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xiety to death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5초

호스피스간호사의 영적갈등 경험: 현상학적 연구 (Experience of Spiritual Conflict in Hospice Nurses: A Phenomenological Study)

  • 이병숙;곽수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98-109
    • /
    • 2017
  • Purpose: This aim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piritual conflict in hospice nurses by identifying the meanings and structures of the experience. Methods: Participants were 12 nurses working for one year or more at hospice units of general hospitals in a metropolitan city and experiencing of spiritual conflict as hospice nurses. Over six months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with the method suggested by Colaizzi. Results: The experience of spiritual conflict in participants was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six theme-clusters, and 13 themes. The participants felt existential anxiety on death and a fear of death which is out of human control and skepticism for real facts of human beings facing death. They also experienced agitation of fundamental beliefs about life with agitation of the philosophy of life guiding themselves and mental distress due to fundamental questions that are difficult to answer. Also they had distress about poor spiritual care with guilty feelings from neglecting patients' spiritual needs and difficulties in spiritual care due to lack of practical competencies.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e experience of spiritual conflict in hospice nurses is mainly associated with frequent experience of death in hospice patients. The experience of spiritual conflict consisted of existential anxiety, agitation of fundamental beliefs and distress over poor spiritual care. So, programs to help relieve anxiety, agitation and distress are necessary to prevent spiritual conflict and then spiritual burnout in hospice nurses.

요양시설 내 재활대상 노인의 지지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elderly people for rehabilitation at nursing homes)

  • 신소홍;이재홍;권원안;권용현;김창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16-2623
    • /
    • 2011
  • 본 연구는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죽음 및 불안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 요양시설 6개를 임의 모집하여 노인환자 300명(남성: 183명, 여성:11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에서 물질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가 죽음 불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죽음 불안과 일반적 특성의 연관성에서는 고령일수록, 입소기간이 길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요양시설 입소 노인이 느끼는 죽음·불안에 대한 두려움을 개선하도록 하며 자아 존중감, 자아 통합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상담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 조혜진;김은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2호
    • /
    • pp.163-172
    • /
    • 2005
  • 목적: 본 연구는 죽음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죽음 불안과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J시 G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자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16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실험군과 대조군 대상자 모두에게 2004년 3월 2일 일반적 특성과 죽음관련 특성,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대해 사전 조사하였고, 실험군은 2004년 3월 2일부터 3월 12일까지 죽음교육을 실시한 후 사후 조사하였으며, 대조군은 실험군의 프로그램 종료일인 2004년 3월 12일에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대해 사후 조사를 하였다. 연구 도구는 죽음교육 프로그램,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죽음교육은 Alfons[14]의 '죽음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와 죽음교육 관련문헌[8,15-17]와 송길원[18]과 김수지 등[19]을 통해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수정 보완한 것으로 죽음의 탐색, 이해, 수용, 중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실험군에게 주 3회 1회에 100분씩 총 6회기로 진행하였다. 죽음 불안은 Collette와 Lester[28]가 개발하고 서[20]가 수정 번안한 죽음불안척도(Fear of Death and Dying Scale)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임종 간호태도는 Frommelt와 Katherine[8]이 개발한 임종간호태도척도(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를 본 연구자가 번역한 후, 영어 전공자 2인이 역으로 번역하였고, 성인간호학 교수 2인, 정신간호학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Windows (versio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가설검증을 정규성 검증,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실험 전 후 차이는 paired t-test,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간호대학생의 죽음불안 정도(범위 $35{\sim}160$)는 90.89점이었고, 임종간호태도 정도(범위: $30{\sim}120$)는 86.78점이었다. 2. 제 1가설 '죽음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죽음불안 정도가 죽음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2.11, P<.05). 3. 제 2가설 '죽음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임종 간호 태도 정도는 죽음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긍정적으로 높을 것이다'라는 제 2가설은 지지 되었다(t=2.99, P<.01). 결론: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죽음불안 정도를 낮추고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임상간호사와 호스피스 대상자 및 가족에게 적용할 필요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한국과 중국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의식 (The Death Orientation of nursing students in Korea and China)

  • 이진숙;최화숙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8권1호
    • /
    • pp.1-12
    • /
    • 2008
  • 목적: 한국과 중국 간호대학생의 죽음의식을 조사하여 죽음교육과정설계에 간호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내용이 반영되도록 기여하고 간호교육 및 임상간호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7년 3월19일부터 3월23일 사이에 한국 E대학교 간호대학생 248명과 중국 Y대학교 간호대학생 244명 총 49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Thorson과 Powell(1988)의 죽음의식도구를 박석춘(1992)이 번안하여 사용했던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는 기술통계 방법을 사용하고, Cronbach Alpha Coefficient, 요인분석, t-test, ANOVA 및 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한국 간호대학생은 반수이상(58.5%)이 종교가 있는데 비해 중국 간호대학생은 거의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93.9%). 죽음경험이 한국 간호대학생(66.9%)보다는 중국 간호대학생이 많았다(76.6%). 사후세계유형에서 한국 간호대학생은 '사람이 죽으면 천국이나 지옥중의 한곳으로 간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제일 많았고(27.3%),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될 것인지 통 모르겠다'가 2위로 나타났다(22.9%). 중국 간호대학생은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될 것인지 통 모르겠다'가 제일 많고(30.3%), '사람이 죽으면 그것으로 끝이고 사후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29.5%). 2. 죽음의식은 한국 간호대학생이 평균 2.36점, 중국 간호대학생이 평균 2.50점으로 죽음에 대한 염려, 불안, 두려움이 중간수준이었으며 중국 간호대학생이 한국 간호대학생보다 높았다(t=3.51,p=.000). 3. 한국 간호대학생의 죽음의식은 연령(t=3.20, p=.002), 종교(t=2.56, p=.011), 사후세계(F=4.64, p=.000)에 대한 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죽음의식에 대한 기여도는 사후세계변수가 수량화범위 0.735(p=.000)로 나타났다. 중국 간호대학생의 죽음의식은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내세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죽음의식이 제일 긍정적이므로 영적간호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한편 중국 간호대학생은 한국 간호대학생보다 죽음을 더 의식하고 죽음에 대한 염려, 불안, 두려움이 더 높게 나타났으므로 간호교육과정의 비교검토를 통해 한국의 죽음교육내용을 참고하고 중국의 정치, 문화와 사회제도에 알맞은 죽음교육을 해야 된다고 하겠다. 죽음의식은 사후세계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육 및 실무에 적용을 제언한다.

  • PDF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on Korean Hospice Volunteers: Motivation, Death Anxiety, and Communication with the Dying

  • Woo, Hee Young;Yeun, Young R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2호
    • /
    • pp.58-64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완화 돌봄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돌봄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서울 소재 S 종합병원에 등록되어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71명을 A 군(실험군, 34명) 또는 B 군(대조군, 37명)에 배정하였다. A 군에게는 2주 동안 주 3회, 총 6회기, 1회 3시간의 16개 내용으로 구성된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A군과 B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나타내었으며, 두 군 간의 일반적인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은 Chi-squire test와 t-test로 검정하였다.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t-test로 검정하였다. 결과: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t=2.341, P=0.022), 죽음 불안(t=-2.166, P=0.034)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t=2.808, P=0.006)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를 향상시키고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키에르케고르의 절망의 형태와 삶의 단계의 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of the Types of Despair with the Stages of Life in Kierkegaard's Thought)

  • 임규정
    • 철학연구
    • /
    • 제105권
    • /
    • pp.351-372
    • /
    • 2008
  • 이 글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 단계와 절망의 형태의 대응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키에르케고르의 철학적 심리학의 주제는 절망과 불안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다루었고, 불안은 "불안의 개념"에서 다루었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망과 불안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을 통해서 인간 실존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키에르케고르의 인간 이해를 위해 먼저 그의 절망 개념을 주로 다루고, 불안에 관해서는 절망의 이해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선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논구하고자 한다. 절망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물론 "죽음에 이르는 병"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의 방법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지만, 추상적인 이해에 그칠 염려가 있다. 왜냐하면 키에르케고르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필연성과 가능성과 같은 서로 대립되는 요소로 구성되는 자기의 존재론적 틀을 통해서 절망의 여러 형태를 추상적으로 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절망에 대한 이런 추상적 설명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것이냐 저것이냐", "두려움과 떨림" 등과 같은 저서들에 나오는 여러 실존의 양상들과 절망의 형태를 대비하면서 논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절망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언뜻 보기에 관련이 없는 듯이 보이는 키에르케고르의 여러 저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논자는 절망의 형태와 실존 단계에 대한 키에르케고르의 이해를 밝히고자 한다.

노인의 사회적 환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Environment of Elderly)

  • 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3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사회적 환경을 알아보고 한국의 노인생활 실태와 노인정책의 효율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통계청과 국민연금공단 및 보건복지부의 자료를 참고하였고 2014년 6월 일부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증과 죽음불안을 설문조사하여 통계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저학력이 많고 부부가구가 가장 많으며 연간소득은 경제인구의 평균수준이었다. 둘째, 매년 의료비는 노인인구 증가에 비례하여 늘어나고 있다. 셋째, 노인의 우울 요인은 미래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생각으로 인한 우울감이 가장 높았다. 넷째, 노인의 죽음 불안 수준은 자신의 죽음 불안과 자신의 죽음과정의 불안이 중간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인 죽음 불안 수준도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 등 다양한 전문영역에서 입증된 사회참여 프로그램과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정부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시행하여 노인들의 여명수명의 삶의 질 향상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도모가 필요하다.

  • PDF

노인의 종교활동 참여가 자기존중감 및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ir Death Anxiety, Self Appearance and Life Quility by the Religious Activities of the Aged)

  • 문태언;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3호
    • /
    • pp.115-120
    • /
    • 2012
  • 본 연구는 자기 존중감을 매개로 노인의 종교 활동이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행복한 노후를 위해 적절한 종교의 활동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며 복지관, 경로당, 노인대학등에 참여하는 만 65세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부적절한 35부를 제외한 265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17.0과 AMOS 7.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생활유형과 자기존중감, 죽음불안과 삶의 질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종교생활유형과 삶의 질, 자기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죽음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종교와 자기존중감, 죽음불안과 삶의 질의 차이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의 지수가 긍정적으로 나타나 각 변수들간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종교 활동참여가 자기존중감,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연관이 있음을 검증하기 위해 경로모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GFI, AGFI, CFI 등이 .80이상으로 나타나 연구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 PDF

로그라이크 게임에 나타난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 연구 (Mechanism of Permanent Death in Rogue-like Games)

  • 안진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3-4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로그라이크 게임에서 파생된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고찰하고 해당 매커니즘이 가져오는 독특한 플레이 양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게임에서의 일반적인 죽음의 과정과 영속적 죽음의 과정을 비교 분석했으며 이후 영속적 죽음의 과정이 게임의 플레이와 리플레이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았다. 영속적 죽음은 캐릭터의 부활 가능성이 없다는 점에서 극도의 긴장을 유발하는 플레이 사이클을 구축한다. 이러한 치명적 패널티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죽음을 유예하기 위한 선택적 플레이를 야기하지만 이후 플레이어의 숙련된 스킬을 바탕으로 자신의 선택을 수정하고 대안적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리플레이로 이어진다. 신중한 선택과 대안적 플레이를 요하는 영속적 죽음의 매커니즘을 통해 진지한 고민을 담을 수 있는 게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중환자실 환자의 입원시 불안정도와 영향요인 (The Level of Anxiety and Relating Factors of ICU Patients)

  • 한경신;박영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5-166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level of anxiety and relating factors of ICU patients as the hospitalization in ICU grows more recentl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st to August 31st, 200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101 ICU patients who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S hospital, C city. The instruments of the research were consisted of 14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20 items of STAI, VAS, 24 questions for the anxiety relating factors. An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for group difference and correlation with SPSS Win 10.0 program.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e study: 1. In the anxiety level, mean score on STAI was 53.7(item mean $2.69{\pm}.83$), and mean score on VAS was 5.23. It means that the anxiety level of ICU patients was moderate. 2. Among the relating factors of anxiety, the most highest scores were 'by seeing other patient's emergency situation' and 'by seeing other patient's death' figured 3.85 and 3.79 each. And the lowest marks were 'by the unkind behavior of doctors and nurses'(2.13) and 'nurses' or doctors' indifferent actions'(2.21). And the anxiet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 was the highest (3.17) and the anxiety regarding to the human relationship was the lowest (2.53). 3. In the anxiety level STAI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atients who didn't have to take care of their family showed more anxiety than who had to take care of their family(t=-2.38, p=.02). And the variables tha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VAS was sex and women's anxiety was higher than men's level (t=-2.56, p=.01). 4. When the physical anxiety level was compared, the patients who had to take care of their family showed more anxiety than the people who didn't have to take care of their family(t=-1.95, p=.05). In the level of anxiety relating the human relationship, the patients who had religion showed more anxiety than patients who didn't(t=2.43 p=.02). And the married patients(t=2.43, p=.01) and more educated people(F=3.77, p=.01) showed more anxiety. Even though environmental anxiety was the highest factor, it was not significant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5. The anxiety and relating factors showed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physical anxiety factor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 with STAI(r=.21, p<.01). And VAS level showed stronger relation with every factor of the anxiety than STAI. When the VAS level became higher, the anxiety relating to physical factor(r=.72, p<.01), human relationship(r=.63, P<.01), and environment became higher.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the environmental anxiety was the highest level than other factors in ICU patient and thus the environmental nursing intervention becomes very important in ICU. Also nurses in ICU have to support the patients wh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this study and try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the anxiety of patients. And it is recommended that VAS is convenient and practical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anxiety level in ICU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