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regurgitation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31초

Multiple Embolic Aortic Valve Endocarditis with Small Patent Ductus Arteriosus in Adult

  • Kim, Seon Hee;Song, Seunghwan;Kim, Min Su;Kim, Sang-Pil;Choi, Jung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2호
    • /
    • pp.137-140
    • /
    • 2014
  • A 50-year-old female was admitted to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complaints of fatigue and sweating. Echocardiography showed a small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and highly mobile vegetations on the aortic valve. Emergency operation was performed due to the high risk of embolization and severe aortic regurgitation. When the pulmonary artery opened, we found unexpected fresh vegetation. The tissue of the PDA was fragile and infected. We successfully removed the infected tissue, closed the PDA with a patch, and replaced the aortic valve with a mechanical prosthesis.

영아기에 시행한 동맥전환술 후의 대동맥판륜, 근부, 및 문합부위 성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owth of the Aortic Aannulus. Root, and Anastomosis After Arterial Switch Operation in Infancy)

  • 이정렬;박정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479-485
    • /
    • 1997
  • 동맥전환술에 있어 대혈관문합 및 관상동맥이식은 가장 중요한 수술과정이나 영아기에 시행한 동맥전환술 후에 신생대동맥판륜, 신생대동맥근부, 및 대동맥문합부위의 성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1986년 5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흉부외과에서 동맥전환술을 시행받은 122명의 환아중에서 영아기 환자로서 술전, 술후 심혈관조영술 기록이 남 아있는 2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들의 수술당시 연령은 6일에서 153일이었고, 평균체 중은 3.9+0.8 kg이었으며, 남녀비는 17:6이었다. 술전 및 술후 심혈관조영술 당시의 체표면적은 각 각 0.24$\pm$0.03, 0.50$\pm$0.09 Ma이었다. 진단별 분포는 심실중격이 온전한 완전대혈관전위증이 13명, 심실중격결손증을 동반한 경우가 10명이었으며 수술후 평균 17.2$\pm$9.4개월(중앙값 15.6개월)후에 심 혈관조영술을 재시행하였다. 심혈관조영술상을 이용하여 술전.후의 대동맥판륜, 대동맥근부, 및 대 동맥문합부위의 크기를 측정하고 횡격막 높이에서의 대동맥 직경으로 보정하였다. 신생대동맥판륜 및 신생대동맥 근부는 술후 의미있는 확장을 보였으나(신생대동맥판륜긱.4$\pm$0 31에서 1.8$\pm$0.22 (n=23, p<0.01)로, 신생대동맥근부=2.1 $\pm$0.54에서 2.64$\pm$0.31로(n=23, p<0.01)), 대동맥문합부위는 술전 .후 각각 1.66$\pm$0.41에서 1.49$\pm$0.26으로 통계적으로 의미없는 변화를 보였다(nr23, p=0.06). 술후 대 동맥판막폐쇄부전증이 관찰되었던 군(n:8)과 그렇지 않은 군(n긱5)사이의 술전후 각부위별 화장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판륜: p=0.32, 근부; p=0.29, 문합부위: p=0.86). 또 한 술전 심실중격결손증이 동반되었던 군(n긱0)과 심실중격이 온전했던 군(n긱3)사이에서는 판륜 및 근부의 팽창정도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얼었으나(판륜: p=0.09, 근부: p=0.07), 문합부위는 심실중 격결손증을 동반한 군이 온전했던 군(n긱3)에 비하여 술후에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p=0.04). 요약하여, 저자등은 본연구를 통하여 영아기에 발견된 완전대혈관전위증 출사에서 시행한 동맥 전환술후 대동맥문합부위는 비교적 체성장에 비례하여 성장하지만 신생대동맥판륜 및 대동맥근 위부는 술후 의미있게 확장되어 있다는 소견을 발견하였으며, 비록 본연구에서는 신생대동맥의 부 위별 확장정도와 대동맥판막폐쇄부전의 발현 및 진행간\ulcorner 상관관계를 발견하지는 못하였지만, 동 맥전환술후 장기적으로 수술 결과가 양호하려면, 신생대동맥판막 기능의 완벽여부가 무엇보다 중 요하고 대동맥근위부 확장의 진행이 대동맥판막폐쇄부전의 개시기전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 다는 점에서, 보다 장기 적이고 계속적인 외래추적 및 자료의 축적을 통한 신생대동맥근위부 확쏭 진행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하겠다.

  • PDF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mplantation via Dual Left Thoracotomy in an Adult Patient with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 Kim, Shin;Cho, Yang-Hyun;Park, Pyo Won;Lee, Young Tak;Jun, Tae-Gook;Kim, Wook Sung;Sung, Kiick;Yang, Ji-Hyuk;Chung, Surye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5호
    • /
    • pp.306-309
    • /
    • 2020
  • A 59-year-old man presented for possible durable ventricular assist device (VAD) implantation. He had previously been diagnosed with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a ventricular septal defect, an atrial septal defect, pulmonary valve stenosis, and aortic valve regurgitation. In the previous 22 years, he had undergone palliative cardiac surgery 3 times. VAD implantation as a bridge to transplantation was planned. Owing to severe adhesions, mesocardia, a left ascending aorta, and moderate aortic regurgitation, we performed VAD implantation and aortic valve closure via a dual left thoracotomy and partial sternotomy.

선천성 이엽성 대동맥판막질환에 대한 판막성형술의 중기 성적 (Mid-term Results of the Congenital Bicuspid Aortic Valve Repair)

  • 조광리;곽재건;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0호
    • /
    • pp.833-838
    • /
    • 2004
  • 배경: 선천성 이엽성 대동맥판막질환에 대한 성형술은 술 후 조기 성적에서는 매우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중기 및 장기 성적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판막 성형술의 중기 성적을 알아보기 위해 1994년부터 2003년까지 선천성 이엽성 대동맥판막질환으로 판막성형술을 시행받은 22명의 환자들의 임상기록 및 심초음파 검사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가 17명, 여자가 5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1$\pm$14세였다. 이엽성 판막의 폐쇄부전이 대부분(91%=20/22)의 환자에서 주 병변이었다. 수술 방법들로는 붙어 있는 공통 판막엽의 해리(release)가 19예(86%)에서 시행되었으며, 이탈된 판막엽에 대한 수술로는 채기 절제 및 일차봉합술이 11예(50%), 판엽줄임술(plication) 후 심막으로 보강한 것이 6예(27%), 판막엽만 줄인 3예(14%)가 있었다. 두꺼워진 판막엽을 깎은 것이(slicing) 12예(55%)에서 사용되었으며, 교련부위의 성형술은 8예(36%), 교련부위절개술이 6예(27%)에서 시행되어 평균 환자당 2.8개의 술식이 사용되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으며 모든 환자를 술 후 평균 38$\pm$17개월간 추적 관찰하였다. 추적기간 중 1명의 환자가 술 후 2개월에 성형술 봉합의 풀림에 의한 급성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으로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받았다. 환자들의 기능적 상태는 (NYHA functional class)는 술 전 평균 1.9$\pm$0.6에서 술 후 1.2$\pm$0.5로 의미있게 개선되었으며(p<0.01),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실의 수축기말/이완기말 용적도 각각 45$\pm$9 mm, 67$\pm$10 mm에서 37$\pm$10 mm, 56$\pm$10 mm로 의미있게 줄어들었다(p<0.05). 대동맥 판막의 폐쇄부전 정도는 술 전 3.1$\pm$1.2에서 심폐기 이탈 직후에 0.9$\pm$0.7로 의미있게 줄었으나 추적 관찰 중 1.8$\pm$1.1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중등도 이상의 폐쇄부전이 없이 생존할 확률은 술 후 1년에 89.7%, 3년에 89.7%, 4년에 39.9%로 나타나 중기 이후에 판막기능의 악화가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선천성 이엽성 대동맥판막질환 성형술의 중기 성적은 임상적으로는 초기의 우수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성형된 대동맥 판막의 장기적 내구성은 장담할 수 없었다.

판막첨 연장술을 이용한 대동맥 판막 성형술 (Aortic Valvuloplasty : Leaflet Extension Technique with Glutaraldehyde-preserved tautologous Pericardium)

  • 안혁;김준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331-336
    • /
    • 1996
  • Glutaraldehyde용액에 고정시킨 자가심낭을이용해서 판막첨 연장을시키는대동맥 판막 성형술을4 례에서 시행하였다 이 4례의 환자들은 수술전 심초음파 검사 및 심도자검사에서 모두Grade W의 대 동맥 판막 폐쇄부전증이 있었으며 이중 2례는 류마티스성 열이 원인이었고, 1례는 퇴행성 변화였으며 나머 지 1례는 원 인을 알 수 없었다. 사용된 자기성남은 0.625% Glutaraldehyde 용액 에 15분간 고정시킨 뒤, 생 리식 염수로 15분간 잘 씻어낸 후 사용하였다. 이 4례의 환자들은 판막첨 의 모양 및 크기 등이 서로 달랐고,따라서 각 병변에 맞게 판막첨 연장술을시행하였기에 각례의 수술들이 모두다른 형태로이루 어겼다. 병 원 사망율은 없었고, 항응고제 치료를 시행하지 않았으며, 혈전증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모든 예에서 수술후 단순흉부촬영상 심장의 크기가 현저 히 감소됐으며, 수술후 시 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좌심실 수축기말 구획 (LVESD)과 착장기 말 구획 (LVEDD)도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 판막첨 연장술은그내구성과오랜기간 동안의 추적검사 결과가 아직 미지수이지만,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한 술식이라고 판단되며, 대동맥 판막 성형술에 효\ulcorner적 이라고 생각된다.

  • PDF

발살바동맥류 파열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Ruptured Aneurysm of Sinus of Vasalva)

  • 김정택;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607-612
    • /
    • 1997
  • 저자들은 1964년부터 1994년까지 발살바동 동맥류파열로 진단받고 수술받은 53례를 분석하고 추적조사 하였다. 파열된 발살바동은 우관상 발살바동이 43례(81%)로 가장 많았고 무관상 발살바동이 7례(13%), 다발성이 2례있었다. 우관상동에서 발생한 파열은 대부분 우심실로 유출되었고(81.4%), 무관상 발살바동에서 발생한 것은 대부분 우심방으로 유출되었다(71.4%). 수술방법으로는 대동맥과 유출된 심장챔버 양측을 절 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41례(77%)에서는 직접봉합을 12례(23%)에서는 청포를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대동맥판막부전은 26례(49%)에서 동반되었는데 14례에서는 대동맥판 성형술을 10례에서는 대동맥판 치환수술을 하였다. 대동맥판 성형술을 한 14례에서 9년동안 대동맥판쇄부전이 발생하지 않을 빈도는 55%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2례에서 만기사망이 발생하여 10년 생존률은 95%였다. 15례에서 만기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대동맥판 부전이 5례, 조직판막의 구조적실패가 3례, 발살바동의 재파열이 2례였다. 10년동안 만기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53%로 비교적 높았고 심내막염 동반이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결론적 으로 발 移姆옰커\ulcorner\ulcorner외과적 치료는 만족할 만한 단기 및 장기생존율을 보였으나 대동맥판부전 또는 심내 막염과 관련된 경우 만기 합병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동맥판부전이나 심내막염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좀 더 세심한 관찰이 요망된다고 생각된다.

  • PDF

만성 대동맥 박리증(DeBakey typeI) 환자의 전 대동맥 치환술 1례 보고 (Total Replacement of Aorta in Chronic Type 1 Aortic Dissection)

  • 홍종면;노윤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36-339
    • /
    • 1997
  • 최근 흉부 대동맥의 수술적 치료가 과거에 비해 좋은 성적을 얻고 있다. 전 흉부 대동맥을 포함하는 대동맥류나 대동맥 박리증의 경우대개 두단계나세단계로나누어 수술하였다. 본원에서는 숲 대동맥을 포함한 드베키 타입 I 만성 대동맥 박리증 환자에 있어서 한번에 출 대동맥을 치환하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호흡 부전과 Marfan 환자의 특징적 외모를 갖고있는 25세 남자로 심한 대동맥 부전증과 만성 드베키 타입 I대동맥 박리증 진단하에 수술시행하였다. 수술소견상상행 대동맥이 매우 커져 있었으며 상행대동맥에 두 개의 내막 파열이 관찰되 었고 가혈관으로 부터 늑간 동맥들과 우측 신동맥이 혈공급을 받고있었다. 벤탈 술식과 함께 술 대동맥 치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현재까지 큰 합병증없이 외래를 통해 추적 관찰중이다.

  • PDF

관상동맥 우회술;심마비액을 사용하지 않은 수술방법 (Aortocoronary Bypass Surgery; with Noncardioplegic Myocardial Protection)

  • 서동만;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276-281
    • /
    • 1993
  • During the 3 years through December 1992, 118 cases of coronary bypass graft were performed at Department of Cardiothoracic Surgery, Asan Medical Center. They consisted of 80 males and 38 females with the mean age of 59.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was noted in 23 cases[20%], congestive heart failure in 11[10%], left ventricular aneurysm in 6, postinfarct VSD in 2, and mitral regurgitation in 1. The angina was stable in 13 cases, and unstable in 104 cases[89%]. Left main stem disease were 41 cases[35%], triple vessel 36[31%], double vessel 30[26%] and single vessel involvement[LAD] in 10. We performed 335 distal bypasses out of 117 cases, with single bypass in 9, double 29, triple 52, quadruple 23, and quintuple 4. Myocardial protections were cardioplegia in 29 and intermittent aortic occlusion 79 and continuous aortic perfusion 7. The ischemic time per graft was 13 minutes[intermittent aortic occlusion group] and 20 minutes [cardioplegia group] respectively, and the mean number of graft per patient is 2.85. Early mortality was 6.8% [8/117]. If we exclude the patients with LV aneurysm, the surgical mortality could be downed to 4.5% [5/111]. The causes of deaths were cardiogenic shock[6], aortic dissection[1], and neurologic complication[1]. We conclude that noncardioplegic myocardial protection may be equally beneficial or sometimes advantageous to cardioplegic technique in aortocoronary bypass graft surgery.

  • PDF

판막첨 연장술을 이용한 대동맥판막 성형술의 중기성적 평가 (Aortic Valvuloplasty Using Leaflet Extension Technique)

  • 안혁;김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56-662
    • /
    • 1997
  • 대동맥판막 질환에 대한 판막 성형술이 판막 치환술의 대치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서을 대학교 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5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14명의 환자에서 자가 심낭 편을 이용한 판막첨 연장 술로 대동맥 판막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34.8$\pm$15.3세이었으며, 남자가 11명, 여자가 3명이었다. 수술전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 및 심도자 검사에서 협착증을 동반하지 않은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환자로 폐쇄부전 정도는 평균 3.4$\pm$0.65였으며, 이중 4명의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동반하고 있었다. 수술은 0.625% glutaraldehyde 용액에 15분간 고정시킨 자가 심낭 편을 이용하였으며, 12명의 환자에 서는 세 개의 판막첨을 모두 연장시켜 주었으나, 2명의 환자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판막의 판막첨만을 연장 시켜 주었으며,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동반한 4명에서 승모판 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하여 주었다. 14명 모두에 서 수술중 경식도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폐쇄부전이나 협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술 후 평균 7.4 $\pm$2.1일에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경도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이 3명에서 나타 돛만\ulcorner 승모판 성형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명에서 경한 정도의 승모판 폐쇄부전이 나타났다. 좌심실의 수축기말과 확장기말 구획 은 수술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p<0.05)의 감소를 보였다. 수술 직후의 사망 환자는 없었다. 수술 후 평균 7.9$\pm$5.9개월간 추적 조사 기간 중 만기 합병증은 2명에서 나타났다. 심내막염 및 대동맥 판막의 증식물이 수술 후 7개월 째 발견되어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가 1명 있었으며, Behcet증후군 환자에서 수술 후 3개월 째 갑작스런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이 나타나 Ross수술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대동맥 판막의 판막첨 연장술의 조기 성적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젊은 연령의 폐쇄부 전증 환자에서 판막치 환술의 대치술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자가 심방편의 비후,석회화,또는 파열 등의 내구성에 대한 오랜 기간의 추적 검사가 필요하리라 본다.

  • PDF

특발성 비후성 대동맥판하 협착증의 수술적 치험 1례 보 (Surgical Experience of Idiopathic Hypertrophic Subaortic Stenosis - Report of A case -)

  • 강경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610-618
    • /
    • 1987
  • A 23-y-o male patient was suffered from intermittent fainting and dyspnea on exertion [NYHA Class IIIIV]. 2-D - Echocardiogram and cardiac catheterization with cineangiogram showed typical IHSS findings those were asymmetrical septal hypertrophy [ASH], systolic anterior motion of anterior mitral leaflet [SAM] which induced mild mitral regurgitation [Seller Grade I/IV] and pressure gradient about 60 mmHg between left ventricle and the aorta. Medical treatment with 8-adrenergic blockade [propranolol] and Ca" channel antagonist [Verapamil] had no response. So, we performed trans-aortic ventricular septal myotomy and mymectomy. Resected rectangular muscle bar was 1 Cm x 1 Cm x 4.5 Cm. Post-operative pressure gradient between the left ventricle and the aorta was less than 10 mmHg and SAM. was disappeared with decreased mitral regurgitation grade. Post-operative course was smooth and his symptoms and signs were free without any medication during 12 months follow-up.w-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