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earance test

검색결과 1,094건 처리시간 0.03초

검은콩, 밀, 쌀겨 추출물이 모발의 성장과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xperimental studies of Glycine max Merr. (black bean), Triticum aestivum L. (wheat) and Oryza sativa L. (rice bran) extracts on the effects of hair growth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 박혜윤;김수나;강병하;이존환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67-173
    • /
    • 2010
  • Objects : Glycine max Merr. (black bean), Triticum aestivum L. (wheat) and Oryza sativa L. (rice bran) have been widely used for treatment of relaxion of smooth muscle, gastrointestinal hemorrhage and alopecia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extracts, obtained from EtOH extracts of 3 kinds of traditional plants, on hair growing activity of the DP6 and C3H10T1 cell and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and Methods :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ree traditional plants were selected and we extracted them with ethanol. We evaluated their hairy dermal papillar cell proliferation activity and mouse mesenchymal stem cell in vitro model. Also, 3 herbal extracts were added to the normal shampoo formulation in ranges of 0.1% and we validated tensile properties and physical changes using aged hair. In this research, we compared the tensile strength, shine and color appearance between the hair (general formulation) and the hair after applying shampoo with natural extracts. To analyze the luster and color image, we use the SAMBA hardware and software made by Bossa Nova Technologies. Results : In the comparative test for tensile characteristic between the hair treated general formulation(control) and the hair applying special formulation including 3 kinds of extracts, tensile distance and energy of the latter are larger than control on average. The shine and color appearance were also increased after using shampoo including natural extracts(shine : 10.9%, color appearance: 24.12%). We observed the enhancement of hair growth activity in the DP6 and C3H10T1 cell. Especially black bean extracts had the most powerful effect in the dermal papillar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 :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extracts of Glycine max Merr. (black bean), Triticum aestivum L. (wheat) and Oryza sativa L. (rice bran) stimulate the hair growth activity and can improve physical activities of aged hair. Shampoo product, which contains 3 kinds of natural extracts, w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for aged hair.

리오셀직물 심지접착포의 외관적 성능과 역학적 특성 (The Appearance-related Properti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yocell-interlining Bonded Fabric)

  • 김인영;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683-1689
    • /
    • 2006
  • 리오셀직물은 면직물보다 강하고 습윤시 치수안정성이 높으며 우수한 드레이프성, 탁월한 광택, 소프트한 촉감 등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신소재 중 하나이다. 그러나 리오셀직물에 관한 연구는 섬유의 성질, 가공염색방법에 관한 것이 대부분으로, 적합한 봉제방법, 심지선정 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겉감으로 시판 리오셀직물 중 숙녀복 수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100% 텐셀직물과 65/35% 텐셀/면 혼방직물 각각에 대해 20수와 10수 모두 4종류를 선정하고 접착 심지로는 중량과 조직을 달리하는 시판 직물심지 5종류와 부직포심지 1종류를 선정하여, 리오셀 심지접착포의 접착심지와 리오셀겉감의 특성에 따른 외관적 성능과 역학적 특성을 측정한 후, 통계적 분석(t-검정, F-검정)에 의해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리오셀 심지접착포의 드레이프성과 구김회복성은 접착심지의 구조에 영향을 받고, 강연성은 접착심지의 구조와 리오셀겉감을 구성하는 실의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2. 리오셀 신지접착포의 인장특성중 WT는 리오셀겉감을 구성하는 실의 번수와 혼용률에 영향을 받고, RT는 리오셀 겉감을 구성하는 실의 번수에 영향을 받는다.

해저 석유 생산시스템 내 유동안정성 확보를 위한 불투명 오일의 왁스생성온도 측정법 (Wax Appearance Temperature Measurement of Opaque Oil for Flow Assurance in Subsea Petroleum Production System)

  • 임종세;백승영;강판상;유승렬;김효상;박지홍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85-194
    • /
    • 2012
  •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육상 및 천해에서 석유의 생산은 이미 완료되었거나 대부분이 진행 중이기에 석유 생산 지역이 점차 심해로 확장되고 있다. 심해와 같은 저온환경에서 석유생산이 이루어지면 석유의 부존환경과 다른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어 생산시스템에 다양한 고형물이 집적되어 석유가 안정적으로 생산되지 못하게 하는 유동안정성 확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고형물 중 왁스는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왁스의 집적을 예측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오일 내 왁스가 석출되기 시작하는 온도인 왁스생성 온도의 정확한 측정이 요구되나 표준화된 측정법이 존재하지 않아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점도측정법, 시차주사열량법, 필터막힘점측정법, 압력필터측정법을 적용하여 불투명 오일의 왁스생성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고형물생성유도장치와 가스크로마토크래피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오일특성에 따른 왁스생성온도 실험법을 체계화한다면 불투명 오일의 왁스생성온도 측정법 표준화하는데 주요자료로 이용할 수 있어 왁스에 의한 유동안정성 확보 문제를 예측하고 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만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bese Students' Stress and Coping Method in Middle and High Schools)

  • 김이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32-745
    • /
    • 2001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obese students' stress and coping metho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otal of 600 obese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Pusan. The author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2 to April 30. 2001.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with SPSS Win(10.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The instrument used for the obese students' stress and coping method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Yi-Soon and Kim. Young-Hae(200l). The tool was composed of 65 items (33stress items: 32coping method items) with the five-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average score of stress was 2.49 (SD = .86) points in the male students. and 2.83(SD= .86) points in the female students. The subcategories were: (outward appearance), (boyfriend/girlfriend), (occurrence of an outbreak of a disease),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an obese appearance), (difficulty in exercise). The highest degree of stress came from 'an obese appearance' for the male students (mean=2.64. SD=0.87) and (mean=2.64. SD=0.87) for the female students. 2. The subcategories of the coping method were: (be concerned about other matters), (recreation activities), (self-violence), (relaxation), (hobby activities), (avoid a situation), (communication), (music), (negative behavior), (positive thinking). The highest degree of coping method were (recreation activities) in the male students (mean=3.07. SD=0.86) and (music) in the female students (mean=3.47. SD=1.01). 3. The results comparing stress with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 for gender (t=7.010. p=0.000). grades at school (F=2.918. p=0.02l), degree of obesity (F=5.205. p=0.006). grades (F=2.550. p=0.027). standard of living(F=8.277. p=0.000). the state of health (F=2.882, p=0.022),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F=4.790, p=0.001),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F=6.080, p=0.000),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father (F=3.192, p=0.013). 4. The results comparing the coping method with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 for gender (t=4.597. p=0.000).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stress and the type of coping methods of obes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aids in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program for the obese.

  • PDF

3D 프린터용 시멘트 복합체의 배합요인에 따른 출력 품질의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Mixing Design Factors of the Cementitious Composite for 3D Printer on the Printing Quality)

  • 서지석;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89-96
    • /
    • 2022
  • 이 논문에서는 건설용 ME 방식 3D 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한 시멘트 복합체 배합의 출력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출력 외관의 육안검사와 출력물의 치수 오차율,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출력 불연속 정도, 표면 무결성, 형태 유지능력, 출력가능 여부와 같은 4개 지표를 모두 만족하는 우수한 배합은 P1-2, P1-4, P2-5, P2-6으로 나타났다. 3개 지표를 만족하는 배합은 P0-1, P1-1, P1-3, P1-6, P1-7, P2-4으로 나타났다. 이 배합 중 오차율 측정용 중공 원주형 공시체의 직경 치수 오차율과 높이 치수율이 낮은 배합은 P0-1, P2-6로 나타났다. 치수 오차율이 우수한 배합과 그렇지 않은 배합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평가한 결과 출력 품질이 우수한 배합의 역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역학적 특성이 우수한 배합이 반드시 출력 품질이 우수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품질평가를 위해서는 출력 외관에 대한 육안검사와 치수 오차율 검사를 선행하여 역학적 특성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n,γ)99Mo를 이용한 99Mo-99mTc발생기의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Usefulness of 99Mo-99mTc Generator Using(n,γ)99Mo Developed b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 서한경;김정호;심철민;김병철;최도철;권용주;박영순;김동윤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48-5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되고 있는 $(n,{\gamma})^{99}Mo/^{99m}Tc$발생기의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의학적 유효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조된 $(n,{\gamma})^{99}Mo/^{99m}Tc$발생기를 이용하여 $^{99m}Tc$ 용출 방사능량 시험, $^{99m}Tc$정도평가, $^{99m}Tc-DPD$, $^{99m}Tc-tetrafomin$ 표지수율 및 동물영상 평가를 진행하였다. 용출 방사능양은 상용 제품에 동일 용량에 비해 다소 적었으나, 발열성 물질 검사를 제외한 전영역의 $^{9m}Tc$정 도평가 실험에서 정상범위를 나타냈다. 표지 수율도 90% 이상 높은 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 $^{99m}Tc-HDP$$^{99m}Tc-DPD$를 주입한 쥐 영상에서 한국 원자력 연구원 발생기는 모두 간과 비장의 집적을 관찰할 수 있었고 간과 비장은 상용발생기 일부에서도 관찰되었다. 이에 원자력 연구원 발생기는 발열성 물질을 제거한다면 비상시 훌륭한 대체 발생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 PDF

소금첨가량을 달리한 양 육수의 품질 특성 - 고압가열추출방식으로 -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mb Stock According to Salt Contents - Using a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 Method -)

  • 홍우표;김동석;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61
    • /
    • 2012
  • 본 연구는 양 육수의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육수의 제조 시 소금을 첨가 하였을때 표준화된 육수개발의 정확한 방향을 제시하고 고압추출기를 이용한 균일화를 이룬 대량생산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염도 측정의 결과는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 육수의 염도는 시료간의 유의적(p<0.001)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소금 0.4% 첨가군이 0.57로 가장 높은 염도값을 나타내었고, 당도는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 육수의 당도는 유의적(p<0.001)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 분석에서 0.1% 첨가군이 32종, 0.2%, 03% 첨가군이 34종, 0.4% 첨가군이 33종 검출되었다. 검출량 또한 소금 0.3% 첨가군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0.2% 첨가군> 0.4% 첨가군 > 0.1 첨가군 > 대조군 순서로 소금첨가량 증가 시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군의 경우 필수 아미노산 9종이 검출되었고, 어린이의 성장에 필요한 histidine과 arginine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모든 시료 중에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필수 아미노산은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능감사 중 특성차이검사 결과 색의 강도(color intensity)는 소금 0.1% 첨가군이 4.86으로 가장 높았으며, 소금 0.4% 첨가군이 3.24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나 소금의 첨가량에 따라 증감의 차이가 없었다. 삼킨 후의 느낌(after Taste)은 0.3%를 첨가 하였을 때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각 시료 간 에는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보였다. 외관(appearance)은 대조군이 4.32로 가장 높았으며, 소금 0.2% 첨가군이 3.6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맛(taste)의 기호도에서는 소금 0.3% 첨가군이 4.09로 가장 높았고, 각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에서는 소금 0.3% 첨가군이 4.2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대조군이 3.52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각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양 육수를 제조할 때 소금첨가량은 0.3%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양 육수 제조 시 적절한 소금의 첨가는 필수 아미노산의 용출을 촉진하며 위생적 안정을 확보하고 관능적으로 더욱 뛰어난 품질의 육수를 제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이중 다발 전방십자 재건술 후 이식건의 자기공명영상 추시와 슬관절 안정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raft Appearance on Follow-up MRI and Knee Stability after Double Bundle ACL Reconstruction)

  • 심재앙;곽지훈;이용석;김광희;남신우;전성수;이범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8-133
    • /
    • 2012
  • 목적: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이식건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추시 소견과 안정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5 테슬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였으며, 이식건의 신호 강도는 Sonoda 등의 분류를 이용하여 1, 2, 3 등급으로 분류하였고, 주행은 직선과 곡선으로 분류하였다. 전방 안정성은 Lachman, KT 관절계, $30^{\circ}$ 전방 전위 방사선 검사로, 회전 안정성은 pivot shift 검사로 평가하였다. 이식건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안정성의 상관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 신호 강도는 전내측 다발이 1 등급 66.7%, 2 등급 26.7%, 3 등급 6.7%였고, 후외측 다발이 1 등급 63.3%, 2 등급 33.3%, 3 등급 3.3%였다. 주행은 전내측 다발이 직선 83.3%, 곡선 16.7%였고, 후외측 다발이 직선 86.7%, 곡선 13.3%였다. 전내측 다발의 주행은 전방 안정성과 관련이 있었고, 후외측 다발의 주행은 회전 안정성과 관련이 있었다. 신호 강도는 안정성과 관련이 없었다. 결론: 이중 다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이식건의 자기공명영상 추시 소견과 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전방 안정성 면에서는 전내측 다발의 주행이, 회전 안정성 면에서는 후외측 다발의 주행이 관련이 있었다.

  • PDF

한국흑염소에 있어서 DL-Ethionine으로 유발시킨 지방간에 관한 연구 (Clinical Pathologic Study on DL-Ethionine Induced Fatty Liver in Korean Black Goats)

  • 이경갑;최희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7-142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atty liver in Korean black goats. Adult female goats were divided into 3 test groups(A, B and C). Group A and B of goats each received 3 test consecutive daily doses of DL-ethionine at 75mg/kg and 150mg/kg body weight, respectively. Group C of goats was given 3 consecutive doses of the compound every 48 hours at 150mg/kg body weight. The clinical symptoms, hematological values, serum chemical values and histopathological study of the liver were investigated in the test animal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Fatty liver were observed in every test animal. 2. Some clinical symptoms( anorexia, depression) were appeared from 1st day to 7th day after administration of the compound in every test animal. In addition to these symptoms, diarrhea and salivation were generally observed in test animals which were given the compound at 150mg/kg body weight. The degree of these symptoms was dose depende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total WBC counts and fibrinogen values in the blood of test goats. The PCV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5th day of dosing in group A and B of goats. 4. The total lipid value was not changed but the concentration of NEF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3rd day of dosing with the compound and returned to normal value after 10 days hereafter. The value of triglycerid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1st day and returned to normal value on 3rd day of dosing. The value of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3rd day and returned to normal value on 10th day after treatment. 5. Total protein level was decreased on 10th day of dosing in the groups of B and C, and billirub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7th day of dosing in every test group and returned to normal level after 13th day of administration. 6. The activity of GGT in serum was not changed while the activities of SDH and A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very test goat and those values were returned to normal after 10~13th day of trestment. 7 The 35K-protein fraction in serum was not detect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but this protein fraction was detected by the same method after treating the 21st and 22nd fraction which were obtained by column chromatography with Sephadex G-100. 8. The affected liver was congested and swollen on 3rd day, and yellowish brown in color and mottled appearance on 7th day of treatment. Histopathologically, fat droplets were common in the hepatocytes, this change was intensive on 7th day after treatment in group B and C. Hepatic cell necrosis was observed in some livers but this pathological change was disappeared and returned to normal after 13 days of treatment.

  • PDF

산욕기 산모의 산후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 최의순;오정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58-37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effective prevention for Postpartum Depression (PPD)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PPD in postpartum 2 weeks women. The subjects were 384 women who visited obstetrical clinics for postnatal ca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9. 1999 to April. 2000, using a 46-item questionnaire related to PPD, and analyzed by SAS program for t-test, ANOVA, Scheffe 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PP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had mild PPD (Min score; 46.0, Max score; 124.0). The PP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and marital satisfaction (p<0.05). 2. The level of PPD according to obstetrical characteristics 1) Characteristics related to pregnancy The PP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mood change, confidence of body weight recovery, depression related to appearance change, husband's help to housework, and husband's emotional support (p<0.05). 2) Stressful events during pregnancy The PP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financial problem, conflict between partners, conflict between family, and husband's job change (p<0.05). 3)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livery and post natal period The PP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baby's health state, parenting confidence, and difficulties related to postpartum care (p<0.05). 3. The variables to predict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are depression related to appearance change (10.4%), parenting confidence (8.8%), husband's help to housework (2.7%), confidence of body weight recovery (2.4%), husband's job change (1.9%), baby's health state (1.9%), difficulties related to postpartum care (1.6%), mood change (1.2%), conflict between partners (0.6%), marital satisfaction (0.5%), financial problem (0.4%). The sum total of all the above variables can account for 32.4% of postpartum depression. 4. The level of PPD according to PPD factors. Women had the highest degree of PPD in biophysiological phenomena-disturbance of physical functioning factor. The factors of relationship to baby-negative feeling and cognitive phenomena-self concept disturbance were showed the lowest degree of PPD. As a result of the above findings, a systemic and individualized program is strongly recommended for PPD prevention, diagnosis, and care for PPD in postpartum women. In near future, this study should be expanded to investigate the coping skills according to the PPD levels in postpartum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