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 component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3초

효소와 유산균 전처리 밀싹분말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heat Sprout Powder Prepared by the Enzyme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 주뤠이위;박영민;오종철;유현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59-47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eat sprout powder prepared by the enzymatic hydrolysis and lactic acid bacteria treatment. The four kinds of pre-treatment were: no treatment (WP), treated with enzyme (WPE),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WPL), and treated with enzyme and lactic acid bacteria (WPEL) were applied to the wheat sprout powder. The WPEL had higher total free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than the other samples. As for the volatile aroma of the wheat sprout powder, 29 types of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WP and WPL, 28 types in the WPE, and 27 types in the WPEL,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s, in the wheat sprout powder was enhanced with the enzyme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pre-treatment. The WPEL had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at 6.24 points in the WPEL.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enzyme and lactic acid bacteria pre-treatment could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tive component of the wheat sprout powder.

된장 가열조리 시 생성되는 향기성분 변화 (Thermal Changes of Aroma Components in Soybean Pastes (Doenjang))

  • 이승주;안봄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1-2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장산 된장과 전통 된장 제품을 이용하여 가열조건(상온, $50^{\circ}C$, $100^{\circ}C$)을 달리한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HS-SPME법에 의해 추출한 후, GC-MSD를 이용하여 분석동정하였고 이들 성분의 정량분석도 실시하였다. 정성된 화합물은 총51개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고 동정된 성분을 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18 esters, 3 alcohols, 6 acids, 8 pyrazines, 5 volatile phenols, 1 ketones, 6 aldehydes와 4개의 기타성분이 동정되었다. 에스터 성분과 산 성분이 동정된 화합물 중 두 개 시료에서 모두 가장 높은 농도를 차지하였다. 전통된장 시료는 가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 피라진류의 증가가 두드러졌고, 공장산 제품의 경우 에스터, 알데히드류 및 maltol과 acetyl pyrrole과 같은 일부 마이얄반응 부산물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관능검사 및 GC-Olfactometry 분석을 통한 전통 및 공장산 제품의 관능특성과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간의 상관관계분석이 필요하리라 판단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관능특성의 맞춤형 제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콩고기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분석 (Study o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nce of Commercial Soy-meat Products)

  • 김미라;양정은;정라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0-16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meat samples by trained panels and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the samples.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eight samples; four types of patty style soy-meat samples (Soy-meat Patty; SP) made with a Ddukgalbi recipe (YSP, VSP, LSP, and SSP) and four types of Bulgogi style soy-meat samples (Soy-meat Bulgogi; SB) made with a Bulgogi recipe (YSB, VSB, LSB, and SSB). Seven panelists were trained, and they evaluated the appearance, odor/aroma, flavor/taste, texture/mouth feel, and after taste attributes of these samples. Forty attributes were generated by panelists, and 37 attribu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products (p<0.05). The SB group was characterized by beef, leek, and garlic flavor as well a sweetness, denseness, slipperiness, chewiness, and pepper after taste. The SP group was characterized by roughness, particle size, rancid oil flavor, raw bean flavor, astringent, sourness, and adhesiveness. Consumer test (n=125) showed that the VSB sample had the highest scores for acceptability of appearance, flavor, texture, and overall liking. The PLSR results show that the attributes that were mo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ceptance of soy-meat samples were beef taste, wetness, and chewiness, whereas the raw bean smell and rancid oil flavor attributes were negative.

두릅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Edible Korean Fatsia Shoots (Aralia elata Seem.))

  • 김소미;정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89-397
    • /
    • 1996
  • 연속수증기증류장치를 이용하여 두릅으로부터 얻어진 휘발성농축물은 탄화수소구분 및 함산소구분으로 분리되었고, 함산소구분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9개의 계대구분으로 다시 분획하였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질량분석계를 연결시킨 장치는 휘발성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동정된 167개의 휘발성성분은 72개의 탄화수소, 31개의 알콜, 23개의 알데히드, 16개의 에스테르, 10개의 산, 6개의 케톤, 3개의 푸론, 2개의 페놀, 1개의 인돌, 1개의 산화물, 1개의 설파이드 및 1개의 락톤이었다. Sesquiterpene 탄화수소인 ${\beta}-caryopyllene$은 두릅에서 동정된 휘발성 성분중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19.53%를 차지하였다. 두릅정유는 관능검사용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각 구분에 함유된 개별 휘발성성분을 평가에 의해서 초목 모양의 향기를 함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가공조건에 따른 황기, 오미자, 맥문동 및 길경을 첨가한 한방차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in Herbal Tea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Schizandra chinensis, Liriope platyphyll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which are affected by the Processing Conditions)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34-540
    • /
    • 2014
  • 가공조건 차이에 따른 한방차의 성분변화를 분석한 결과, 팽화공정 처리한 것은 볶음공정을 한 것보다 조회분, 수분, 조단백질, 고형분 용출율이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은 소폭 감소하였다. 벤조피렌[$B({\alpha})P$]함량은 0.35 ppb에서 0.18 ppb로 크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심한 열처리 과정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B({\alpha})P$이 검출된 이유는 식품 중 $B({\alpha})P$는 주로 음식을 조리, 가공할 때 식품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열분해 되어 생성되기 때문이다. 한방차에서 맛, 향, 색상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다소 텁텁한 느낌이 강하고, 시큼한 맛이 강하여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아피오스 첨가 국수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with Added Apios (Apios americana Medikus) Cultivated in Korea)

  • 나세연;심기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44-857
    • /
    • 2018
  • This study evaluates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ing domestic apiose (Apios americana Medikus) powder at the ratios of 0, 5, 10, 15, and 20%.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while the pH de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On the other hand, water absorption ratio and turbidity in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The L value decreased while the a value in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In texture, the hardness increased while cohesiveness de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As a result, the overall preferences, the appearance, aroma, taste, and texture were the best when 15% apiose was added. In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it turned out that brown color, bitter taste, delicate flavor, hard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in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However, crystallinity, spreadability, flour flavor, springiness decreased as more apiose was added.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t was found out that when more than 15% apiose was added to the noodles.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all for total phenolic, flavonoid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more apiose was added. Collectively, it was noted that the preferenc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are the best when 15% apiose was added to noodles.

우울증완화의 효과적인 국내산 9종 식물 조합오일의 생리활성 효과 연구 (9 types of domestic plant combination oil effective for relieving depression Bioactive effect research)

  • 정숙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3-112
    • /
    • 2023
  • 본 연구는 우울에 효과가 입증된 국내 자생 식물 9종(배초향, 적송, 강황, 생강, 산미나리씨, 불수감, 황칠, 탱자, 쥐오줌풀) 을 선정하여 각각의 향기 성분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9종 정유를 조합하여 항산화(DPPH, ABTS), 세포독성(MTS), 항염(Nitric oxide)실험을 수행하였다. 향기성분 분석결과 조합오일에서 기연구된 우울완화 효과 성분인 DL-Limonene(38.44%), g-Terpinene(8.9%), Estragole(5.18%), a-Pinene(1.73%) 등이 동정되었다.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75.4%, ABTS 라디칼 소거능은 74.04%을 보였으며,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5uL/ml의 농도에서 NO 생성 저해능은 33.14%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국내 블렌딩 정유의 우울증의 개선 또는 예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더불어 과학적 효능과 성분 연구가 상호 협력적으로 이루어져 우울증적 증상 개선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Surimi for snack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ried fish snacks prepared from surimi of different fish species

  • Yunjin Choi;Jiyeon Chae;Seonghui Kim;Eui-Cheol Shin;Gibeom Choi;Duhyeon Kim;Suengmok Ch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45-157
    • /
    • 2023
  • Surimi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the main ingredient in gelling foods, such as imitation crab sticks. However, it can also be used to manufacture snacks without gelling properties. To assess the properties of surimi as a snack ingredient, we prepared fried fish snacks with different surimi grades of Alaska pollack (AP) and threadfin bream (TB) and evaluated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AP had significantly higher protein and gel strength values than TB did. Regarding color, TB showed significantly lower lightness (L) values and higher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than AP did, consistent with the appearance of a brown color. TB had significantly lower hardness values, higher thickness expansion, and higher oil content than AP did. Hardness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l strength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oil content. In the micro-structure images, more blistering was formed in TB, indicating higher expansion and crispiness. In the sensory evaluation, TB showed higher overall sensory acceptance than AP did, which is the result of its high color content, crispiness, taste, and arom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electronic nose and tongue revealed that the samples were clearly separated. In particular, TB had more aromatic components than AP in the electronic tongue. Our findings indicate that gel strength,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properties of surimi, does not need to be considered in snack manufacturing. In fact, surimi with low gel strength is a more suitable ingredient for snack manufacturing.

유통 압착올리브유의 이화학적인 특성 (Analysis of Characterization in Commercial Extra Virgin Olive Oils)

  • 남하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66-873
    • /
    • 2007
  • 국내에서 유통되는 국산 및 수입산 압착올리브유에 대한 향 성분 및 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향 성분의 구별을 위해 SPME-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올리브유의 주요 향 성분으로 hexanal, 4-hexen-1-ol, (Z)-3-hexen-1-ol, acetic acid, 2,4-dimethyl-heptane 등이 동정되었고, MOS 유형의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성분패턴 분석결과, 올리브원유의 원산지에 따라 각기 다른 향기패턴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튀니지산(no. 10)을 제외한 12종의 압착올리브유는 유사한 지방산을 보였으며, 13종의 압착올리브유는 oleic acid(18:1, 61.1${\sim}$77.9 mole%)가 주요 지방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palmitic(16:0, 11.7${\sim}$16.5 mole%), linoleic(18:2, 4.7${\sim}$17.4 mole%), stearic(18:0, 1.9${\sim}$3.6 mole%), palmitoleic(16:1, 0.8${\sim}$2.2 mole%), linolenic acid(18:3, 0.7${\sim}$1.2mole%)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사된 13종의 압착올리브유에서 $L^{\ast}$값은 81.7${\sim}$92.9, $a^{\ast}$값은 -28.3${\sim}$13.5, $b^{\ast}$값은 52.2${\sim}$139.0을 나타내었다. 국내brand 압착올리브유에서는 16.7${\sim}$24.9 mg/100 g, 수입brand 압착올리브유에서는 6.2${\sim}$19.5 mg/100 g으로 전체적으로 국내산이 수입산보다 total phenol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된 압착올리브유의 ${\alpha}-tocopherol$ 함량은 5.5${\sim}$12.8 mg/100 g의 분포를 보였다. 압착올리브유 시료들의 초기 POV는 13.5${\sim}$22.9 meq/kg oil의 수치를 보였고, 이들의 induction period time은 10번 시료(19.88 hr)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료들에서 31.76${\sim}$54.04 hr로 나타났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현미의 품종별 가공 처리에 따른 화학적 품질 특성 (The Chemical Quality Properties during Processing Treatment of Brown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 이종구;권광일;최지영;최종동;정명근;임무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37-43
    • /
    • 2010
  • 아밀로오스 함량이 서로 다른 품종의 현미를 이용하여 가공 처리 즉, frying 처리와 parboiling 처리를 하여 여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페놀성 물질 함량은 품종에 따른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품벼의 실험 결과를 볼 때 frying 처리 후 현미가 백미보다 높은 페놀성 물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Blue value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고도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판단된다. 향기 성분은 Hydrocarbons류와 Esters류가 각각 3종, Alcohols류와 Acetals류가 각각 2종, Aldehydes류가 5종, Acids류가 6종이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Aldehydes류의 Benzaldehyde, Phenylmethan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B군은 현미 무처리구보다는 가열처리 후 frying 처리구의 vitamin 함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vitamin $B_1$함량은 1.4189~1.6494 mg에서 0.3102~0.7097 mg으로 감소되었고, vitamin $B_2$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parboiling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Vitamin $B_6$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함량이 감소하였다. Niacin은 함량이 상대적으로 다른 vitamin B군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무기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Mg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대체적으로 아밀로오스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미를 품종과 처리 조건에 따라 달리하여 frying 처리한 전자 공여능 결과 백미보다는 현미상태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전자 공여능 값을 보여주었고, 무처리구보다 유탕 처리 후 좀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