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oma rice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육성 향미 유전자원과 도입 향미 유전자원의 농업적 형질 평가 (Estim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romatic Rice Germplasm and Foreign Aromatic Rice Germplasm in RDA Genebank, Korea)

  • 김정순;안상낙;조양희;곽재균;김태산;이정로;이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61-272
    • /
    • 2008
  • 본 시험은 국내 육성 향미자원과 외래 도입 향미 유전자원 및 국내 다면적 재래자원들의 농업적 형질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우수한 향미 품종의 육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재료는 104품종으로 국내자원 5품종 및 국내 다면적 재배 자원 14품종으로 모두 출수하였으나, 외래 도입자원 84품종 중 24품종(23%)은 출수하지 못하였다. 2. 평균 출수일은 통일계 국내자원(122일)이 빨랐으며, 자포니카형 국내자원이 136일로 늦었고, 도입자원(약 132일)과 다면적 재배자원(131일)과 비슷하였다. 평균 간장은 통일계 국내자원(74 cm) < 다면적 재배자원(97.5 cm) < 자포니카형 국내자원(100.3 cm) < 자포니카형 도입자원(120cm) < 인디카형 도입자원(130 cm) 순으로 길었다. 평균 수장은 국내 향미자원(21 cm)과 다면적 재배자원(21.5 cm)이 비슷하며, 자포니카형(24.5 cm)과 인디카형(29.5 cm) 도입자원이 국내자원보다 길었다. 평균 수수는 자포니카형 도입 자원(10개) < 통일계 국내자원(12개) < 인디카형 도입자원(14개) < 다면적 재배자원(15개) < 자포니카형 국내자원(19개) 순으로 많았다. 평균 1,000립중은 통일계 국내자원(23.6g)과 자포니카형 도입자원(23.5 g)이 자포니카형 국내자원(20.9 g)과 다면적 재배자원(21.9 g)이 비슷하였고, 인디카형 도입자원은 19.1 g이었다. 3. 벼의 생태형을 결정하는 립의 평균 장폭비는 인디카형도입자원(3.29) > 통일형 국내자원(2.52) > 자포니카형 국내자원 = 자포니카형 도입자원(1.81) > 국내 다면적 재배자원(1.7) 순이었다. 4. 임실률은 자포니카형 국내자원(100%) > 국내 다면적 재래종(98%) > 자포니카형 도입자원(89.7%) > 인디카형 도입자원(65.4%) > 통일형 국내자원(50%) 순으로 높았다. 평균 발아율은 국내자원(통일계, 98.3%; 자포니카형, 90.4%) 및 국내 다면적 재래종(자포니카형, 93.3%)이 도입자원(인디카형, 83.7%; 자포니카형, 88.6%)보다 높았으나, 변이폭은 도입자원이 컸다.현미의 형태적 특징은 찰벼는 7자원이며 메벼가 97자원(84.2%)이었다. 5. 국내자원 중 Hyangmibyeo2ho, Aranghyangchalbyeo가 중간 정도의 향을 띄었다. 인디카형 도입자원 40품종 중에서 22품종(55%)과 자포니카형 도입자원 16품종 중 9품종(56%)이 약한 향을 나타내었고, 국내 다면적 재래종은 13품종은 모두 향이 없었다.

국내 육성 및 도입 향미자원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Estim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roma Rice and Foreign Aroma Rice)

  • 김정순;안상낙;강희경;조양희;곽재균;이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03-216
    • /
    • 2008
  • 본 시험은 국내 육성 5품종, 국외 도입 61품종 등 향미자원 66품종 및 국내에서 재배면적이 넓은 재래종 14품종을 비향미자원의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아밀로스함량, 단백질함량, 알칼리붕괴도(ADV) 및 호화점도(RVA)등을 분석 향후 기능성 및 다양한 향미 품종의 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육성향미 자원(18.1%) 및 국내 다면적 재래종(19.0%) 각각의 저아밀로스 자원을 제외하면 평균 아밀로스함량이 비슷하였으며, 외국에서 도입한 인디카형(25.6%) 및 자포니카형(25.0%) 향미자원의 평균 아밀로스함량보다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국내에서 육성한 통일계와 자포니카형 향미품종 각각의 평균 단백질함량은 7.6%와 6.4%이었고 인디카형 도입 향미자원 및 자포니카형 도입 향미자원의 평균 단백질함량은 각각 7.6%와 7.0%이었으며, 국내 다면적 재래자원(자포니카형)들의 평균 단백질함량은 5.6%이었다. 자포니카형의 품종들이 인디카형 자원에 비해 다소 낮은 단백질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외국에서 도입한 향미자원의 경우 단백질함량의 변이 폭이 넓었다. 3. 국내에서 육성한 향미 자원 중 통일계 품종의 평균 알칼리붕괴도는 5.0이었고 자포니카형 품종의 평균 알칼리붕괴도는 6.0이었다. 인디카형 도입 향미자원의 평균 알칼리붕괴도는 4.3이었고 자포니카형 도입 향미자원의 평균 알칼리붕괴도는 5.1이었다. 국내 다면적 재래자원(자포니카형)의 평균알칼리붕괴도는 6.0이었다. 알칼리붕괴도 값은 자포니카형 > 통일계 > 인디카형의 순서로 낮았으며 도입 향미자원의 알칼리붕괴도 값의 분포가 국내 육성 향미 자원이나 국내 재래자원보다 넓었으며 평균값도 낮게 보였다. 4. Amylogram의 전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면, 전체 자원의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는 국내육성 향미 자원 중 통일계 품종 > 국내 다면적 재래자원(자포니카형) >국내 육성 자포니카형 향미자원 > 인디카형 도입 향미자원 > 자포니카형 도입 향미자원 순으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또한 국내외 향미 자원 및 일반 벼의 생태형(ecotype)에 따라 아밀로그램의 양상이 뚜렷하게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배유의 amylose와 amylopectin의 구성조합의 차이에 따른 메벼, 찰벼, 중간찰벼의 아밀로그램의 양상이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찰벼의 경우 메벼나 자포니카형에 비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분질배유를 지니는 흑미, '아로마티'의 주요 농업형질 및 가공적성 평가 (Agronomic and End-use Quality Analysis of 'AromaT', a Black Rice (Oryza Sativa L.) Variety with Floury Endosperm)

  • 하수경;모영준;정종민;이현숙;김진희;서우덕;정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9-16
    • /
    • 2022
  • 흑미에서 생합성되는 안토시아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환경 및 제분비용이 낮은 건식제분 쌀가루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분질배유를 지녀 건식제분에 적합한 벼 '수원542호'에 흑미인 '흑진주'를 교배한 '아로마티'를 개발하였고, 2019년 특허 출원하였다(Ha et al., 2019). 2019년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포장에서 재배된 '아로마티'의 재배시기별 주요 농업형질, 분질배유 및 건식제분 적합성을 연구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로마티'는 남부지방에서 이모작 또는 만기재배에 적합하다. 이모작 및 만기재배에서 '아로마티'의 출수기는 각 8월 14일 및 8월 26일으로써 부본인 '흑진주'보다 늦었다. '아로마티'와 '흑진주' 현미수량성은 보통기 재배보다 이모작 재배와 만기재배에서 격차가 더 컸다. '아로마티'의 안토시아닌 성분과 향기성분인 2AP 함량은 만기재배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아로마티'는 '흑진주'에 비해 남부지방에서의 이모작 및 만기재배 환경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아로마티'의 분질배유는 모본인 '수원542호'에서 유래되었다고 유전적으로 규명하였다. '수원542호'의 분질배유는 5번염색체에 존재하는 열성 단인자 'flo7'에 의해 결정되고, 분질배유 유전자인 cyOsPPDK 유전자의 ORF 내 8번 Exon에 존재하는 SNP의 서열이 G에서 A로 치환되었다고 보고되었다. 해당 영역의 '아로마티'의 SNP 서열은 '수원542호'와 동일하게 G에서 A로 치환되었다. 또한, '아로마티'에서는 '수원542호'와 동일한 'Adenine' 염기가 확인되었고, '흑진주'에서는 'Guanine' 염기가 확인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로마티'의 분질배유는 '수원542호'에서 유래되었음을 유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3. '아로마티'가 '흑진주'보다 등숙기간의 저온 및 고온 적응력이 더 우수하다. '아로마티'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모든 재배조건에서 '흑진주'보다 높게 생합성되기 때문이다. 특히, 만기재배에 생산된 '아로마티'는 부본인 '흑진주'보다 열수처리를 통해 용출되는 안토시아닌 함량도 높았고, 구수한 향을 발산하는 2AP의 함량이 높으므로 음용이 간단한 흑미차 소재로 활용가치를 확인하였다. 4. '아로마티'는 건식 흑미가루 생산에 적합하다. '아로마티'는 분질배유를 지니었기에, 가루로 제조할 경우 입도가 곱고, 손상전분이 낮다. 따라서 '아로마티'는 다양한 쌀 가공품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은 건식 흑미가루 생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이상의 결과로 '아로마티'는 분질배유를 지니는 흑미이자 향이 존재하는 점을 고려할 때, 고품질 흑미가루 및 현미차 등으로 활용하여 쌀가공산업에 신소재로써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Identification of Character-impact Aroma Compounds and Comparisons of Sensory Attribut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Rice Wines Brewed with Functional Herbal Powders or Extracts

  • Lee, Gyu-Hee;Shin, Young;Chang, Yeong-Il;Jeong, Jae-Hong;Chang, Kyu-Seob;O, Man-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05-410
    • /
    • 2002
  • Rice wine was prepared with medicinal plants or plant extracts to obtain a value added nutritious alcoholic tonics. Powders of ten medicinal plants (PTM) or aqueous extracts prepared from them (ATM) were add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roma compounds of rice wine (control) and wines containing PTM or ATM were isolated by liquid-liquid continuous solvent extraction (LLCS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Desirable aroma compounds: acetaldehyde (sweet, ethereal), benzaldehyde (sweet, fragrant), ethyl acetate (sweet) and ethyl octanoate (sweet, ethanolic) had the highest log$_3$-flavor dilution (FD) factors in ATM.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intensities of undesirable aroma attributes, such as koji and yeasty notes in control, and raw medicinal herb notes in PTM, were lowest in wine with ATM. Wines made with ATM had the most attractive aroma attributes among the three different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wines.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 Lee, Seung-Joo;Kwon, Young-Hee;Kim, Hye-Ryun;Ahn, Byung-Ha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74-380
    • /
    • 2007
  • Chemical and sensory profiles of 5 Korean commercial rice wines (yakju) were developed using descriptive, physicochemical, and volatile analyses. Color, 6 aroma, and 5 taste attributes of these rice wines were evaluated by a panel of 13 judges. Sample wines were analyzed for titratable acidity, ethanol content, pH, Hunter colorimeter value, organic acids, and free sugars. Volatile analysis of the samples revealed the presence of 2 acids, 7 alcohols, 19 esters, and 5 miscellaneous compound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descriptive data, rice wines were primarily separated along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hich accounted for 57% of the total variance between the rice wines with high intensities of 'color' and 'sweet aroma' versus 'ginseng' aroma.

Comparative Analyses for Aroma and Agronomic Traits of Native Rice Cultivars from Central Asia

  • Sarhadi, Wakil Ahmad;Hien, Nguyen Loc;Zanjani, Mehran;Yosofzai, Wahida;Yoshihashi, Tadashi;Hirata, Yutaka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7-22
    • /
    • 2008
  • Aromatic rice has become popular owing to its aroma. Growing demand for aromatic rice has spurred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ultivars that offer similar combinations of grain attributes such as texture, cooking characteristics, aroma, and taste. In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agronomic attributes and aroma of 26 cultivars from Afghanistan, Iran, and Uzbekistan, and controls from Japan, Thailand, and India were characterized. Also $F_2$ population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Jasmine 85 aromatic$\times$Nipponbare non-aromatic) and(Jasmine 85$\times$Basmati 370 aromatic) were obtained. Tasting individual grains, cooking test, 1.7% KOH sensory test, and molecular marker analysis have been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aromatic and non-aromatic rice. Diversity for some traits of agronomic importance, such as plant height was detected among countries, e.g. Afghan cultivars classified as tall, and Iranian and Uzbek intermediate and short, respectively. Differentiations of panicle, grain, leaf, basal internode, and culm dimension among rice cultivars, indicating the source of rice diversity in Central Asia. According to the results, 6 of 10, 2 of 7, and 0 of 6 of Afghan, Iranian, and Uzbek rice cultivars were scored as aromatic, respectively. Therefore, Afghan cultivars are a good source of aromatic rice germplasm for Central Asia. The expression between aromatic and non-aromatic, and aromatic and aromatic combinations has been evaluated. The observed segregation ratio of these crosses in the $F_2$ populations was tested by $x^2$ analysis against the expected ratio for a single gene. A segregation ratio of 3:1 between non-aromatic and aromatic combination has been detected, while segregation has not been detected between the aromatic and aromatic combinations. Also, parallel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tested aromatic rice cultivars.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a single recessive gene controls aroma in all aromatic rice cultivars.

  • PDF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nce of Frozen Cooked Rice by a Rapid Freezing Process Compared to Homemade and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 Kwak, Han Sub;Kim, Hye-Gyeong;Kim, Hyun Suk;Ahn, Yong Sik;Jung, Kyunghee;Jeong, Hyo-Young;Kim, Tae Hy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67-75
    • /
    • 2013
  • Descriptive analysis and consumer acceptance tests were conducted with frozen (FCR), homemade (HCR), and aseptic-packaged (ACR) cooked rice products from two cultivars-IM and SD. FCR was prepared using a rapid freezing process, which may provide consumers with a quality similar to that of HCR. The intensity of the flavors of roasted, glutinous rice, rice cake, and rice starch and the textures of glutinousness, moistness, chunkiness, adhesiveness, and squishiness were all greater in the FCR as compared to the HCR and ACR (p<0.05) in IM and SD cultivars. The differences in sensor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CR and ACR were larger than the equivalent differences between the FCR and HCR. Overall consumer acceptance ratings for FCR in overall aspect, appearance, aroma, and tex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ose for HCR (p>0.05); however, in most cases these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ACR (p<0.05). From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analysis, cooked ri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weet, transparency, glossiness, roasted, glutinousness, chunkiness, moistness, glutinous rice, adhesiveness, rice shape, rice starch, and squishiness attributes but negatively related to raw rice, old rice, old rice aroma, a particle feeling, off-aroma, white color, scatteredness, slickness, size of cooked rice, and firmness attributes.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향미 유전자원의 2-acetyl-1-pyrroline 정량분석 (Quantification of 2-Acetyl-1-pyrroline from the Aroma Rice Germplasm by Gas Chromatography)

  • 김정순;박원성;안상낙;이정로;곽재균;김태산;이석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16-521
    • /
    • 2008
  • 본 실험은 국내 육성향미자원과 유전적 배경이 서로 다른 도입향미 유전자원의 2AP 함량을 비교분석하여, 2AP 함량이 높고 농업적 형질이 우수한 자원을 선발하여 우수한 향미자원의 육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3종류의 유기용매에 대한 추출효율은 ethanol>acetonitle>methanol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ethnanol의 경우 $30-90^{\circ}C$의 온도범위에서 3가지 유기용매 중 2AP 추출효과가 가장 뛰어났고, 특히 $90^{\circ}C$에서 30분간 추출하였을 때 2AP 추출함량이 가장 높았고 추출 시간이 경과할수록 2AP의 함량이 낮았다. 현미의 분쇄정도에 따른 2AP 추출함량은 5초간 분쇄하였을 경우 가장 높았으며 분쇄 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졌다. 선발한 30품종 중 국내 향미자원과 자포니카형 도입자원의 평균 출수일은 각각 130.3일과 131.8일로 비슷하였으며 인디카형 도입자원은 약 137.1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1,000립중은 인디카형 도입자원이 19.9 g으로 가장 낮았으며, 국내 향미자원이 21.65 g이었고 자포니카형 도입자원은 25.5 g으로 높았다. 선발자원의 향에 대한 관능검사는 국내 향미자원 5품종 중향남벼 2호, 아랑향찰벼가 중간 정도의 향을 띄었고 인디카형 도입자원 19품종 중에서 11품종(57.9%)과 자포니카형 도입자원 6품종 중 2품종(33.3%)이 중간 이상의 향을 나타났다. 선발한 30품종의 평균 2AP 함량은 국내 육성 향미자원이 도입 향미자원에 비해 낮았으며 도입자원에서는 인디카형이 자포니카형보다 높은 2AP 함량을 나타내었다. 국내 육성 향미자원은 아랑향찰벼외 4품종과 도입 향미자원 중 인디카형은 Basmati6313 외 18품종 및 자포니카형은 자향나 861 외 5품종을 선발하였다.

전통 누룩미생물들로 제조한 개량누룩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Traditional Nuruk Microorganisms)

  • 소명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9-225
    • /
    • 1999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uk a Korean traditional fermenting agent for brewing nuruk was modified by a new method inoculating Rhizopus japonicus T2 Aspergillus oryzae L2 and hansenula sp. BC26 which had been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ified Nuruk were investimgated as compared with current fermenting agents such as commercial Nuruk and rice koji of As-pergillus kawachii. The odor of modified Nuruk was savory but those of commercial Nuruk and rice koji were fetid andinodorous repectively. The extracted waters of modified Nuruk commercial Nuruk and rice koji were yellow pale yellow and colorless and showed 6.15, 6.01 and 3.30 of pH respectively. Mod-ified Nuruk had 7.6${\times}$106CFU/g of yeast but commercial uruk and rice koji had no yeast. Commercial Nuruk had 1.0${\times}$102CFU/g of lactic acid bacteria but modified Nuruk and rice koji had no lactic acid bacteria. The amyl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ies of modified Nuruk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commercial Nuruk or rice koji. Seed mash of modified Nuruk had ester aroma but that of commercial Nuruk rather offensive odor and that of rice koji neither ester aroma or offensive odor. It seemed that if the modified Nuruk is used in seed mashing the supplement of acidulant is need to lower pH. The quality of modified Nuruk was thought to be much better than that of commercial Nuruk or rice koji.

  • PDF

현미와 현미분말 첨가량에 따른 현미와플 및 주먹밥의 소비자 기호도 조사 (Effects of Brown Rice and Brown Rice Powder Mixing Ratio on the Preference Analysis of the Waffles and Rice Ball)

  • 김홍균;김지나;황은미;신원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52
    • /
    • 2014
  • This study surveyed consumers' sensory liking ratings of 3 types of developed brown rice products (brown rice nut waffles, Kimchi and tuna rice ball, sweet red-bean paste rice ball) and analyzed the drivers for liking or disliking the brown rice products. Each brown rice product had a brown rice to brown rice powder ratio of either: 100:0; 80:20; or 50:50. Forty consumers evaluated the acceptance of brown rice products on a 9-point hedonic scale and gave comments regarding liking or disliking each product. The results of the preference investigation analysis showed subjectivity depending on the brown rice product and the respondents' genders and ages. For brown rice nut waffles was affected by gender, age, and brown rice powder mixing ratio (p < 0.05). The variables "liking the aroma"; "liking the delicate flavor"; "liking the chewiness"; "liking the moistness"; "liking the softness"; "liking the harmony"; "liking the after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the Kimchi and tuna rice ball. For the sweet red-bean paste rice ball product, the rates of liking the chewiness, stickiness, moistness, and softness of the 0% brown rice powder mix were all higher (p < 0.05) than were the rates of liking those same qualities in the 50% brown rice powder mix. Among all brown rice products,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overall acceptability, liking the saltiness, liking the aroma, and liking the harmony. A preference investig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brown rice product fillings were key factors to the products' overall accep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