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scop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2초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Bankart 병변과 ALPSA 병변 (Bankart Lesion and ALPSA Lesion in An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김영규;안승준;고영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6-193
    • /
    • 2005
  • 목적: ALPSA(anterior labroligamentous periosteal sleeve avulsion) 병변과 Bankart 병변을 관절경하에서 구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ALPSA 병변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으로 관절경하에서 Bankart 복원술을 시행한 6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의 판독상 Bankart 병변은 56예(85%) ALPSA 병변은 10예(15%)였다. 각 병변의 관절경 소견을 분류하였으며 결과는 평균 22개월 추시하였다. 결과: Bankart 병변 보다 ALPSA 병변의 발생 시기가 보다 젊은 층에서 발생하였다 관절경하에서 ALPSA 병변은 여러 형태를 보였으며 특히 하내측으로 많은 전위를 보인 경우가 5예에서 관찰되었다. Bankart 병변도 심한 전위를 보인 경우가 21예였으며 견갑 경부로부터 뚜렷하게 외측 전위되지 않고 하내측으로 전위된 경우는 관절경하에서 ALPSA 병변과 구별하기 어려웠다. 재발은 ALPSA 군에서는 재탈구는 없었으나 불안감이 2예(20%)에서 있었고 하내측으로 많은 전위를 보인 예에서 나타났으며, Bankart 군에서는 재탈구 1예, 아탈구 1예, 불안감 2예로 총 4예(7.1%)에서 있었다. 결론: 하내측으로 심하게 전위된 Bankart 병변과 ALPSA 병변은 식별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전위가 심한 ALPSA 병변에서 재발율이 높았다. 따라서 복원술시 ALPSA 병변을 철저하게 재분리하는데 보다 주의가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회전근 개 봉합술 - 수술 술기 - (Mini-open Rotator Cuff Repair Using Anterolateral Approach - Technical Note -)

  • 조철현;손승원;배기철;이경재;서혁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2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파열에서의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전신 마취하에 측와위 자세를 취한 후 후방 삽입구, 전방 삽입구를 이용하여 관절내 병변의 유무를 확인하고, 관절경을 견봉하 공간에 위치시킨 후 외측 삽입구를 이용하여 회전근 개의 파열 형태 및 크기를 파악한 후 관절경하견봉 성형술을 시행한다. 견봉의 전외측 연에서 하방으로 3~4 cm의 피부 절개를 가한 후 전방 및 중간 삼각근의 봉합선을 따라 박리하고 삼각근 견인기를 이용하여 시야를 확보한다. 파열된 건에 견인 봉합을 시행하여 해부학적 복원을 위한 위치를 확인한 후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일열 혹은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다. 봉합술 후 견봉에서 삼각근이 견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번 흡수봉합사를 이용하여 견봉과 삼각근과의 추가적인 봉합을 시행한다. 결론: 본 술기는 회전근 개의 가장 흔한 파열 부위인 극상건의 전방부에 직접 도달이 가능하고, 전방 및 중간 삼각근 사이로 접근하기 때문에 삽입구 연장 도달법에 비해 비교적 적은 견인으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는 견갑하건의 상부와 후방으로는 극하건까지 도달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

관절경적 상완 이두근 건고정술의 임상적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tenodesis of the proximal biceps tendon using by interference screw)

  • 권석현;전철홍;최윤홍;한상수;김정우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29
    • /
    • 2012
  • 목적: 상완 이두근 장두의 고정술을 시행하는데 있어 관절경을 이용한 간섭 나사못(interference screw) 고정술후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상완 이두근 장두의 건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중 회전근개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20예였다. 결과는 VAS, ASES, 상완 이두근 구의 압통, 고정실패 및 변형의 정도로 판단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비해서 VAS, ASES 점수는 의미 있게 호전되었으나(p<0.05), 최종 추시시 17%(5예)에서 상완 이두근 구의 통증이 존재하였고, 10%(3예)에서 고정실패 및 BAD (biceps apex distance)의 증가로 인한 Popeye 변형이 존재하였다. 또한 회전근개 파열을 동반한 군과 그렇지 않는 군에서는 최종 추시시 회전근개 파열이 없는 군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p<0.05). 결론: 상완 이두근 근위부 병변에 의한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관절경적 상완 이두근 장두의 건고정술은 모두 최종 추시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17%에서 상완 이두근 구의 압통이 존재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최소 절개술에 의한 반월상 연골 동종이식 수술기법 (Technical Note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using Minimal Incision)

  • 민병현;김호성;장동욱;강신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4-61
    • /
    • 1999
  • 광범위한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최근의 치료는 수많은 연구와 임상적 접근을 통해 정상적인 반월상 연골의 기능을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냉동 보관된 반월상 연골의 동종이식은 연골의 정상적인 회복을 위한 유용한 방법중 하나이다. 저자들의 첫 4례의 동종연골이식은 관절경의 도움으로 시행하였고, 이후 22 예에서는 최소한의 관절 절개를 이용하였다. 또한 모든 동종 연골 이식에서 반월상 연골의 안정성과 회복을 위해 반월상 연골에 골교를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반월상 연골 동종이식술시 동시에 시행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은 일명 Key-hole technique을 사용하여 골터널에 의한 관절 연골의 침습을 최소화하려 하였다. 우선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원통형으로 만들고 수혜자의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내측연을 따라 골 터널을 만들어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press-fit하도록 한다. 삽입된 반월상 연골은 일반적인 반월상 연골 봉합술로 관절경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외측 반월상 연골은 내측 반월상 연골과는 달리 반월상 연골의 골교를 반원통 모앙으로 만들고 수혜자의 슬관절의 전방 십자 인대의 외측연을 따라 반원통 모양의 골 요지를 만든다. 반월상 연골을 골 요지에 얻고 인도 봉합사를 경골의 전면으로 뽑아내 이를 묶음으로써 고정을 한다. 삽입된 반월상 연골은 내측 반월상 연골이식술과 같은 방법으로 봉합한다. 저자들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절 연골의 침습을 최소화하고 비교적 정확한 위치에 반월상 연골을 이식할 수 있었다.

  • PDF

중범위 이상 회전근 개 파열 환자의 관절경적 봉합술 -견봉성형술의 역할- (Arthroscopically Assisted Repair of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The Role of Acromioplasty-)

  • 이광원;김갑중;이항호;김병성;김하용;최원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2호
    • /
    • pp.143-148
    • /
    • 2003
  • Objectives: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 of shoulder in patients with arthroscopically assisted repair of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with or without acromioplasty and role of acromi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6 to June 2002, twenty six patients with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were undergone arthroscopically assisted repair. Mean follow up was over one year. Fourteen were male and twelve were female. Mean age was 51 years old(39-66). Mean duration was 9 months. Acromioplasty was done in 14 cases concomitantl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arthroscopic cuff repair with acromioplasty(14 cases). Group II: arthroscopic cuff repair without acromioplasty(12 cases). Each shoulder was evaluated at preoperative and final follow-up with Visual Analogue Scale(VA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of pai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of function, ASES standardized shoulder assessment form, Simple Shoulder Test, UCLA score and range of motion(ROM).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houlder ROM and acromioplasty were determining factors. Statistics was tes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 ANOVA test.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functional outcome and pain were improved but they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p>0.05). Combined procedure, acromioplasty, didn't affect on VAS. UCLA sco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of pai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of function, ASf:S standardized shoulder assessment form and Simple Shoulder Test(p>0.05). In group II, forward flexion and abduction were statistically improved at the final follow up than in group I(p<0.05). Conclusions: It appears that arthroscopic repair is satisfactory procedure in patients with large to massive cuff tears. Combined procedure, acromioplasty, doesn't affect on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 of shoulder.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의 수술적 치료 (The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Avulsion Fractur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 송은규;설종윤;최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36
    • /
    • 2002
  • 목적 :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의 치료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손상후 3개월 이상 지난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로 진단 받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중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1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6세(9-66)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53개월(24-131)이었다. 수술은 전 예에서 관절경하에 병변의 확인 및 동반 손상의 치료후 관혈적 정복을 통한 내고정이나 골편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고정 방법은 8예에서 견인 봉합술을 2예에서 나사못 고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평균 64.3점에서 술후 96.2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술전 Lachman 검사상 7예에서 경도의 양성, 4예에서 중등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술후 Lachman 검사상 9예는 음성이었으며, 2예에서 경도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Meyers와 Mckeever의 평가 기준에 의하면 9예$(81.8\%)$에서 우수, 2예$(18.2\%)$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Telos^{\circledR}$기기를 이용한 건측과의 전방이완도 차이의 평가에서 술전 평균 7.8(10-4)mm의 차이를 보였으며 술후 최종 추시상 평균 2.1(6-0)mm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한 치료에 있어 관절경 검사를 통해 동반 손상의 평가와 관절 절개술을 통해 해부학적 정 복과 고정 또는 골편 제거를 병행함으로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급성 후방 십자 인대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및 자가 슬괵 이식건 보강술 - 수술 술기 - (Arthroscopic Repair of Acut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with Autogenous Hamstring Tendon Graft Augmentation - Technical Note)

  • 안진환;이상학;성기룡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0-76
    • /
    • 2005
  • 목적: 대퇴 근위 부착부가 파열된 급성 후방 십자 인대 파열에 있어서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함술 및 보강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검사 후, 후내측 도달법과 후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확보한 후 파열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을 후내측 관절경적 시야 하에서 전내측에서 삽입한 Suture hook을 이용하여 봉합한다. 이 봉합사를 전내측으로 빼내어 견인하여 파열된 인대 다발을 과간 절흔으로 보낸 후 전방에서 추가 봉합을 시행한다. 남아 있는 후방 십자 인대 다발을 보존하면서 경골 및 대퇴골 터널을 만든 후에 자가 단일 다발 반건양 및 박 이식건을 터널을 통해 관절 내로 통과시키고 대퇴 터널을 통과 시킨 후방 십자 인대 봉합사과 함께 고정한다. 결론: 급성 후방 십자 인대 손상 시 특히, 대퇴 근위 부착부 파열의 경우 파열된 다발을 후방에서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하여 남아있는 다발에 최소한의 손상을 주면서 경골 및 대퇴골 터널을 만들고 자가 슬괵 이식건을 보강함으로써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 PDF

외측 반월상 연골 경골 후방 부착부 파열의 관절경적 All-Inside 봉합술 - 수술술기 - (Arthroscopic All Inside Repair of Lateral Meniscus Root Tear -Technical note-)

  • 안진환;이동훈;장문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68
    • /
    • 2007
  •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손상과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 경골 후방 부착부 완전 방사상 파열 환자에서 전외측 및 전내측 도달법을 통한 all-inside 봉합 술기를 시술하여 온 바,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관절경을 전내측 도달법으로, 봉합용 갈고리(suture hook, $Linvatec^{TM}$, Largo, Florida, USA)를 전외측 도달법으로 관절에 삽입한 상태에서 봉합용 갈고리를 틀어서 외측으로 전위된 외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파열단의 대퇴골측 면에서 경골측 면으로 수직으로 통과시킨다. 갈고리 내로 PDS No. 1 ($Ethicon^{TM}$, Somerville, NJ, USA)를 통과시킨 후 봉합용 갈고리를 빼내고 전외측 도달법 입구로 봉합사의 양끝을 뽑아낸다. MAXON 2-0 ($Syneture^{TM}$, Norwalk, Connecticut, USA)를 봉합용 갈고리를 이용하여 경골 부착부 파열단 경골측 면에서 대퇴골측 면으로 봉합사를 수직으로 통과시켜 양끝을 전외측 도달법 입구로 빼내어 두 봉합사의 경골 측 끝 중 PDS를 MAXON에 결찰하여 MAXON의 대퇴골측 끝을 전외측 도달법으로 당겨 이를 PDS로 교체한 뒤 SMC(Samsung Medical Center) knot를 이용하여 결찰한다. 결론: 본 술기를 시행하여 외측 반월상 연골 후방 부착부 파열을 해부학적으로 봉합할 수 있으며 또한 반월상 연골의 연골 장력(hoop tension)을 효과적으로 회복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변형된Inside-Out 술식을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 (Modified Inside-Out Suture Technique for Meniscus Repair)

  • 안진환;왕준호;유재철;김형건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8-123
    • /
    • 2002
  • 목적: 저자들은반월상연골후내각부에사용되던기존의inside-out 의수술수기를변형하여수직봉합이가능하면서충분한고정력을얻을수있는수술수기를보고하는바이다. 수술수기: 관절경을전외측도달법으로위치시키고봉합용갈고리를전내측도달법으로위치시켜봉합용갈고리를돌려서내측반월상연골후내각부에파열된부분의내측의대퇴골쪽표면에서경골쪽표면으로통과시킨다. 갈고리내로PDS $\#0$을통과시킨후봉합용갈고리를빼내고전내측도달법입구로PDS$\#0$의양끝을뽑아낸다. 전내측도달법입구에관절경을위치시킨후전외측도달법입구로Zone specific cannula를통과시켜반월상연골파열면의경골면에위치시키고저자가고안한Looped Needle을통과시킨 후 경골면의PDS $\#0$을Looped Needle의loop 사이를통과시킨후관절밖으로빼낸다.대퇴골면의PDS $\#0$도같은방법으로관절밖으로빼낸다. 2개의PDS 봉합사가나온입구근처에약1cm가량의incision 을넣고PDS 봉합사사이에연부조직이끼지않음을확인하고결찰을시행한다. 고찰: 변형된inside-out 봉합술은기존의inside-out 봉합술에비해수술시간의지연이있을수있으나, 수직봉합을할수있고견고한고정력을얻을수있으며해부학적인정복으로파열부위의접촉면을증가시켜후내각반월상연골의파열을봉합하는우수한방법으로판단되어보고하는바이다.

  • PDF

버팀테응력 회복을 위한 아탈구된 내측 반월상 연골의 Suture anchor를 이용한 정복술 - 술기 보고 - (Arthroscopic Reduction of Subluxed Medial Meniscus using Suture Anchor for Restoration of Hoop Stress - Technical Note -)

  • 김재화;이윤석;김철;한승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0-284
    • /
    • 2009
  • 목적: 버팀테응력 회복을 위한 아탈구 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봉합나사(suture anchor)를 이용한 관절경적 정복술을 보고하고자 한다. 수술 수기: 전외측, 전내측, 중슬개골 도달법을 기본으로 사용하였다. 전외측 도달법으로 관절경을 삽입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아탈구를 먼저 확인 하였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방사선 파열이 있는 경우에는 이번 연구에서 제외 하였다. 전내측 삽입구를 통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전방부를 유리 시킨 후, 봉합 나사가 삽입 될 곳의 피질골을 전동식 연마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중슬개골 도달법을 이용하여 봉합 나사(suture anchor)를 삽입 하였으며, 90도의 봉합 갈고리와 2.0 Nylon을 이용하여 봉합 나사의 봉합사를 연골판에 통과 시킨 후, Sliding knot-ty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연골판을 고정시켰다. 환자들은 술 후 6주간 체중 부하를 금지 하였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의 아탈구에 있어 최소한의 손상으로 버팀테응력 회복을 통하여 슬관절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술식으로 봉합 나사(Suture Anchor)를 이용한 관절경적 정복술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