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thrography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7초

Characteristics of 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Findings in Traumatic Posterosuperior Rotator Cuff Tears

  • Cho, Yung-Min;Kim, Sung-Jae;Oh, Jin-Cheol;Chun, Yong-M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4호
    • /
    • pp.211-216
    • /
    • 2015
  • Backgroun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magnetic resonance (MR) characteristics of traumatic posterosuperior rotator cuff tears involving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We hypothesized that traumatic rotator cuff tears may have MR characteristics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non-traumatic tears. Methods: Preoperative MR arthrography and intraoperative tear size measurements were compared in 302 patients who underwent MR arthrography and subsequ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s for traumatic (group T, 61 patients) or non-traumatic (group NT, 241 patients) tears. The inclusion criteria for both groups were posterosuperior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and age between 40 and 60 years. For group T, traumas were limited to accidental falls or slips, or sports injuries, motor vehicle accidents; injuries were associated with acute onset of pain followed by functional shoulder impairment; and time between injur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6 weeks or less. Results: In group T, 72.1% of shoulders (44 patients) had tendon tears with blunt edges while 27.9% of shoulders (17 patients) had tears with tapering edges. In contrast, 21.2% of patients in group NT (51 patients) had blunt-edge tears, while 78.8% (190 patients) of tears had tapering edges.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nd estimated odds ratio was 9.6. The size of tear did not vary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Conclusions: We found no exclusive MR characteristic to define traumatic tears. However, oblique coronal MRI of traumatic tears showed a significant tendency for abrupt and rough torn tendon edges and relatively consistent tendon thicknesses (without lateral tapering) compared to non-traumatic cuff tears.

견관절 병변의 진단에서 다중 검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관절조영술의 유용성 - 동일 환자에서 시행한 자기공명 관절조영술 및 관절경 소견과의 비교 - (The Usefulness of Multidetector CT Arthrography in the Diagnosis of Shoulder Pathology -Comparison with MR Arthrography and Arthroscopic Findings in the Same Patient-)

  • 김동수;박경진;김용민;최의성;손현철;조병기;박지강;김석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15-125
    • /
    • 200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환자에게서 시행한 전산화단층촬영 관절조영술 (CT arthrography, CTA)와 자기공명 관절조영술 (MR arthrography, MRA) 및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여 견관절의 다양한 병변을 진단함에 있어 CTA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의 질환이 의심되는 49명의 환자에게 MRA와 CTA를 동시에 시행하고, 각각의 영상을 통하여 극상근 전층 파열, 상부 관절와순 전후방 병변 (SLAP 병변), 극상근 관절측 부분층 파열 (PASTA 병변), 극상근 점액낭편 부분층 파열의 총 4개의 병변을 진단하고 MRA와 비교하여 CTA의 민감도 (sensitivity), 특이도 (specificity), 양성예측도 (positive predictive value), 음성예측도 (negative predictive value)를 평가하였다. 또한, 49명의 환자 중 수술을 시행한 34명의 관절경 수술 소견을 분석하여 CTA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CTA는 MRA와 비교할 때 극상근 전층 파열 및 SLAP 병변에서 민감도가 각각 90%, 100%, 특이도는 100%, 97.5%로 거의 대등한 진단적 유용성이 있었으며, PASTA 병변에서는 민감도 71.4%, 특이도 97.7%로 일부에서 유용성을 보였으나, 극상근 점액낭편 부분파열의 진단에는 민감도가 10%로 취약하였다. 또한 CTA에서 진단된 병변은 수술 소견과 비교할 때 극상근 전층 파열 100%, SLAP 병변 87.5%, PASTA 병변 71.4%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CTA는 MRA와 비교할 때, 4개의 견관절 병변 중, 점액낭편 부분 파열을 제외하고 극상근 전층 파열, SLAP 병변, PASTA 병변을 평가함에 있어서 MRA와 거의 대등한 유용성을 보였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인 검사로서 견관절 병변 진단 및 수술 후 추시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관절경적 2열 고정 회전근개 복원술 후의 임상 결과 및 CT 관절조영술을 이용한 건의 치유 평가 (Clinical Outcomes After Arthroscopic Double-Row Rotator Cuff Repair and Evaluation of Cuff Integrity by CT Arthrography)

  • 조현철;김제균;윤강섭;이지호;강승백;이재협;한혁수;이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99-206
    • /
    • 2009
  •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의 임상 결과는 관혈적 복원술의 결과에 비견될 만큼 우수하다는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복원된 건의 치유 상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경적 2열 고정술 후의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 상태를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적 2열 고정술을 이용하여 회전근개 복원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이상의 추시 관찰을 받은 환자 중 건의 치유 상태 확인을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시행한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7세였으며 남자 11명, 여자 16명이었다. 술 전 및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거상력, 이환 기간, 그리고 여러 종류의 임상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수술 중 파열의 시상면 및 관상면의 크기, 이환 건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술 전 자기공명 영상 관절 조영술, 술 후에는 전산화 단층 촬영 관절 조영술에서 극상근 및 극하근의 위축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건의 연속성을 통한 건 치유 상태를 분석하였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 재파열, 그리고 건의 연속성은 있으나 부분적인 조영제 침투가 보이는 불완전 치유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전향적으로 추시하여 중, 장기적인 결과를 추시할 예정이다. 결과: 파열의 관상면 및 시상면 상 크기 중, 더 큰 것을 기준으로 파열의 크기를 분류하였고, 대상 환자 중 소파열이 1례, 중파열이 15례, 대파열 5례, 광범위 파열이 6례이었으며, 시상면에서의 평균 파열의 크기는 29.22 mm 이었다. 관상면에서의 크기는 평균 22.72 mm 이었으며, 술전 극상근 위축이 12례에서, 극하근 위축은 2례에서 관찰되었다.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 거상력, 그리고 임상 점수는 모두 의미있게 호전되었으며 술 후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는 80.38점이었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가 48.2%, 불완전 치유가 11.1%, 재파열이 40.7%이었으며, 근위축은 극상근이 8례, 극하근이 1례로 술 전에 비하여 약간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2열 고정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 또한 높았다. 그러나 건이 완전 치유된 경우가 48.2%로 비교적 낮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발육성 고관절 탈구에서의 관절 조영술 -고관절 조영술과 수술소견과의 비교- (Arthrographic Evaluation in Developmental Dislocation of the Hip - Comparison Between Hip Arthrogram and Operative Findings -)

  • 김세동;이윤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63-274
    • /
    • 1998
  •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관절 조영술은 수술전에 미리 유용한 정보를 줌으로써 수술전 계획을 세우고 수술을 체계적으로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고관절 조영술은 도수정복 혹은 수술적 정복전에 필수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고관절 조영술은 비구 관절순, 원형인대의 평가에 매우 유용하였으며, 횡비구인대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었다. 3. 고관절 조영술은 단순 방사선 촬영에 비하여 중앙연각의 평가에 훨씬 유용하고 실제 병리적 소견에 합당한 정보를 주었다.

  • PDF

관절와순낭인대(Labral-Capsular-Ligamentous) 복합체의 자기공명관절 조영술 : 정상변이 및 진단시 주의점 (MR Arthrography of the Labral-Capsular-Ligamentous Complex: Normal Variations and Pitfalls)

  • 한성호;양보규;김치홍;안태원;주우준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1997년도 학술대회
    • /
    • pp.164-166
    • /
    • 1997
  • MR arthrography is a useful modality for evaluating the labrocapsular ligamentous complex(LOLC) of the should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scribe normal anatomic variations and pitfalis in image interpretation related to evaluation of the LOLC. MR Arthrogram of 56 shoulders in 41 asymptomatic young, active volunteers were prospectively reviewed to evaluate the labral shapes. capsular insertions and images which may mimic the lesions of glenohumoral instability. The anterior and posterior parts of the labra. respectively. varied in shape: triangular$(72\%,\; 36\%)$. round $(13\%,\; 35\%)$. cleaved$(8\%,\; 1\%)$. notched$(2\%,\; 0\%)$. flat$(5\%,\; 24\%)$ and absent$(0\%,\; 4\%)$. The anterior and posterior capsular insertions. respectively. varied in sites: Mosely and Oevergaard type I$(82\%,\;62\%)$, type II$(13\%,\; 3\%)$ and type III $(5\%,\; 2\%)$. A number of pitfalls in image interpretation were discovered. Articular cartilage undercutting the labrum$(29\%)$ and middle glenohumoral ligament in proximity to anterior labrum $(5\%)$ simulated a labral tear. Joint fluid interposed in the central. superior portion of the sublabral sulci$(25\%)$ simulated a SLAP lesion. Synovial fold$(38\%)$ in axillary pouch resembled a loose body. Knowledge of normal variations and pitfalls in MR arthrogram image interpretation of labral capsular - ligamentous complex will help the orthopedist to accurately detect debilitating de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glenohumeral instability.

  • PDF

Can indirect 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be a good alternative to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diagnosing glenoid labrum lesions?: a prospective study

  • Mardani-Kivi, Mohsen;Alizadeh, Ahmad;Asadi, Kamran;Izadi, Amin;Leili, Ehsan Kazemnejad;arzpeyma, Sima Fallah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3호
    • /
    • pp.182-187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diagnostic valu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indirect 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I-MRA) imaging with those of arthroscopy and each other. Methods: This descriptive-analytical study was conducted in 2020. All patients who tested positive for labrum lesions during that year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atients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for 6 weeks. In the event of no response to conservative treatment, MRI and I-MRA imaging were conducted, and the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y to determine their ultim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Imaging results were assessed at a 1-week interval by an experienced musculoskeletal radiologist. Image interpretation results and arthroscopy were recorded in the data collection form. Results: Overall, 35 patients comprised the study. Based on the kappa coeffici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ults of both imaging methods are in agreement with the arthroscopic findings, but the I-MRA consensus rate is higher than that of MRI (0.612±0.157 and 0.749±0.101 vs. 0.449±0.160 and 0.603±0.113). The sensitivity, specificity, negative predictive value,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of MRI in detecting labrum tears were 77.77%, 75.00%, 91.30%, 50.00%, and 77.14%, respectively, and those of I-MRA were 88.88%, 75.00%, 92.30%, 66.66%, and 85.71%. Conclusions: Here, I-MRA showed higher diagnostic value than MRI for labral tea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I-MRA be used instead of MRI if there is an indication for potential labrum lesions.

고관절 직접 자기공명관절조영술: 비구순 병변의 진단 및 함정 (Direct MR Arthrography of the Hip: Diagnosis and Pitfalls of Acetabular Labral Lesions)

  • 임은솔;김용균;박혜미;이승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140-1162
    • /
    • 2021
  • 비구순 파열은 만성 고관절 통증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고관절 자기공명관절조영술은 비구순의 평가를 위한 중요한 검사 방법이다. 비구순의 정상변이와 비정상 상태를 구별하여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고관절 자기공명관절조영술에서 보이는 다양한 영상 소견을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고관절 자기공명관절조영술 시행의 기술적인 방법 및 영상해석에 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고관절 자기공명관절조영술에서 비구순의 정상 및 비정상 소견을 살펴본다. 또한 비구순 파열과 유사하게 보여 감별이 필요한 고관절 주위틈, 비구순의 정상변이, 주름 등에 대해 알아보고, 고관절 자기공명관절조영술에서 볼 수 있는 골연골 및 연조직 병변 등의 소견에 관해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