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chive 2.0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3초

식물정유와 파라핀오일이 검거세미나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sential Oils and Paraffin Oil on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Lepidoptera: Noctuidae))

  • 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62-69
    • /
    • 2013
  •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은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며 특히 골프장 잔디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식물정유는 해충방제를 위한 대체방제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6종의 식물정유(anise, camphor, cinnamon, citronella, clove,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 peppermint, pine, thyme, turpentine and tea saponin)와 파라핀오일의 검거세미나방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검정하였다. 온실의 퍼레니얼라이그라스 pot에 각각의 정유를 처리한 결과 anis, cinnamon, neem, paraffin, turpentine 처리에서 잔디피해가 적었으며 neem oil (4,000, 2,000, 1,000 ppm) 처리시 검거세미나방 치사율은 각각 100, 100, 64%였다. 2,000 ppm neem oil처리 퍼레니얼라이그라스 잎을 섭식한 검거세미나방 유충의 체중은 무처리에 비해 5배정도 낮았다. 2~3령충 검거세미나방에 대하여 pot와 야외에서 고농도 neem oil 처리 후 관수가(20,000 ppm 0.1 L 처리 후 물 0.9 L $m^2$ 살포) 저농도의 다량살포 (2,000 ppm 1 L $m^2$)에 비하여 효과가 높았으나 4령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로부터 Callus 유도(誘導)와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의 영향(影響) (Hormonal Effect on the Callus Induction from Perennial Weeds)

  • 김병철;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2
    • /
    • 1986
  •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Callus 유도(誘導)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키 위하여 식물체(植物體)의 종자(種子) 또는 Shoot-tip으로부터 Callus 유도(誘導)를 검정(檢定), 유도(誘導)된 Callus로부터 식물체분화(植物體分化), 제초제(除草劑)가 Callus 생체중량증가(生體重量增加)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Succinate dehydrogenase의 TTC 반응검정(反應檢定)을 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2,4-D 함량(含量)은 올방개와 너도방동산이의 종자(種子)는 1.0ppm, 너도방동산이의 shoot-tip은 4.0pm, 삼강벼와 물피에서는 2ppm이 Callus 유도(誘導)를 위한 과정농도(過定濃度)였다. 2. MS기본배지(基本培地)에다 2,4-D와 BA와 TIBA를 첨가시(添加時) BA는 2,4-D 단독처리(單獨處理)보다 억제적(抑制的)이나 TIBA 처리(處理)는 0.3 또는 0.5ppm 첨가구(添加區)가 2,4-D 단독처리구(單獨處理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삼강벼, 물피, 너도방동산이 종자(種子) 및 올방개 shoot-tip에서는 2,4-D 1.0ppm+TIBA 0.5ppm, 너도방동산이 shoot-tip에서는 2,4-D 1.0ppm+TIBA 0.3ppm 일 때가 가장 높았다. 3. Callus로부터 식물체분화율(植物體分化率)은 2,4-D에 Kinetin 첨가구(添加區)가 NAA에 Kinetin 첨가구(添加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고 물피는 2,4-D 0.8ppm+Kinetin 8.0 ppm에서 50%, 올방개는 2,4-D 1.6ppm+Kinetin 16.0ppm에서 33.3%가 분화(分化)가 되었으나 너도방동산이는 분화(分化)가 되지 않았다. 4. 제초제(除草劑) Londax 및 Basta는 농도(濃度)가 증가(增加)될수록 삼강벼, 물피, 올방개 및 너도방동산이의 Callus 유도(誘導) 또는 증식(增殖)을 억제(抑制)시켰고 $10^{-3}$M에서는 거의 100%가 억제(抑制)되었으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식물체간(植物體間)에 상이(相異)한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양제초제(兩除草劑])에서 삼강벼가 물피나 너도방동산이보다 내성(耐性)을 보였다. 5. TTC에 대(對)한 Succinate dehydrogenase의 반응(反應)은 공시식물(供試植物)의 전(全) Callus가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정반응(正反應)(+)을 보여서 Callus가 생존(生存)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맥작(麥作)에 있어서 선택성(選擇性) 경엽처리형제초제의(莖葉處理型除草劑) 살초특성(殺草特性)과 보리수량(收量)에의 영향(影響) (Weed Control Effect of Ioxynil, Bromoxynil and MCPA by Post-emergence Application on Barley)

  • 장영희;남윤일;하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4-129
    • /
    • 1986
  • 보리밭의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하여 몇 가지 겨엽처리형제초제(莖葉處理型除草劑)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보면 1. 공시약제중(供試藥劑中) 살초력(殺草力)은 Bromoxynil + MCPA와 Bromoxynil이 Ioxynil 보다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이들 약제(藥劑)들의 시용량(제품)(施用量(製品))은 100g/10a 보다는 200g/10a 시용량(試用量)에서 살초효과(殺草效果)가 높았다. 3. 약제(藥劑)의 살포시기(撒布時期)는 이들 3엽제(葉劑) 모두 3월(月)보다는 4월(月) 초순(初旬)에 살포(撒布)되는 하잡초(夏雜草)도 방제(防除)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4. 보리 파종직후(播種直後) 토양처리제(土壤處理劑)로서 Butachlor를 처리(處理)하고 4월(月) 초(草)에 경엽처리제(莖葉處理劑)로서 Bromoxynil 이나 Bromonynil + MCPA를 처리(處理)한 구(區)에는 거의 완전방제(完全防除)가 가능(可能)하였다. 5. Bromoxynil+MCPA 약제(藥劑)로 30여(餘) 초종(草種)들의 살초력(殺草力)을 본 결과(結果) 주(主)로 광엽잡초(廣葉雜草)에 효과(效果)가 있어 답이작(畓裏作)보다는 전작맥류포(田作麥類圃)에 발생(發生)되는 잡초(雜草)를 대상(對象)으로 방제(防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 6.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잡초건물중(雜草乾物重))과 보리 수량(收量)과의 회귀식(回歸式)은 y=593.112-0.41x(r=$-0.918^{**}$)로서 고도(高度)의 역상관(逆相關)을 보였다.

  • PDF

Observational Properties of GSC 2855-0585 in the Vicinity of the Eclipsing Binary V432 Per

  • 구재림;이재우;김승리;이충욱;이병철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42.1-142.1
    • /
    • 2012
  • During the photometric runs of the eclipsing binary V432 Per in 2006, we serendipitously discovered peculiar light variations of GSC 2855-0585 that imaged on the same target field. Its brightness decreased about 0.02 mag for about 0.15 days in all B, V, and R bands. The depth, duration, and box-shaped light curve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typical transiting exoplanets. We gathered the time-series data of GSC 2855-0585 from the SuperWASP public archive and detected the same light variations with a period of about 2.406 days. The period and transitlike features were confirmed by photometric follow-up observations at a predicted epoch in 2010 November. In order to estimate the mass of the companion that produced the light variations, we obtained 10 high-resolution spectra with different orbital phases in 2010 November and 2011 October-December. The radial velocities showed large variations of about 44 km/s. It indicates that the transitlike light variations do not originate from a transiting exoplanet, but from the single-lined spectroscopic eclipsing binary with a cool dwarf companion. Using the photometric and spectroscopic data, we estimated the physical parameters of the eclipsing binary GSC 2855-0585, such as orbital period, effective temperature, surface gravity, and mass.

  • PDF

부식산 액상비료 시비에 의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지하부 생육증가와 품질향상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Humate Improving Rhizosphere Activation and Favoring Turfgrass Quality)

  • 김영선;이태순;조성현;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2-71
    • /
    • 2018
  • 본 연구는 부식산 함유 액비(LFH)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잔디의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T/R ratio, 양분 함량 및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F), LFH 1,000배 처리구(HF-1), LFH 500배 처리구(HF-2) 및 LFH 250배 처리구(HF-3)로 구분되었다. LFH 처리 전후에 토양화학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FH처리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였을 때, 가시적 품질과 뿌리 생육량은 LFH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엽록소 함량, 잔디 예지물, 질소 흡수량은 HF-2처리구와 HF-3처리구에서 각각 11.2-11.8%, 15.3-30.8%, 22-42%씩 증가하였다. LFH처리량에 따라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잔디 예지물 및 양분 흡수량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부식산 함유 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잎 조직 중 잔디지하부의 생육이 증가하여 양분 흡수를 개선함으로써 잔디품질과 생육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계절별(季節別), 재배작물(栽培作物) 및 경작지별(耕作地別) 잡초식생변화(雜草植生變化) (Change in Weed Flora with Season and Cultivated Crop and Land)

  • 양환승;전재철;황인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10
    • /
    • 1984
  • 전북지역(全北地域)의 밭 잡초식생변화(雜草植生變化)를, 재배작물별(栽培作物別) 및 경지형태별(耕地形態別) 조사(調査)하였다. 1. 전북지역(全北地域) 밭에 발생하는 잡초(雜草)는 18과(科) 44종(種)으로, 일년초(一年草) 22종(種), 월년초(越年草) 11종(種) 및 다년초(多年草) 9종(種)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발생빈도별(發生頻度別)로 보면, 바랭이가 67.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쇠비름, 명아주, 망초의 순위(順位)였다. 3. 조사지역(調査地域)의 약(約) 60%에 해당(該當)되는 지역(地域)의 잡초식생(雜草植生)이 Simpson 지수(指數) 0.20에서 0.50사이를 나타내었다. 4. 밭에서의 Simpson 지수(指數)는 계절적(季節的)으로 변화(變化)되어, 6월(月)8일(日)의 0.65가 11월(月)10일(日)에 0.15로 감소(減少)되어 잡초식생(雜草植生)이 다양화(多樣化)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5. 경지형태별(耕地形態別)로 보면 답이작전(沓裏作田)에서는 독새풀과 여뀌, 숙전(熟田)에서는 바랭이와 쇠비름이 우점종(優占種)이었고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에서는 쑥을 비롯한 다양(多樣)한 초종(草種)들이 고루 발생(發生)하고 있었다. 6. 콩을 비롯한 5개 작물포(作物圃)의 Simpson 지수(指數)는 평균(平均) 0.4로써 작물(作物)의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쇠비름과 바랭이가 우점종(優占種)이었고, 여뀌, 명아주, 쇠비름, 망초 등이 차우점종(次優占種)으로 나타났다.

  • PDF

Creeping bentgrass에 침입된 Kentucky bluegrass 회복을 위한 Mesotrione과 Kentucky bluegrass 덧파종 효과 (Mesotrione and Seeding Rate Effects to Recover Kentucky Bluegrass Contaminated by Creeping Bentgrass)

  • 이상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64-68
    • /
    • 2012
  • Creeping bentgrass 는 골프장의 티나 퍼팅그린 그리고 경기장과 같이 집중관리가 요구되는 곳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잔디의 종류중 하나이기도 하지만 Kentucky bluegrass에 침입하는 방제하기 어려운 잡초이기도 하다. Mesotrione은 선택성 제초제이며 처음에 옥수수를 위해 등록이 되었으며, 광엽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발아전 혹은 발아후 제초제로 이용이 되고 있다. Mesotrione가 creeping bentgrass를 방제하기 위한 효과는 많은 선행연구에 의해 보고가 되어 왔다. Mesotrione이 creeping bentgrass 방제에 효과가 있어도 방제가 된 후 피해가 발생한 곳의 회복은 Kentucky bluegrass의 지하부와 rhizome 등에 의해 회복되기 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덧파종은 일반적으로 피해를 입은 곳을 회복 시키거나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이 된다. 실험의 목적은 mesotrione과 덧파종이 Kentucky bluegrass에 침입한 creeping bentgrass를 방제하고 회복하기 위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이 되었다. 0, 0.05 and 0.10 m $ml^{-2}$의 세가지 mesotrione농도와 15와 30 g $m^{-2}$ 두가지의 Kentucky bluegrass 덧파종량의 총 6가지 처리가 적용이 되었다. Mesotrione과 Kentucky bluegrass 덧파종을 동시에 처리 하는 것은 creeping bentgrass 방제에는 효과가 있으나 Kentucky bluegrass 회복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Creeping bentgrass방제 효과는 mesotrione의 처리에 의한 것이며 덧파종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Mesotrione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본 실험결과 $20^{\circ}C$ 이상일 때가 더 효과가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잔디의 캘러스 형성 및 재분화에 끼치는 식물생장조절제, 탄소원 및 AgNO3의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s, Carbon Sources and Silver Nitrate on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Turf Grass)

  • 한성수;임요섭;정재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1-229
    • /
    • 1996
  • 잔디의 형질전환체계를 확립하기에 앞서 효율적인 재분화 체제를 확립하고자 식물생장 조절제, 탄소원 및 $AgNO_3$가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지(MS와 N6) 및 식물생장조절제(2,4-D와 NAA)에 따른 Korean lawngrass(Zoysia japonica Steud.)와 penncross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의 캘러스유기는 두 품종 모두 N6배지에서 보다 MS배지에서 좋았으며, Korean lawngrass는 2,4-D 1mg/L 첨가 MS배지에서 그리고 penncross creeping bentgrass는 2,4-D 2mg/L첨가 MS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2. 캘러스증식은 두 품종 모두 2,4-D 2mg/L함유 MS배지에 NAA 0.2mg/L 첨가하였을때 가장 좋았고, kinetin을 Korean lawngrass의 경우 0.2mg/L, penncross creeping bentgrass의 경우 0.3mg/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3. 식물체 재분화 실험에서 Korean lawngrass 잎 절편체의 재분화율은 MS배지에서 2,4-D 2mg/L+NAA 0.2mg/L+kinetin 0.1mg/L 조합처리시 44% 그리고 stock callus의 재분화율은 2,4-D 2mg/L+NAA 0.2mg/L+kinetin 0.3mg/L 조합처리시 32%이었다. penncross creeping bentgrass의 잎 절편체와 stock callus의 재분화율은 kinetin 0.3mg/L 농도에서 각각 80% 외 67%이었다. 4. Korean lawngrass의 경우 전술한 재분화 배지에 $AgNO_3$ 1mg/L를 첨가하였을 때 3~4%그리고 pencross creeping bentgrass의 경우 2mg/L를 첨가하였을 때 10~16%의 재분화율이 향상되었다.

  • PDF

벼에서 Bentazon 히드록시화반응에 관련된 Cytochrome P-450 활성(活性) 증진(增進)에 관한 연구(硏究) (The Enhancement of Cytochrome P-450 Mediated Aryl Hydroxylation of Bentazon in Rice Microsomes)

  • 변종영;넬슬 발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9-65
    • /
    • 1997
  • Bentazon이 첫 분해대사물질인 6-hydroxy bentazon으로 변화하는데 관련하는 cytochrome P-450 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벼 microsome에서 hydroxylase 효소 유기물질을 처리하여 bentazon 6-hydroxylase(B6H)와 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cinnamic acid 4-hydroxylase(CA4H) 효소를 대조하여 효소활성을 검정하였다. 1,8-naphthalic anhydride 0.5-2% 농도를 벼 종자에 분의처리하거나 fenclorim 5, 10${\mu}M$을 벼종자에 침지처리함에 따라 B6H와 CA4H 효소 활성이 증대되었다. Ethanol 2.5%를 벼 유묘에 처리함으로써 B6H와 CA4H 활성이 증대되었으며, phenobarbital 12mM 처리에서 B6H 활성이 증대되었고 phenobarbital 2mM 처리에서는 CA4H 활성이 증대되었다. B6H 효소활성은 ethanol 2.5, 5%와 phenobarbital 8, 12mM 혼합 처리 또는 1,8-naphthalic anhydride 0.5, 1%와 phenobarbital 8, 12mM 혼합처리에서 상승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A4H 효소는 혼합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벼 5 일묘에서는 B6H와 CA4H 활성 이 가장 높았으며 묘령이 진전될수록 효소활성은 현저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한국잔디 종자의 발아특성과 발아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처리 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for Enhancing Germination on Zoysiagrass)

  • 한정지;이광수;박용배;양근모;배은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32-239
    • /
    • 2014
  • 들잔디 종자의 발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정 종자 전처리 방법을 조사하였다. 종자들은 종피 연화 및 4가지 프라이밍 처리, 즉, 종피에 KOH 처리 유무에 따른 Hydro 프라이밍(증류수), Osmotic 프라이밍(폴리에틸렌 글리콜 -0.5MPa, -1.0MPa, -2.0MPa), Halo 프라이밍(질산칼륨 100 mM, 200 mM, 400 mM)과 Solid matrix 프라이밍(종자:microcel-E:증류수 = 4:1:8) 방법을 조합하였다. 종피 연화는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발아소요시간을 단축시켰다. 종피 연화 처리 후 Osmotic 프라이밍(PEG -0.5 MPa)에서 발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MGT, $T_{50}$이 감소하였다. 종자 발아율은 자연상태와 비교하여 60% 이상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종피연화와 프라이밍 처리한 잔디종자는 더 빠르고 균일하게 발아를 하였다. 현 연구를 통해 KOH처리와 PEG 프라이밍 처리는 파종 시 발아율을 향상 시켜 초기 잔디 조성을 빠르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