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regurgitation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4초

소아연령군에서의 대동맥판막성형술 (Aortic Valvuloplasty in Pediatric Age)

  • 임홍국;박천수;황호영;김웅한;이정렬;노준량;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8호
    • /
    • pp.652-659
    • /
    • 2004
  • 배경: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된 소아연령군에서의 대동맥판막 성형술 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대동맥판막 협착이나 폐쇄부전으로 대동맥판막 성형술을 시행 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 후 협착이나 폐쇄부전의 개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 추적관찰 기간 중 재수술률 및 이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연령은 81.1$\pm$61.5 (1∼223)개월이었고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50.8$\pm$30.2 (3∼121)개월이었다. 대동맥판막 협착이 8예,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이 21예, 협착 및 폐쇄부전이 6예에서 있었다. 판막의 형태는 삼첨판막이 24예, 이첨판막이 9예, 단일첨판막이 1예, 그리고 사첨판막이 1예였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술 전 최대 압력차는 평균 72.0$\pm$33.0 mmHg였고,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의 정도는 평균 3.1$\pm$0.9도였다. 결과: 조기 사망은 없었고 1예에서 만기 사망이 있었다. 수술 직후 대동맥판막 협착 환자의 최대 압력차는 평균 23.5$\pm$21.0 mmHg로(p < 0.05),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환자의 폐쇄부전 정도는 평균 1.9$\pm$0.8도로 수술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p<0.05). 수술 후 평균 35.0$\pm$23.0개월의 추적 관찰 후 대동맥판막 협착 환자의 최대 압력차는 평균 31.5$\pm$24.0 mmHg로 술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5),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의 정도는 평균 2.8$\pm$1.3도로 수술 직후에 비해 진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추적관찰기간 중 6명(17.1%)의 환자에서 평균 38.3$\pm$21.8개월 째 대동맥판막에 대한 재수술이 시행되었으며, 2년, 5년, 8년 재수술 없이 생존할 확률은 각각 96.9$\pm$3.1%, 79.5$\pm$5.5%, 56.8$\pm$11.4%였다. 적절한 판막기능의 개선, 재수술 여부와 재수술 없이 생존할 확률과 관련하여 나이, 판막 협착 여부, 술 전 판막의 협착 정도나 폐쇄부전 정도, 판막의 형태 등을 분석하였을 때 유의한 인자는 없었다. 걸론: 대동맥판막 성형술은 수술에 따른 위험이 높지 않고 판막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적절히 시행하면 훌륭한 단기 수술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소아 연령에서 대동맥 판막성형술은 장기적으로 실패율이 높지만 이 경우에도 술 후 일정 기간 적절한 판막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대동맥 판막 치환술 혹은 Ross 술식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시기까지 수술을 연기할 수 있다.

Composit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Button 술식의 중단기 결과 (Composite Graft Aortic Root Replacement with Coronary Button Reimplantation: The Early and Mid-Term Results)

  • 나찬영;백만종;김웅한;오삼세;김수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56-364
    • /
    • 2002
  • 목적 본 연구는 대동맥근부를 침범한 상행대동맥류 환자에서 composit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시 button 술식을 이용한 수술의 중단기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및 대상 1995년 4월부터 2001년 9월까지 composite valv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환자중 button 술식을 이용한 5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술전 좌심실 기능부전 14명(25.9%),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48명(89%), 그리고 Mafarn 증후관17명(31.5%)에서 동반되었다. 진단은 대동맥판륜 확장증 29명(53.7%), 대동맥 박리증 11명(20.4%), 대동맥근부를 침범한 상행대동맥류 12명(22.2%), 그리고 대동맥염이 2명(3.7%)이었다. 과거에 심장이나 상행대동맥 수술을 받은 환자는 6명(11.1%)이었다. 근부치환술은 모든 환자에서 composite graft를 이용하여 button 술식으로 시행하였다. 동반수술은 대동맥궁 치환술 21명(38.9%), 관상동맥우회술 7명(13.%), 승모판 성형 혹은 치환술 4명, 그리고 기타 6명이었다. 평균 순환정지, 체외순환 및 대동맥차단 시간은 각각 18 $\pm$ 9분, 177 $\pm$ 42분과 127 $\pm$ 31분이었다. 결과 조기 사망은 1명(1.9%)에서 있었다. 술후 생존자 53명중 52명(98.1%)에서 평균 24.6 $\pm$ 19.5 개월(1-78개월)을 추적하였다. 만기 사망은 외상성 뇌출혈로 사망한 1명을 포함해 2명(3.8%)이었으며 대동맥근부 치환술과 관련한 만기 사망률은 1.9%였다. 한편 술후 1년과 6년 survival rate는 각각 98.0 $\pm$ 2.0%와 93.1 $\pm$ 5.1%였다. 대동맥근부 치환술과 관련한 만기 합병증은 근부 봉합 부위에 발생한 가성동맥류와 인공대동맥 판막 기능부전이 각각 1명에서 발생하여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3.8%), 1년과 6년 후 재수술의 freedom rate는 각각 97.9 $\pm$ 2.1%와 65.3 $\pm$ 26.7%였다. 잔여 대동맥에 대한 수술은 1명에서 박리성 흉복부대동맥류에 대해 단계적으로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Composite valv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Composite valve graft Replacement of the Aortic Root)

  • 백만종;나찬영;김웅한;오삼세;김수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02-112
    • /
    • 2002
  • 배경: 본 연구는 대동맥근부를 침범한 상행대동맥류 환자에서 composite valv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 환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4월부터 2001년 6월가지 composite valv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환자 5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은 50명(89%), Mafan증후군이 18명(32%), 그리고 이엽성 대동맥판막이 7명(12.5%)에서 동반되었다. 진단은 대동맥판륜 확장증 30명(53.6%), 대동맥 박리증 13명(23.2%), 대동맥근부를 침범한 상행대동맥류 11명(17.6%), 그리고 대동맥염이 2명(3.6%)이였다. 대동맥 파열로 인한 심낭 압전 및 심인성 쇽은 2명에서 있었으며 과거에 심장이나 상행대동맥 수술을 받은 환자는 9명(16%)이었다. 근부치환술시 사용된 수술방법button술식 51명(91%), 변형 Cabrol 술식 4명, classic Bentall 술식을 1명에서 시행하였다. 동반수술은 대동맥궁 치환술 24명(43%), 관상동맥우회술 8명(14.3%), 승모판 성형술 2명 및 재치환술 1명, 기타 7명이었다. 평균 순환정지, 체외순환및 대동맥차단 시간은 각각 21$\pm$14분(6-60분), 186$\pm$68분과 132$\pm$42분이었다. 결과: 조기 사망은 1명(1.8%)에서 있었고 술후 합병증으로는 심기능 부전이 16명(28.6%), 출혈로 인한 재수술 7명(12.5%), 심낭삼출 2명, 그리고 기타가 6명이었다. 술후 생존자 55명중 53명(96.4%)에서 평균 23.2$\pm$18.7개월(1-75개월)을 추적하였다. 만기 사망은 외상성 뇌출혈로 사망한 1명을 포함해 2명(3.8%)이었으며 대동맥근부 치환술과 관련한 만기 사망률은 1.9%였다. 한편 술후 1년과 6년 survival rate는 각각 98.1$\pm$1.9%와 93.275.1%였다. 대동맥근부 치환술과 관련한 합병증으로 재수술이 2명에서 시행되었으며(3.8%), 1년과 6년 후 재수술로부터의 freedom rate는 각각 97.872.0%와 65.3$\pm$26.7%였다. 잔여 대동맥에 대한 수술은 술전에 동반된 흉복부대동맥류의 확장으로 2명에서 흥복부대동맥류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대동맥 판막만을 침범한 감염성 심내막염의 수술적 치료: 승모판막만을 침범한 경우와 비교 연구 (Surgical Treatment for Isolated Aortic Endocarditis: a Comparison with Isolated Mitral Endocarditis)

  • 홍성범;박정민;이교선;류상우;윤주식;제갈재기;윤지형;김상형;안병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9호
    • /
    • pp.600-606
    • /
    • 2007
  •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인한 심장 수술은 위험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대동맥 판막 심내막염 수술은 합병증 발생과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는 대동맥 판막만을 침범한 감염성 심내막염에 대한 임상 양상 및 수술 결과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7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대동맥 판막만을 침범한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수술받은 환자를 1군(25예, 남자 : 여자=18 : 7, 평균 나이 $43.2{\pm}18.6$세), 승모판막만을 침범하여 수술 받은 환자를 2군(23예, 남자 : 여자=10 : 13, 평균 나이 $43.2{\pm}17.1$세)으로 하여 양군의 임상 양상 및 수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술전 좌심실 구출률은 1군 $60.8{\pm}8.7%$, 2군 $62.1{\pm}8.1%$ (p=0.945)였다. 술 전 1군은 18예에서 중등도 이상의 대동맥 판막 역류증을 보였고, 17예에서 우종이 관찰되었으며, 동반 질환으로 심실 중격 결손증 2예와 동맥관 개존증 1예가 있었다. 2군은 19예에서 중등도 이상의 승모판막 역류증을 보였고, 18예에서 우종이 관찰되었으며, 동반 질환으로 심실 중격 결손증이 1예 있었으며, 1예에서 심방 세동으로 Microwave를 이용한 Maze 수술을 동시에 시행 받았다. 1군은 모두 자가 판막 심내막염이었으며, 7예에서 이엽성 대동맥 판막 소견을 보였으며, 2군은 인공판막 심내막염 2예, 승모판막 성형술 후 발생한 심내막염이 1예였다. 혈액 배양 검사상 1군은 11예(44.0%)에서 원인균이 동정되었으며, 2군은 10예(43.3%)에서 원인균이 동정되었다. 수술 직후에 심장 초음파를 시행하였으며, 이후 1년 간격으로 심장 초음파를 추적 검사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37.2{\pm}23.5$ ($9{\sim}123$)개월 이었다. 결과: 수술 후 합병증으로 1군의 3예에서 저심박출증이 있었으며, 2군에서 출혈로 인한 재수술 1예, 저심박출증 1예가 있었다. 1군에서 수술 1일 후 뇌출혈로 인해 신경외과 수술을 받았으나 사망한 1예가 있었으며, 2군에서는 수술 사망률은 없었다. 1, 3, 5년 판막 관련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1군은 각각 92.0%, 88.0%, 88.0%였으며, 2군은 91.3%, 76.0%, 76.0%였다. 수술 후 1, 3, 5년 생존율은 1군에서 각각 96.0%, 96.0%, 96.0%였으며, 2군은 각각 100%, 84.9%, 84.9%였다. 결론: 대동맥 판막만을 침범한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는 만족할 만한 임상 결과와 중, 단기 결과를 보여 주었다.

요크셔테리어 개에서 심장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된 심장내 종괴 2 증례 (Echocardiographic Diagnosis of Intracardiac Masses in Yorkshire Terrier Dogs : 2 Cases)

  • 한동현;김현지;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83-487
    • /
    • 2012
  • 심장에 발생하는 원발성 그리고 전이성 종양은 개에서는 흔치 않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심장초음파적 진단을 이용하여 요크셔테리어 2마리에서 발생한 심장내 종괴를 확인하였다. 첫째 증례에서의 종괴는 상행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중증도의 대동맥 역류와 좌심실의 확장을 유발하고 있었다. 이 증례의 환자등급은 ISACHC II 등급의 심부전으로 분류되었다. 환자에 대한 심장처방으로는 furosemide, enalapril, pimobendan 그리고 경구적인 화학요법으로는 lomustine가 처방되었다. 둘째 증례에서의 종괴는 좌심방의 2/3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좌심방의 확연한 확장과 심각한 이첨판 역류 (~5 m/s) 를 유발하고 있었으나, 환자의 심부전 등급은 ISACHC Ib 등급으로 심각한 울혈성 심부전은 나타나지 않았다. 종괴의 성상은 cardiac myxoma로 추정되었으나, 조직생검검사는 보호자의 거절로 인하여 수행되지 않았다. 환자에 대한 심장처방으로는 ramipril, clopidogrel 그리고 기관지 확장제는 aminophylline이 처방되었다. 본 증례의 두 환자들은 여전히 생존해 있으며, 정기적인 검진을 받고 있다.

작은 인공판막주위 누출에 의한 용혈성 빈혈 (Hemolytic Anemia due to Tiny Prosthetic Paravalvular Leakage)

  • 문광덕;김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44-448
    • /
    • 1996
  • 작은 인공판막주위 누출에 의한 용혈성 빈혈은 인공판막 치환술후올수 있는 합병증중의 하나이다. 경도의 용혈은 대개 기계 판막으로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했을 때 생기 지만, 드물게는 승모판막 치환 술 후에 생 기도 더욱 드물게 조직판막 치환술 후에도 생 긴다 조직판막 치환술후에 용혈성 빈혈은 거의 생기지 않는다. lonescu-Shiley 심낭판막 치환술을 받은 환자에서 용혈성 빈혈은 승모판막에서는 없었고, 대동맥판막 에서 주로 발생하였다고 보고되 어 왔다. 41세 여자환자가 갑자기 진한적색뇨가생겨 본원에 입원하였다. 이 환자는 10년전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으로 승모판막 치환술(lonescu-Shiley판막 27mm)을 받았던 병 력 이 있다. 심초음파검사상 판막을 통한 경도의 승모판막 폐쇄부전과 함께 판막의 비후가 관찰되었으나 판막주 위를 통해 세어나오는 판막주위 누출의 소견은 관찰할 수 없었다. 말초혈액도말검사상정적혈구성 정색소성 빈혈을 보였다. 혈액 및 요 검사에서 심한 용혈소견이 보였다. 51. Jude Medical 양엽 판막(size 27mm)으로 승모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시 lonescu-Shiley 판막에 판엽의 석 회화와 뒤틀림 ( istortion)이 있었고, 술자위 치 에서 1시 방향에 직경 5mm의 작은 판막주위 누출이 발견되었으며 이것이 용혈성 빈혈의 원인으로 생각되었다. 승모판 막 재치환술후 용혈소견은 완전히 사라졌다. 저자들은 작은 인공판막주위 누출에 의한 심한 용혈성 빈혈이 발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 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생물학적 보철판막의 조직실패 (Primary Tissue Filure of Bioprosthetic Valves)

  • 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9호
    • /
    • pp.667-676
    • /
    • 1993
  • Boprosthetic cardiac valves fail from biological and metabolic as well as mechanical reasons, and the limited durability is the main factor of marked withdrawal in their clinical use. Starting the use of bioprosthetic valves in 1976, up to the end of 1992, the consecutive 178 patients have undergone re-replacement of glutaraldehyde-treated xenograft valves for primary tissue failure [PTF]among the patients who had initial valve replacem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explanted valves were 69 porcine aortic [51 Hancock, 12 Angell-Shiley and 6 Carentier-Edwards] and 141 bovine pericardial [129 standard-profile and 12 low-profile ionescu-Shiley] valwes, with an overall incidence of PTF of 15.2%. The operative mortality rate of re-replacement was 5.1%. Calcific degeneration and tissue damage in relation to calcification were the most frequent modes of PTF on gross examinatin of the explanted valves resulting hemodynamically in valvular regurgitation. The number of Hancocg porcine and the standard-profile Ionescu-Shiley valves in valves in mitral position failed more often from tissue damage [tears, holes, and loss or destruction of cuspal tissue] than calcification [68.3% vs. 39.0%, p<0.01] with resultant regurgitation in 61%, the Ionescu-Shiley valves in the same position in 53%. The tendency of more calcification than tissue damage[71.3% vs. 33.3%, p<0.001]with stenosis in 53%. The tendency of more calcification and immobility of cusps in the latter group was partly explainable by the inclusion of patients of pediatric age. Observation made in this study suggest : many of bioprosthetic valves would fail from calcification and tissue damage : some fail prematurely because of mechanical stress probably owing to the valve design in construction ; andeven those valves escaped early damage would be subject to calcify in the prolonged follow-up period. In conclusion, at the present time, the clinical use of bioprostheticxenograft valves seems to be quite limited until further improvement in biocompatibility and refinement in valve design in manufacture are achieved.

  • PDF

Central-Approach Surgical Repair of Coarctation of the Aorta with a Back-up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an Infant Presenting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 Kim, Tae Hoon;Shin, Yu Rim;Kim, Young Sam;Kim, Do Jung;Kim, Hyohyun;Shin, Hong Ju;Htut, Aung Thein;Park, Han 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6호
    • /
    • pp.407-410
    • /
    • 2015
  • A two-month-old infant presented with coarctation of the aorta,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nd moderate to severe mitral regurgitation. Through median sternotomy, the aortic arch was repaired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and regional cerebral perfusion. The patient was postoperatively supported with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five days. Left ventricular function gradually improved, eventually recovering with the concomitant regression of mitral regurgitation. Prompt surgical repair of coarctation of the aorta is indicated for patients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 central approach for surgical repair with a back-up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for these patients.

Comparison of Intracardiac Echocardiography Versus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for Guidance During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 Sang-Hyup Lee;Seunguk Oh;Young-Guk Ko;Yong-Joon Lee;Seung-Jun Lee;Sung-Jin Hong;Chul-Min Ahn;Jung-Sun Kim;Byeong-Keuk Kim;Kyu-Yong Ko;Iksung Cho;Chi Young Shim;Geu-Ru Hong;Donghoon Choi;Myeong-Ki Hong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4권2호
    • /
    • pp.63-75
    • /
    • 2024
  • Background and Objectives: Evidence regard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intracardiac echocardiography (ICE) for guidance during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TAVR) is limite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ICE versus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for guiding TAVR. Methods: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TAVR from August 18, 2015, to June 31, 2021. Eligible patients were stratified by echocardiographic modality (ICE or TEE) and anesthesia mode (monitored anesthesia care [MAC] or general anesthesia [GA]). Primary outcome was the 1-year composite of all-cause mortality, rehospitalization for cardiovascular cause, or stroke, according to the Valve Academic Research Consortium-3 (VARC-3) definition.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performed, and study outcomes were analyzed for the matched cohorts. Results: Of the 359 eligible patients, 120 patients were matched for the ICE-MAC and TEEGA group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primary outcome was similar between matched groups (18.3% vs. 20.0%; adjusted hazard ratio, 0.94; 95% confidence interval [CI], 0.53-1.68; p=0.843). ICE-MAC and TEE-GA also had similar incidences of moderate-to-severe paravalvular regurgitation (PVR) (4.2% vs. 5.0%; adjusted odds ratio, 0.83; 95% CI, 0.23-2.82; p=0.758), new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and VARC-3 types 2-4 bleeding. Conclusions: ICE was comparable to TEE for guidance during TAVR for the composite clinical efficacy outcome, with similar incidences of moderate-to-severe PVR, new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and major blee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ICE could be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echocardiographic modality to TEE for guiding TAVR.

대동맥판막 질환과 동반된 상행대동맥 확장에 대한 봉합봉축법에 의한 대동맥 축소성형술 (Reduction Aortoplasty with Suture Plication Technique for Dilatation of the Ascending Aorta associated with Aortic Valve Disease)

  • 나찬영;오삼세;이창하;황성욱;이철;임홍국;김재현;서홍주;김근직;백만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21-228
    • /
    • 2005
  • 대동맥 축소성형술은 대동맥판막 질환과 동반된 상행대동맥 확장을 가진 고령 혹은 고위험군의 환자들에서 수술치료의 한 방법이라고 주장되어 왔다. 저자들은 대동맥판막치환술과 동반 시행한 상행대동맥의 변형 축소성형술에 대한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7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상행대동맥벽의 절제 없이 봉합봉축법에 의한 변형 대동맥 축소성형술을 받은 14명의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7$\pm$6.7세(50$\~$75세)였다. 10명의 환자에서 이엽성 대동맥판막이 동반되었다. 10명에서 심한 대동맥판막 협착을 보였으며 6명에서는 III-lV도의 대동맥판막폐쇄부전이 동반되었다. 상행대동맥의 직경은 수술 전과 후 그리고 6개월과 12개월 후에 심장초음파 및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측정하였다. 술 후 평균 추적기간은 14.7$\pm$5.4개월(7$\~$24개월)이었으며 모든 7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다. 결과: 술 후 조기 사망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은 없었다. 봉합봉축법에 의한 대동맥 축소성형술 후 상행대동맥의 직경은 술 전 49.4$\pm$3.5 mm에서 술 후 33.2$\pm$3.4 mm (P<0.001)로 감소하였다. 추적기간동안 만기 사망이나 상행대동맥의 재확장은 없었다. 결론: 대동맥벽의 절제없이 봉합봉축법에 의한 변형 대동맥축소성형술은 대동맥판막 질환과 동반된 상행대동맥 확장을 가진 고령 혹은 고위험군의 환자들에서 양호한 조기 및 중기성적을 보였다. 하지만 본 방법들 사용한 환자들에 대한 장기 추적결과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