화하고 있다. 지하주차장 조성 면적이 증가하면서 자연지반 면적이 감소되었다. 그 결과 단지 대부분의 조경공간이 인공지반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식재공간의 현재 토양품질 실태를 분석하여 단지 내 조경공간의 토양품질 관리를 위한 시사점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토양반입형태가 상이한 3개 사업지구 대상으로 총 17개의 물리성 및 화학성 항목을 조사하여 현 토양품질수준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통계분석(T-test 검증)을 수행하여 지반특성별과 공정주체별 토양 품질의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규모 지하통합주차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의 토양수준은 인공토양 식재기준과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가시적 판단이 용이한 물리성은 양호하나 화학성 품질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주택 지반특성별 토양 품질과 담당공종별 토양 품질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유의수준 5%). 일반적으로 인공지반보다 자연지반의 식재환경이 양호하다는 인식이지만 실제 분석결과 토양품질에 있어서는 자연지반의 토양이 인공지반 토양 품질수준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자연지반 토양에 대한 관리기준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종별 담당부서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수준의 토양이 반입되고 있는 점은 바람직하나 그 토양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품질제고를 위한 관리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illus subtilis가 함유된 목질계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참싸리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gnocellulosic Artificial Soil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on the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 Kim, Ji-Su;Jung, Ji young;Ha, S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93-40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Bacilluls subtilis가 함유된 목질계 인공토양(피트모스:펄라이트:폭쇄처리된 참나무:미생물제형=3:1:3:3, w/w/w/w)을 제조 하였으며, 이를 대조구토양과 0%, 25%, 50%, 75% 및 100% 비율로 혼합하여 참싸리 종자 파종 후 소규모 야외포트 현장적용 하였다. 현장적용에 따른 대조구토양, 혼합토양(대조구토양+인공토양) 및 인공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참싸리 줄기 및 뿌리생장을 비교하였다. 혼합토양에서는 $0.04g/cm^3$ 이하의 용적밀도, 85 % 이상의 공극률, pH 4.3 - 4.7, 0.5 dS/m 이하의 전기전도도, 15.0 - 26.5의 탄질비, 23.6% - 43.2%의 유기물 함량 및 $157{\times}10^6CFU/g-624{\times}10^6CFU/g$의 미생물밀도를 나타냈다. 인공토양이 25% 및 50% 함유된 혼합토양에서는 참싸리 줄기 및 뿌리생장이 대조구토양보다 높게 나타났고 참싸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인자는 용적밀도, 공극률, 수분보유력, 탄질비, 유기물함량 및 미생물함량으로 나타났다.

바텀애시를 활용한 인공경량토양의 개발 및 성능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rtificial Lightweight Soil Using Bottom Ash)

  • 김철민;김민우;조근영;최나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252-258
    • /
    • 2018
  • 대규모의 에너지 소비 및 인구의 증가로 온실가스 증가 및 열섬 현상이 빈번한 도시는 녹지공간의 증대가 요구되었고, 한정된 도시 공간에서는 건축물 옥상에 녹지공간을 형성하는 옥상녹화가 증대되었다. 옥상녹화에 사용하는 경량토양은 주로 펄라이트를 사용하나 비산, 분진 등 작업환경의 악화로 다른 경량토양의 요구가 증대되었다. 한편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바텀애시는 재활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인공경량토양으로의 활용가능성도 확인된 바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바텀애시 활용 인공경량토양보다 혼합량이 높은 바텀애시를 사용한 인공경량토양을 개발하고자, 바텀애시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후 유기물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바크, 퇴비, 코코피트 등의 유기재료 배합을 달리하여 최적의 배합을 도출하였고, 이 배합을 조경설계기준에서 제시한 토양성능 항목에 적합여부를 확인한 결과, 중급 정도의 성능을 갖는 인공경량토양임을 확인하였다.

The use of neural networks for the prediction of swell pressure

  • Erzin, Yusuf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권1호
    • /
    • pp.75-84
    • /
    • 2009
  •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are a new type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based on modeling the neural system of human brain. The prediction of swell pressures from easily determined soil properties, namely, initial dry density, initial water content, and plasticity index,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results of the constant volume swell tests in oedometers, performed on statically compacted specimens of Bentonite-Kaolinite clay mixtures with varying soil properties, were trained in an ANNs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values. It is observe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coincided with ANNs results.

폐유리가 첨가된 석탄바닥재-준설토 계 인공골재의 특성 (Properties of artificial aggregates of coal bottom ash-dredged soil system added with waste glass)

  • 조시내;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6-1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석탄 바닥재와 준설토(7 : 3, 무게비율)로 제조된 인공골재의 물성에 미치는 폐촉매 유리질 슬래그(이하 폐유리로 칭함) 첨가 영향을 평가하였다. 특히 인공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결과를 미세구조와 연계하여 그 발포특성을 고찰하였다. $1050{\sim}1150^{\circ}C$ 범위 내에서 인공골재 비중은 소성온도와 함께 약간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의 소성온도에서는 감소하여 발포경향을 나타내었다. 폐유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인공골재의 발포특성은 억제되었으며,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인공골재 흡수율은 소성온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1200^{\circ}C$ 이상의 소성온도에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함과 동시에 다량의 액상이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현상들은 폐유리를 첨가함으로서 제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인공골재의 비중은 1.1~1.6, 흡수율은 8~22 % 범위값을 나타내어 인공경량골재의 KS 기준을 만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