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substance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2초

Cordycepin이 orotic acid 유발 지방간 흰쥐의 과산화 지질 농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Tissues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Model Rats)

  • 안희영;차재영;허수진;강민정;이재홍;박상현;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07-1414
    • /
    • 2011
  • 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분말을 식이 중에 각각 3% 수준으로 첨가하여 10일간 흰쥐에 급여한후 임상생화학적 특성 및 조직 내 항산화 활성 및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 섭취량은 각 실험군 모두 감소 하였으나, 음료섭취량은 증가하였다. 간 손상 임상지표인 AST, ALT, LDH, ALP 활성도 각 실험군 모두 저하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간 조직의 상대 중량도 감소하였다. 각 조직과 혈청의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분말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간장 조직 내에서 높은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조직 내 항산화물질로 잘 알려진 glutathione농도 또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간장 내 지방산화를 촉진하는 Fe와 생체내 항산화물질로 잘 알려진 Zn을 측정한 결과 동충하초 첨가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항 동맥경화 작용 뿐만 아니라 간 조직 내 항산화 물질 증가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킴으로써 향후 간 독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서목태 주정 추출물이 DOPA 산화와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ynchosia Nulubilis Ethanolic Extract on DOPA Oxidation and Melanin Synthesis)

  • 김재련;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1-338
    • /
    • 2018
  • 멜라닌은 생체 내에서 발모 및 피부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분자 물질이다. 하지만 활성산소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멜라닌은 노화와 관련된 기미, 주근깨와 과색소 침착증 등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된 천연물 중 서목태 성분의 하나인 polyphosphate는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노화를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멜라닌 합성에 대한 RNEE의 직접적인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RNEE는 DPPH radical의 소거효과 및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TT 실험을 수행한 결과, RNEE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RNEE는 tyrosinase 활성과 DOPA-oxidation 실험 결과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RNEE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L-DOPA에 의한 유발되는 melanin생성 촉진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melanin 생성을 감소시킨 대조군과 비교시 과산화수소 전처리 후 RNEE를 처리한 군에서는 melanin 생성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RNEE는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단백질발현도 대조군과 비교시 $16{\mu}g/ml$의 농도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uperoxide anion을 과산화수소로 변환시키는 SOD-3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16{\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인 ${\alpha}$-MSH보다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는 서목태가 흑모와 관련 있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기능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산죽잎으로 부터 추출한 항산화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Extracted from Leaves of Sanjook(Sasa boreails var. chiisanensis))

  • 유미영;박성희;강용모;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96-801
    • /
    • 2005
  • 국내산 산죽잎을 methanol로 추출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안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산죽잎 메탄올 추출물은 0.1 mg/l에서 0.8m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IC_{50}$ 값은 $583{\mu}g/ml$, SOD 유사활성능에 대한 $IC_{50}$값은 $800{\mu}g/ml$, hydrogen peroxide 소거능에 대한 $IC_{50}$값은 $38{\mug}/ml$이 었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BHT의 각각 의 $IC_{50}$값은 $271{\mu}g/ml,{\;}680{\mu}g/ml,{\;}30{\mu}g/ml$이었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자동산화 억제능은 상기 농도 범위에서 $55\∼6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pH 안정성은 pH 6에서 안정하였으나 산성이나 알카리성으로 갈수록 pH 안정성은 떨어졌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열안정성은 $0^{\circ}C$에서 $120^{\circ}C$의 온도범위에서 $80\%$ 이상의 항산화능을 유지하였다.

난소 절제 흰쥐의 혈청 콜레스테롤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비타민 E와 비타민 C의 효과 (The Effects of Vitamin E and C on Serum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enzyme in ovariectomized rat)

  • 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54-261
    • /
    • 2000
  • 난소를 절제한 female rat에 Vit C. Vit E, Vit C와 Vit E를 복합적으로 투여했을 때 rat의 간 조직 의 손상 정도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관찰하기 위해 체중 150$\pm$10g이 되는 female rat에 100mg/kg 함 량의 각 실험 물질들을 이틀에 한 번 두달 간 복강내로 투여한 뒤 간 조직 중 과산화지질량 및 항상화 효소인 SOD, catalase, 총 glutathion 량 및 Glutathion peroxidase의 활성도를 측정함으로써 항산화계의 변화 및 생리 활성 변화를 살펴 보았다. 1. 간, 신장 조직 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은 노화군(Ovx)이 정상 군(Sham)에 비해 각각 1.78배, 1.61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각 비타민 투여군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과산화질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 혈청 중 총 cholesterol 량은 노화군(Ovx)이 정상군(Sham)에 비 해 2.57배 높게 나타났다. 각 비타민 투여군은 노화군에 비해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Ovx+Vit C 군의 경우는 94%정도의 억제율을 보였다. HDL-cholesterol은 노화군(Ovx)이 정상군(Sham)에 비해 36.7% 감소하였다. 각 비타민 투여로 HDL-cholesterol 함량이 좋은 수준으로 증가되었고, Ovx+Vit Erns은 노화군보다 2.52배 높게 나타났다. 동맥경화지수도 Ovx+Vit E 군이 아주 낮게 나타났다. 3. 간 조직 중 SOD 활성도는 노화군(Ovx)이 정상군(Sham)보다 5.3배 높게 나타났고, 각 비타민 투여로 free radical 생성이 억제되어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도를 감소시켰다. 간 조직 중 catalase 활성도는 노화군 (Ovx)이 정상군(Sham)보다 1.58배 정도 높게 나타났는데, 각 비타민 투여로 catalase 활성도가 낮아졌 고, Ovx+Vit E 군은 탁월한 감소 효과를 보였다. 4. 간 조직 중 총 glutathion의 활성도는 정상군 (Sham)이 노화군(Ovx)에 비해 1.22배 정도 높게 나타났고, 각 비타민 투여군 중 Ovx+Vit Erns의 경우 간 조직 중 총 glutathionfid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조직 중 reduced-glutathion (GSH)함량과 총 glutathion 량에 대한 oxidized-glutathion (GSSG)의 비율, 또한 Ovx+Vit E 군의 수치가 가장 높게 나 타났다. Vit E가 항산화에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Px의 활성 수치는 그 다지 유의 한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PDF

마늘즙 또는 양파즙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저장 중 지방 산화, 총 미생물수 및 아질산염잔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Addition on the Lipid Oxidation, Total Plate Count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박웅렬;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12-618
    • /
    • 2009
  • 유화형 소시지에 마늘즙과 양파즙을 각각 1%와 3%를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면서 pH, peroxide value, TBARS, 총 미생물수 및 아질산염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마늘즙과 양파즙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마늘즙 1% 첨가구는 T1, 마늘즙 3% 첨가구는 T2, 양파즙 1% 첨가구는 T3 및 양파즙 3%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0, 7, 14 및 21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였고, 마늘즙 첨가구는 양파즙 첨가구보다 낮았으며, 대조구의 pH가 가장 높았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고, 마늘즙과 양파즙의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마늘과 양파를 첨가한 유화형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마늘과 양파즙이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마늘이 양파보다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마늘즙과 양파즙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TBARS값은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마늘즙 3% 첨가구인 T2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2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많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마늘즙 3% 첨가구는 산화 및 미생물 성장 억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OTENTIAL OF NIRS FOR SUPPORTING BREEDING AND CULTIVATION OF MEDICINAL AND SPICE PLANTS

  • Schulz, Hartwig;Steuer, Boris;Kruger, Hans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162-1162
    • /
    • 2001
  • Whereas NIR spectroscopy has been applied in agriculture for more than 20 years, few studies refer to those plant substances occurring only in smaller amounts. Nevertheles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today to support efficiently activities i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medicinal and spice plants by this fast and non-invasive method. Therefore, it was the aim of this study to develop new NIR methods for the reliable predi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found as valuable substances in various plant species. First, sophisticated NIR methods were established to perform fast quality analyses of intact fennel, caraway and dill fruits deriving from single-plants [1]. Later on, a characterization of several leaf drugs and the corresponding fresh material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In this context robust calibrations have been developed for dried peppermint, rosemary and sage leave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ir individual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2]. A specially adopted NIR method has been developed also for the analysis of carnosic acid in the leaves of numerous rosemary and sage gene bank accessions. Carnosic acid is an antioxidative substance for which several health promoting properties including cancer preservation are assumed. Also some other calibrations have been developed for non-volatile substances such as aspalathin (in unfermented rooibos leaves), catechins (in green tea) and echinacoside (in different Echinacea species) [3]. Some NIR analyses have also been successfully performed on fresh material, too.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se measurements showed less accuracy in comparison to dried samples, the calibration equations are precise enough to register the individual plant ontogenesis and genetic backgroun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e farmers and breeders are able to determine the right harvest time (when the valuable components have reached their optimum profile) and to select high-quality genotypes during breeding experiments, respectively. First promising attempts have also been made to introduce mobile diode array spectrometers to collect the spectral data directly on the field or in the individual natural habitats. Since the development of reliable NIRS methods in this special field of application is very time-consuming and needs continuous maintenance of the calibration equations over a longer period, it is convenient to supply the corresponding calibration data to interested user via NIRS network. The present status of all activities, preformed in this context during the last three years, will be presented in detail.

  • PDF

구절초와 남구절초의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수확시기의 영향 (Effect of Harvest Date on Antioxidant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and D. zawadskii var. yezoense (Maek.) Y.M. Lee & H.J. Choi)

  • 우정향;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8-133
    • /
    • 2008
  • 구절초와 남구절초의 수확 시기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절초와 남구절초를 생육초기(5월 9일), 중기(7월 17일) 그리고 생육 후기(9월 3일)에 각각 수확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radical 소거활성 및 항산화 물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식물체의 수분 함량과 추출 수율이 낮아졌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이른 시기에 수확한 시료일수록 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구절초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생육 초기에 수확한 시료가 $0.128mg\;{\cdot}\;mL^{-1}$$RC_{50}$값을 나타내 $BHT(RC_{50}=0.121mg\;{\cdot}\;mL^{-1})$와 비슷한 소거능을 보였고, 생육 초기에 수확한 남구절초와 구절초는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보다도 높은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Fe^{2+}$ chelating 효과의 경우, 구절초를 생육 후기에 수확하는 것이 초기나 중기에 수확하는 것 보다 높았으며, EDTA에 비해서도 훨씬 낮았다. 두 종 모두 수확 시기가 빠를수록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생육 초기에 수확한 구절초와 남구절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79.93 및 $75.10mg\;{\cdot}\;g^{-1}$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57.84, $54.91mg\;{\cdot}\;g^{-1}$)에 비해 높았다.

녹양보탕의 항피로 및 항산화작용 (Anti-fatigu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Nokyangbotang)

  • 김창종;김현준;이윤혜;이연아;이정근;문성원;박진형;장용운;조중형
    • 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4-231
    • /
    • 2000
  • $Nokyangbotang^{TM}$ (NYBT) is a kind of powerful food for health and have been drunk at a oral dose of 80 ml (99.5 mg) three times per day: It has not been well studied about the anti-fatigu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In this experiments, we evaluated pathophysiologically the effect of NYBT on swimming time in mous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in rats intoxicated with carbon-tetrachloride. NYBT was nontoxic in orally acute toxicity test ($LD_{50}$, 320 ml/60 kg): a nontoxic food in more four times of one-shoot dosage (80 ml) to human. Weight-loaded forced swimming 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swimming time of mice with a 4% load of body weight in plastic cylinder (diameter $10{\;}cm{\;}{\times}{\;}height{\;}20{\;}cm$) on water bath at $25^{\circ}C$, and the anti-fatigue activity represented the ratio of swimming time of experimental group to that of control group. NYBT had dose-dependent anti-fatigue activity Mice administered NYBT at a dose of 320 ml/60 kg once daily for 5 days could swim about two times more than control.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NYBT were examined by the determination of malonedialdehyde (MDA) and pathological survey in liver and liver function test of rat intoxicated with $CCl_4$ at i.m. dose of 2 ml/kg once daily for 7days. NYBT decreased dose-dependentl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Oral administration of NYBT at a dose of 20 ml/60 kg was $38.51{\;}{\pm}{\;}3.02$ nmol MDA/g of tissue, that of 80 ml/60 kg was $33.76{\;}{\pm}{\;} 1.84$ nmol MDA/g of tissue, and that of 320 ml/60 kg was $32.87{\;}{\pm}{\;}1.90$ nmol MDA/g of tissue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3.61{\;}{\pm}{\;}2.85$ nmol MDA/g of tissue). All rats administered NYBT at a dose of 320 ml/60 kg were survival as compared with 40% survival of control animals, and GPT activity of rats administered NYBT at a dose of 80 ml/60 kg was de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In histopathological survey, NYBT improved slightly the fatty changes of hepatocytes around centrilobular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NYBT has anti-fatigue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in rats and mice.

  • PDF

다양한 추출방법으로 조제된 스테비아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tevia Leaf Extracts Prepared by Various Extraction Methods)

  • 김재훈;성낙윤;권선규;정필문;최종일;윤요한;송범석;윤태영;기희진;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13-318
    • /
    • 2010
  • 본 연구는 추출처리 방법별 스테비아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스테비아 추출물은 열수(HWE), 발효(FHWE) 및 감압(VE)추출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추출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FRAP) 및 지방산화 억제능을 통하여 알아본 항산화능의 평가는 감압처리되어 추출된 스테비아 추출물(VE)의 경우 그 활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3가지 추출물 모두, 동일 농도에서 stevia의 주요한 활성성분인 stevioside와 rebaudioside보다 항산화활성이 월등히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항산화능의 증가에 관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phenolic compounds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감압(VE)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감압(VE) 처리 방법은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스테비아 추출물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처리공정이라 사료된다.

구기자(Lycii fructus)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고혈압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of Lycii fructus Extracts)

  • 조영제;천성숙;차원섭;박준희;이경환;김정환;권효정;윤소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308-1313
    • /
    • 2005
  • 구기자를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항산화와 항고혈압효과를 탐색하였다. 구기자 추출물의 폴리 페놀함량은 물 추출물과 에탄을 추출물에서 9.5 mg/g과 8.7 mg/g으로 나타났으며, HPLC에 의한 Polyphenol 화합물을 분리한 결과 물 추출물과 $60\%$ 에탄올에서 1.7 mg/g과 1.3 mg/g으로 chlorogen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항산화효과 실험 중 DPPH는 물 추출물에서 $92.6\%$, 에탄을 추출물에서 $88.8\%$으로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으며, ABTS 측정에서는 물 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의 $52.8\%$보다 높은 $76.7\%$로 나타났다. PF는 물 추출물과 에탄을 추출물에서 각각 1.1과 1.0으로 나타났으며, TBARS값은 에탄을 추출물이 $1.5{\times}10^{-3}\;{\mu}M$ 로 대조구 $1.5{\times}10^{-3}\;{\mu}M$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어 산화촉진인자를 binding하는 능력이 물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 활성은 물 추출물에서 $75.1\%$가, 에탄올을 추출물에서 $71.8\%$의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구기자추출물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