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radical capacit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Antiradical Capacities of Perilla, Sesame and Sunflower Oil

  • Hong, Sun-Hee;Kim, Mi-Jin;Oh, Chan-Ho;Yoon, Suk-Hoo;Song, Yeong-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51-56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erilla and sesame oil that Koreans traditionally consume.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il and its hexane/70% methanol extracts (ME) are used and for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E are used. Unrefined perilla oil, sesame oil, and refined sunflower oil are used. The yields for ME of perilla, sesame and sunflower oil are 0.57, 0.61, and 0.30%, respectively, and the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in ME of corresponding oil are 18.77, 88.64 and $0.05\;{\mu}g$ tannic acid/mg, respectively. $IC_{50}$ for DPPH scavenging activity of perilla, sesame and sunflower oil are 2.12, 1.91, and 3.35 mg/mL, respectively and those for ME of corresponding oils are 0.42, 0.07, and 43.11 mg/mL, respectively. In DPPH assay, the solvent used for oil sample is iso-octane and that for ME is methanol.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y of ME of perilla, sesame and sunflower oil tested at 1 mg/mL concentration are 21.10, 13.25, and 3.14%, respectivel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ose samples tested at 1 mg/mL concentration are 86.08, 93.30, and 93.17%, respectively. In summary, the refining process seems to remove the phenolic compound during oil processing. Antiradical substances in perilla and sesame oils responsible for scavenging DPPH radicals are present in the methanol fraction, while the antiradical substances in the sunflower oil are in the lipid fraction. DPPH scavenging activity of ME of sesame oil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erilla oil (p<0.05). However, superoxide anion scavenging capacity of ME of perilla oil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at of both sesame and sunflower oils (p<0.05).

방사선 조사에 의한 Phytic Acid의 분해특성 및 항산화 활성 (Radiolytic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hytic Acid by Gamma Irradiation)

  • 박희라;이철호;안현주;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52-1256
    • /
    • 2004
  • 방사선 조사에 의한 phytic acid의 분해특성 및 항라디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hytic acid를 수용액 모델에서 방사선 조사(0∼20 kGy) 후 기존 항산화제(ascorbic acid, tocopherol, BHA)와의 항산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phytic acid의 조사분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분해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phytic acid의 농도에 따라 방사선에 의한 영향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phy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사선 조사분해 정도가 감소하였다. 항산화 특성의 측정 결과, 방사선 조사된 phytic acid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형성되었으며, 조사선량 및 phy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동안 유지산패의 억제효과는 기존 항산화제보다 phytic acid의 항산화성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지 혹은 다소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시 phytic acid의 조사분해와 동시에 항산화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뽕나무 품종별.시기별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 분석 (Anti-oxidative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Varieties and Maturity Stages in Mulberry Leaves and Fruits)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2-67
    • /
    • 2005
  • 장려뽕 16 품종에 대한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을 시기별로 채취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장치(munilum L-100, ABCD GmbH) 및 ARAW-KIT(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를 사용하였으며, ascorb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하였다. 시료의 항산화능과 분석에 소요되는 전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80% MeOH, 30 sec. vortex mixing 방법을 기준 전처리 방법으로 하였다. 16품종 전체의 뽕잎에 대한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5개엽기의 어린 뽕잎의 항산화능은 3303.4 nmol로 높았으며, 오디가 착색되기 직전 3708.0 nmol으로 최대 값을 나타낸 후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 및 하벌 후 점차 증가 하다가 뽕잎이 경화되기 직전 춘기 어린 잎 정도의 항산화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이 높은 뽕잎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5월 하순에 채취하는 것이 수율도 높아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생과 또는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오디를 수확한 후 남은 뽕잎의 이용도 충분히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벌 전에 뽕잎의 수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뽕잎 수확 후 저장하는 방법보다 시기에 따른 뽕잎 자체의 성숙 정도가 뽕잎의 항산화능을 결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Optimization of the Extraction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from Argania spinosa Leav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Rajaa Moundib;Hamadou Sita;Ismail Guenaou;Fouzia Hmimid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83-90
    • /
    • 2023
  •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aiming to optimize the extraction condition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TP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TFC) from Argania spinosa leav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ith a Box-Behnken design (BBD). The optimal conditions obtained were 5% (w/v) solvent-to-solid ratio, 72.33% ethanol concentration, and 10h ours as an extraction time, which resulted in an extract with maximum TPC (131.63 mg GAE/g dw) and TFC (10.66 mg QE/g dw). Under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leaves of argan tree showed a moderate antiradical capacity of DPPH (IC50 = 0,130 mg/mL) and ABTS (IC50 = 0.198 mg/mL). However, the leaves of argan tree showed a very interesting reducing power of Iron (IC50 = 0.448 mg/ml)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ascorbic acid (IC50 = 0.371 mg/mL).

티트리 에센셜오일의 생물활성 및 주요 성분 분석 (Bio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 양선아;전상경;이은정;임남경;정지영;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44-1650
    • /
    • 2008
  •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호주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피부 소독제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효과와 주요성분 등 많은 보고가 있으나 추출 방법이나 사용 부위 등에 따라 효능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 등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판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효능을 평가하여, 다른 에센셜 오일과의 비교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티트리 오일의 주요성분은 GC-MS 분석에 의하여 ${\beta}$-terpinene (20.87%), ${\alpha}$-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limonene (4.65%)으로 밝혀졌으며, 5% 이하의 농도에서 3시간 미만까지는 피부세포에 독성이 없었다. 오일의 라디컬 소거능을 알아본 결과, DPPH와 ABTS의 양라디컬에 대하여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어 강한 항산화능을 시사했다. 또한, 오일의 direct contact와 vapor-phase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법으로 스크리닝 한 결과, direct contact 활성의 경우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vapor는 S. aureus에 대하여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많이 사용되는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생물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허브 오일들의 정확한 선택과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결과를 얻었다.

라벤더, 실버퍼, 그레이프후룻 정유 흡입이 마우스의 구속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haling Essential Oils from Lavender, Silver Fir, Grapefruit on the Restraint Stress in Mice)

  • 양선아;전상경;이은정;임남경;심창현;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30-1234
    • /
    • 2010
  • 천연 허브에서 추출된 정유의 스트레스 완화능이 알려지면서 화장품, 식품 산업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제품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유 향 흡입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구속 스트레스에 대한 3가지 정유의 흡입 효과를 비교 하였다. 마우스를 1시간 구속한 경우 혈청 코티졸 농도의 유의적인 상승, 체온의 저하 및 혈중 중성지질의 상승을 확인하였으며, 10% 라벤더 오일을 30분간 흡입 한 경우, 혈청 코티졸 농도 상승 및 체온 저하가 유의적으로 억제되어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가장 좋았다. 한편 혈중 중성지질의 증가 억제효과는 실버퍼 오일 흡입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폭넓게 사용되는 정유를 이용하여 정유 향 흡입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측정 함으로서 앞으로의 연구와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