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ortic aneurysm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6초

Surgical Outcomes of Kommerell Diverticulum

  • Kwon, Young Kern;Park, Sung Jun;Choo, Suk Jung;Yun, Tae Jin;Lee, Jae Won;Kim, Joon Bu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6호
    • /
    • pp.346-352
    • /
    • 2020
  • Background: We aimed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pair of Kommerell diverticulum (KD) with individualized surgical method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f adult patients (aged ≥17 years) who underwent surgery to treat KD between June 2008 and October 2019. Results: Nine patients (median age, 45 years; range, 19-67 years; 7 men) underwent surgical repair. The indications for surgical therapy were acute aortic dissection in 2 patients, the presence of compressive symptoms due to dilated KD in 4 patients, and aneurysm growth in 3 patients. Various surgical techniques were used: (1) resection of the diverticulum stump and revascularization of the aberrant subclavian artery (n=3), (2) one-stage total-arch replacement including the diverticulum segment (n=3), and (3) hybrid repair (n=3). Early mortality occurred in 1 case of hybrid repair. Transient paraparesis occurred in a patient who underwent total arch repair as part of complicated acute aortic dissection. During follow-up (median duration, 30 months; range, 7-130 months), no late death or associated aortic complications were documented. All survivors were free from symptoms and had no abnormal findings on follow-up computed tomography. Conclusion: With a customized surgical approach and appropriate consideration of patient-specific anatomy and associated comorbidities, KD can be repaired with favorable outcomes.

변형식 벤탈수술; 이중봉합링 수술법 - 2예 치험 - (Modified Bentall Operation and the Double Sewing Ring Technique -2 case reports-)

  • 김태윤;이정문;최종범;김민호;조중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56-160
    • /
    • 2010
  • Bentall-DeBono 수술은 대동맥근부 치환술의 대표적인 수술방법이다. 환자에게 일생동안 항응고제 투여가 불가능한 경우 조직판막으로 Bentall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조직판막의 변성으로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 그 수술은 매우 복잡해 질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재수술이 쉬운 조직판막 Bentall 수술이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대동맥판막을 보존할 수 없어 Bentall 수술이 필요한 2환자들에서 변형식 벤탈술식에 의해 조직판막을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술식은 재수술에 대비할 수 있는 간단한 수술로 생각된다.

Bentall 수술 10년 후 발생된 좌관상동맥 가성동맥류의 수술 치료 (Surgical Repair of Left Coronary Artery Pseudoaneurysm 10 Years after a Bentall's Procudure)

  • 이삭;강면식;임상현;장병철;홍유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25-227
    • /
    • 2007
  • 대동맥 wrap-inclusion 술식은 고유의 Bentall 수술에서 수술 후 지나친 수술의 예방을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 비록 이 수술이 대동맥근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과를 향상시켰다고는 하나 관상동맥 연결부위의 관상동맥 협착, 비틀림, 가성동맥류 형성 등의 조기 및 만기 합병증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Wrap-inclusion 술식을 이용한 복합이식 후 대동맥 주위 가성동맥류 형성은 비교적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본원에서는 45세의 여자 환자에서 inclusion technique으로 Bentall수술을 받은 후 10년만에 발생한 대동맥주위 가성동맥류를 Cabrol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외해부학적(Extraanatomical) 우회로조성술을 시행한 성인 대동맥축착증 - 3예 보고 - (Extraanatomic Bypass Graft was Performed in Adult Coarctation)

  • 이동협;정태은;이장훈;이정철;도형동;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60-263
    • /
    • 2008
  • 3예의 성인 대동맥축착증 환자에서 외해부학적(extraanatomical) 우회로조성술을 시행하였다. 축착 전 후의 광범위한 대동맥협착을 동반한 2예에서는 좌측 개흉술을 통해 좌쇄골하동맥에서 하행대동맥으로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대동맥판막폐쇄부전과 대동맥궁 발육부전이 동반된 대동맥축착 1예에서는 정중 흉골절개술을 통해 상행대동맥과 심장 뒤 하행대동맥간의 우회로술과 대동맥판막치환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1예에서 술 후 4개월째 문합부 주위 동맥류의 파열이 있어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는 술 후 특별한 합병증이 없었다.

대량객혈로 내원한 대동맥기관지루 1예 (A Case of Aortobronchial Fistula with Massive Hemoptysis after Aortic Stent Graft)

  • 황상연;정재호;박무석;김홍정;한창훈;문진욱;김세규;장준;김성규;원종윤;김영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4호
    • /
    • pp.405-410
    • /
    • 2004
  • 저자들은 1년전 하행흉부대동맥 가성동맥류로 진단 받고 혈관내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 받은 53세 남자 환자가 내원 1달여 전부터 간헐적인 혈담을 호소하다가 대량 객혈을 주소로 내원하여 대동맥류와 좌측 주기관지와의 누공을 확인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급성 대동맥박리증의 수술성적 및 수술전 처치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Surgical Results and Preoperative Management of Acute Aortic Dissection)

  • 현성열;박국양;이재웅;이창하;전양빈;박철현;염석란;신종환;민순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2호
    • /
    • pp.876-881
    • /
    • 2002
  • 대동맥박리증은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되지 않으면 예후가 매우 불량한 질환이다. 최근 컴퓨터단층화촬영과 심초음파 기술의 발달로 진단률이 높아지고 조기수술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술전 응급실에서 적극적인 약물투여로 사망률이 낮아지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후향적으로 응급실에서의 처치 및 수술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2001년까지 외과적 교정술을 시행받은 급성 대동맥박리증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8례, 여자가 24례였으며 연령은 평균 51.1세였다. 또한 응급실을 경유한 경우가 34례, 외래를 통한 입원이 8례였다. 결과: 수술은 상행대동맥치환술이 26례였으며 이중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병행한 경우가 7례였다. 하행대동맥치환술은 7례였으며 Bentall술식은 9례에서 시행하였다. 응급실 내원시 혈압강하제와 $\beta$-수용체차단제를 20례에서 투여하였으며 이중 6111(30%)에서 사망하였다. 이런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22례환자중 10례(45.5%)에서 사망하였다. 전체 사망은 16례(38%)였다. 결론: 대동맥박리증은 응급실이나 외래에서 조기진단이 필요하며 가능한한 비침습적 검사방법을 택하고 환자상태에 따라 적극적인 술전 약물처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선천성 심실중격결손증 교정술 후 발생한 가성 상행대동맥류 수술 치험 -1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of the Ascending Aorta Following the Repair of Congenital VSD -1 case report-)

  • 안병희;김광휴;나국주;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64-568
    • /
    • 1996
  • 개심술후 발생하는 가성 상행대동맥류의 빈도는 매우 낮으나 점진적으로 진행하여 크기가 커지면 커 질수록 수술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으로 조기에 발견하여 주위 조직을 압박 변위시키기 전 에 외과적으로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교실에서는 선천성 심실중격결손증 교정술 후 50개월이 경과하여 발견된 가성 상행대동맥류 1례 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 에 문헌고찰과 합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14세 여아로9세때 선천성 심실중격결손증으로타병원에서 팻취봉합술에 의한근치술을받고 합병증으로 창상감염이 발생하였으나 완치된 후 정상적인 생활을 하여오다 1 개월전에 발생한 운동성 호흡곤란과 전신피로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검진중 가성 상행대동맥류로 진단되어 상행대동맥성형술을 받았다. 수술소견상 대동맥 및 심정 지액 관류를 위 해 삽관하였던 부위로 추정되는 상행대동맥에 각각 장 경 1.5cm정도의 개구부가 있었으며 가성대동맥류의 크기는 10$\times$7cm로 주폐동맥, 상대정맥, 우심방, 우심실 등을 심하게 변위시키고 있었다. 2개의 개구부 사이에 위치한 대동맥 벽을 제거하여 하나의 개구부 로 만든 후 Dacron graft를 재단\ulcorner여 만든 팻취를 이용하여 대동맥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합병증은발생하지 않았으며 술후 12일째에 건강하게 퇴원하였다.

  • PDF

Composit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Button 술식의 중단기 결과 (Composite Graft Aortic Root Replacement with Coronary Button Reimplantation: The Early and Mid-Term Results)

  • 나찬영;백만종;김웅한;오삼세;김수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56-364
    • /
    • 2002
  • 목적 본 연구는 대동맥근부를 침범한 상행대동맥류 환자에서 composit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시 button 술식을 이용한 수술의 중단기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및 대상 1995년 4월부터 2001년 9월까지 composite valve graft를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환자중 button 술식을 이용한 5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술전 좌심실 기능부전 14명(25.9%),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48명(89%), 그리고 Mafarn 증후관17명(31.5%)에서 동반되었다. 진단은 대동맥판륜 확장증 29명(53.7%), 대동맥 박리증 11명(20.4%), 대동맥근부를 침범한 상행대동맥류 12명(22.2%), 그리고 대동맥염이 2명(3.7%)이었다. 과거에 심장이나 상행대동맥 수술을 받은 환자는 6명(11.1%)이었다. 근부치환술은 모든 환자에서 composite graft를 이용하여 button 술식으로 시행하였다. 동반수술은 대동맥궁 치환술 21명(38.9%), 관상동맥우회술 7명(13.%), 승모판 성형 혹은 치환술 4명, 그리고 기타 6명이었다. 평균 순환정지, 체외순환 및 대동맥차단 시간은 각각 18 $\pm$ 9분, 177 $\pm$ 42분과 127 $\pm$ 31분이었다. 결과 조기 사망은 1명(1.9%)에서 있었다. 술후 생존자 53명중 52명(98.1%)에서 평균 24.6 $\pm$ 19.5 개월(1-78개월)을 추적하였다. 만기 사망은 외상성 뇌출혈로 사망한 1명을 포함해 2명(3.8%)이었으며 대동맥근부 치환술과 관련한 만기 사망률은 1.9%였다. 한편 술후 1년과 6년 survival rate는 각각 98.0 $\pm$ 2.0%와 93.1 $\pm$ 5.1%였다. 대동맥근부 치환술과 관련한 만기 합병증은 근부 봉합 부위에 발생한 가성동맥류와 인공대동맥 판막 기능부전이 각각 1명에서 발생하여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3.8%), 1년과 6년 후 재수술의 freedom rate는 각각 97.9 $\pm$ 2.1%와 65.3 $\pm$ 26.7%였다. 잔여 대동맥에 대한 수술은 1명에서 박리성 흉복부대동맥류에 대해 단계적으로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Non-Anastomotic Rupture of a Woven Dacron Graft in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Treated with Endovascular Stent Grafting

  • Lee, Youngok;Kim, Gun-Jik;Kim, Young Eun;Hong, Seong Wook;Lee, Jong T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6호
    • /
    • pp.465-467
    • /
    • 2016
  • The intrinsic structural failure of a Dacron graft resulting from the loss of structural integrity of the graft fabric can cause late graft complications. Late non-anastomotic rupture has traditionally been treated surgically via open thoracotomy. We report a case of the successful use of thoracic endovascular repair to treat a Dacron graft rupture in the descending aorta. The rupture occurred 20 years after the graft had been placed. Two stent grafts were placed at the proximal portion of the surgical graft, covering almost its entire length.

승모판막질환을 동반하지 않은 심방세동에서의 Cox-Maze 술식 -3례 보고- (The Cox-Maze Procedure for Atrial Fibrillation not Associated with Mitral Valve Disease -Report of three cases-)

  • 강창현;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30-1233
    • /
    • 1998
  • The Cox-Maze procedure was developed as a cure for atrial fibrillation. The recovery rate of both atrial contractility is reported low in the atrial fibrillation associated with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than that of loan atrial fibrillation. We performed the Cox-Maze procedure (Maze III) in three cases who suffered from non-mitral heart diseases associated with atrial fibrillation: A ruptured sinus of Valsalva aneurysm, a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an aortic stenoinsufficiency. The Cox-Maze procedure was performed concomitantly with correction of the underlying heart disease. Conversion to sinus rhythm was achieved in all three patients, and both right and left atrial mechanical activities could be identified echocardiographically after three postoperative month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