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ing by participation of communit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마을 아카이빙 시론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rchiving of a village)

  • 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26호
    • /
    • pp.151-172
    • /
    • 2010
  • 이 연구는 마을 아카이빙의 지향과 방법을 구안하기 위해 시론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마을 아카이빙의 지향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다음 세 가지 논점을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일반 기록관리 이론과 마을 아카이빙의 공통점과 차이점이다. 차이를 인식해야 기록관리 일반 이론을 응용하여 현실에 맞는 아카이빙 방법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은 마을 만들기, 마을 공동체 복원 운동의 일환으로서 마을 아카이빙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은 주체의 문제에서도 전문 아카비스트의 입장에서보다는 공동체 복원 운동가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동체 운동가로서 동시에 아카비스트의 전문성을 지니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다. 마을 아카이빙을 하려면 마을의 구성과 각각의 구성에 의해 산출되는 기록의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마을의 구성을 자연공간, 인문공간, 역사, 공동체 조직, 공동체 문화, 경제활동, 소조직 개별가호, 네트워크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부분에서 생산될 만한 기록의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적시하였다. 마을 아카이빙의 주체와 방법에 대해서도 시론적으로 정리를 시도하였다. 마을의 공동생산이나 소비의 활동에 대한 아카이빙, 마을 역사에 대한 아카이빙, 자연공간, 인문공간 개선 활동에 대한 아카이빙, 교육, 네트워킹에 대한 아카이빙의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시론은 새로이 아래로부터의 아카이빙 운동에 우리 학계가 관심을 갖도록 주위를 환기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민참여를 통한 장소 기록화 방안 연구 (A Study on Place Archiving Methodology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 안정희;신유림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63
    • /
    • 2024
  • 이 연구는 소멸된 장소의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론연구를 통해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장소 기록화의 의의를 밝혔다. 장소의 소멸은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의 소실을 의미한다. 장소 기록화는 공간의 장소성을 기록하는 과정으로 기억매개체의 상실에 대응하고, 공유기억의 부재를 해소하며, 공동체 정체감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록의 이해당사자들을 기록의 생산주체로 복원하여 관련된 맥락을 풍부하게 기술하는 방법과 도구를 제공하는 아카이빙 방법론이다. 이에 장소 기록화 현황과 장소 기록화 방안 연구를 통하여 기록화 실행 시 주민의 참여, 기록관을 중심으로 한 장소성의 소통과 그 과정의 기록화, 문화예술 통합 프로젝트의 실행을 주요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어 증평기록관의 '메리놀병원' 사례를 이 세 가지 방안을 기준으로 설명하여 장소 기록화가 어떠한 과정으로 구현되는지를 설명하였다.

KESLI 컨소시엄의 주요 이슈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in Issue Analysis of the KESLI Consortium)

  • 김정환;이응봉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3호
    • /
    • pp.99-123
    • /
    • 2009
  • KESLI 컨소시엄의 핵심 포인트는 참가기관의 참여도를 높여 응집력과 신뢰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출판사의 지속적인 가격인상에 공동으로 대처하고, 국내 각급 기관에 분산 소장된 학술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참가기관에 실익을 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컨소시엄 참가기관이 공통적으로 적용받을 수 있는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컨소시엄 운영모델을 마련하기 위한 전제로써 문헌연구, 설문지 조사와 패널토론을 통해 컨소시엄 참가기관의 전체의견을 수렴하여 KESLI 컨소시엄의 당면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마을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을기록관'을 제안한다 (A Suggestion to Establish Maul Archives to Improve Maul Culture)

  • 김덕묵
    • 기록학연구
    • /
    • 제33호
    • /
    • pp.39-84
    • /
    • 2012
  • 오늘날 문화적으로 소외된 마을을 되살리고, 정체성을 강화하고 마을과 외부세계를 연결하고 소통시키는 기재로서 마을기록관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마을기록관이 설립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인식과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학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이론적인 선도가 있어야 한다. 마을기록관의 설립과정은 위원회를 구성하고 선행사례에 대한 벤치마킹, 마을에 대한 기록화와 자료수집, 마을기록관의 설립, 마을기록관의 관리와 운영 순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마을기록관은 오래된 민가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민가를 리모델링해서 기록물을 전시하고 합리적인 보존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 또한 마을기록관에는 전시공간 외에도 자료의 보존공간, 관리공간, 교육공간, 휴식공간을 두기 위해서 민가의 각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마을기록관은 마을을 새롭게 의미화 시키고, 주민을 문화국민으로 향상시켜 삶의 질을 나아지게 하고, 마을과 외부세계를 소통하는 관문, 균형 있는 지역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마을기록관은 전시, 교육, 연구 및 자료수집 활동을 하며 운영과 관리에 있어서는 민 관 학이 협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