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besit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8초

체중조절 기전과 항비만 기능성물질 (Weight Control Mechanisms and Antiobesity Functional Agents)

  • 안인숙;박건영;도명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03-513
    • /
    • 2007
  • The obese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and obesity has become one of the socioeconomic problems. Obesity raises more concerns as more studies regarding its direct and indirect relativity to several diseases such as type II diabetes, hypertension, etc. are published. Since leptin, an important signal in the chronic control of food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was discovered in 1994, there has been a great accumulation of knowledge on fighting obesity by facilitating pharmacological and nutritional strategies on the molecular level of the body weight control system. In particular, evidences are accumulating that particular food components affect our physiological function and gene expressions which are associated with body weight control. In this study, we review the four mechanisms for weight control and antiobesity functional agents such as HCA, L-carnitine, CLA, chitosan, calcium supplements capsaicin contained in red pepper, and oriental herbal mixture. We also describe about the efficacy and working mechanism of these functional agents on the basis of antiobesity mechanisms.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 황초롱;강민정;심혜진;서화진;권오운;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5-172
    • /
    • 2015
  •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치자, 홍화황 및 아나토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2,441.45 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향 추출물에서 1,346.48 mg/kg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감 추출물에서 ($IC_{50}=22.83{\mu}g/mL$)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오배자 추출물에서 높았다. ${\alpha}$-Amylase 및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 역시 감 추출물 처리 시 각각 49.45% 및 61.0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mu}g/mL$ 농도로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율은 감, 정향 및 아나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각각 81.54%, 83.36% 및 85.70%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은 정향 추출물 처리군이 66.1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감 추출물 처리 군에서 88.8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천연식물류로부터 추출한 색소 원료 중 오배자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감 추출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과 3T3-L1 세포 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농가소득 창출을 위한 식용식물의 항산화, 항염, 항혈전 및 항비만 효과 탐색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in Cultured Edible Plants to Increase Farm Income)

  • 이선혜;김남석;최봉겸;박연희;김정봉;장환희;황유진;최정숙;이성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9-43
    • /
    • 2017
  • We studied the antioxidant, the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seven different kinds of edible pla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as a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NO production inhibition by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was carried out to assess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mbin inhibitory activity was measured for its antithrombotic function and inhibition of 3T3-L1 cell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as a measurement of antiobesity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n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determine functional materials in medicinal plants.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 and hairy agrimony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C_{50}$) of less than $100{\mu}g/mL$. All samples used in this study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Common sage,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showed antithrombotic effects. Hairy agrimony showed the highest antithrombotic effect (98.1%).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y,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showed reduced 3T3-L1 cell differentiation and hooker chives strong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the cells compared to other medicinal plants. Common sage and hairy agrimony contained more than 1 mg GAE/g of phenolic compounds and more than 1 mg CE/g of flavonoids. Functional activities were different by plant part and extraction method from each sam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on sage, Japanese lady belly, hairy agrimony, and hooker chives may be used as healthy food sources wit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and appropriate extracting methods from each plant need to be developed.

구절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Antiobesity Activity of Chrysanthemum zawadskii Methanol Extract)

  • 박정애;진경숙;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06
    • /
    • 2015
  •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항산 화, 항염증, 항균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으나 항비만 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 메탄올 추출물(CZM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ZM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insulin, dexamethasone, 3-isobutyl-1-methylxanthine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이러한 구절초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α, C/EBPβ, 그리고 PPARγ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에서 생성된 지방의 분해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억제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또한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nti-Obesity Effect of Garlic-added Kochujang in 3T3-L1 Adipocytes

  • Kong, Chang-Suk;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66-70
    • /
    • 2008
  • In order to develop a functionally improved kochujang with antiobesity effects, garlic-added kochujang was prepared with freeze-dried garlic powder and followed by fermentation for 60 days at $30^{\circ}C$. Antiobesity effect of the garlic-added kochujang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leptin secretions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obesity-related gene such as TNF${\alpha}$, PPAR${\gamma}$, C/EBP${\alpha}$, and SREBP1c, in cultured 3T3-L1 adipocytes. Fermentation of garlic-added kochujang led to decreased levels of leptin secretions and reduc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PPAR${\gamma}$, C/EBP${\alpha}$, and SREBP1c in the 3T3-L1 adipocytes.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garlic to kochujang has a potential as a valuable functional food for controlling obesity.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검정콩 된장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Soybean Doenjang in C57BL/6 Mice)

  • 김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86-1493
    • /
    • 2017
  • 된장은 콩 발효식품으로 주원료인 콩류에 Bacillus subtilis, Rizopus, Mucor와 Aspergillus specie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를 소금물과 혼합하여 숙성 시킨 한국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정콩 된장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비만 효과의 확인은 혈중 TG, TC, 아디포넥틴과 렙틴의 레벨을 측정함과 동시에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과 PPAR-g의 mRNA와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지방 식이에 검정콩 된장을 첨가한 그룹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인해 증가된 체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혈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과 렙틴의 레벨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 비하여 검정콩 된장을 섭취한 마우스에서 감소하였으며 아디포넥틴의 분비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 생성의 억제로부터 유도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과PPAR-g의 mRNA양과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검정콩 된장을 섭취한 마우스에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검정 콩 된장의 섭취가 지방대사와 지방 전사 인자의 활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검정콩 된장이 비만의 예방과 진행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천연색소 소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Natural Color Resources)

  • 황초롱;탁현민;강민정;서화진;권오운;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33-641
    • /
    • 2014
  • 천연색소로 사용되는 식물류 11종(쪽, 아카시아, 코치닐, 아선약, 포도과피, 태수, 헤나, 국화, 붉은백단향, 대황, 서양꼭두서니)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해 열수 추출 분말을 제조하여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아선약 추출물이 348.23 mg/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환원력도 아선약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 linole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소화효소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93.93%로 가장 높았고, ${\alpha}$-amylase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64.53%로 가장 높았다. Trypsin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alpha}$-chymotrypsin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4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ip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52.73%로 가장 높았다. 3T3-L1 세포에 대한 지방 축적률은 아선약 추출물이 55.8%로 가장 낮아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물류 색소원료의 중 아선약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분해효소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페놀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아선약 추출물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이 되며 그와 관련된 메커니즘 연구는 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obesity Effect of Major Korean Spices (Red Pepper Powder, Garlic and Ginger) in Rats Fed High Fat Diet

  • Yoon, Ji-Young;Jung, Keun-Ok;Kil, Jeung-Ha;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58-63
    • /
    • 2005
  • Commonly used spices in Korean cooking (red pepper powder, garlic, ginger) were evaluated for anti-obesity properties and effects on triglyceride (TG) and cholesterol in blood and adipose tissues in rats fed a high fat (20%) diet. SD rats were raised for four weeks on either a normal diet (ND, based on the AIN-93M diet), high fat diet (HFD, supplemented with 16% lard oil in the ND), or diets containing 5% red pepper powder (RPP), garlic or ginger. These spices significantly decreased weight gain compared to HFD, but garlic and ginger showed a greater effect on reducing weight gain than RPP. The weights of liver and epididymal and perirenal fat pads in garlic and ginger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HFD groups (p < 0.05). The garlic and ginger also decrease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tents in liver and epididymal and perirenal fat pad, reversing the higher levels seen in HFD. RPP, garlic and ginger supplemented diets were effective in lowering serum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p< 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arlic and ginger more effectively suppressed the effects of HFD on body fat gain and lipid values of adipose tissues and serum than RPP.

흰쥐에서 개량식 고추장과 발효 밀쌀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Commercial Kochujang and Fermented Wheat Grain Products in Sprague-Dawley Rats)

  • 김종희;임양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41-649
    • /
    • 2014
  • The antiobesity effect of commercial kochujang and fermented wheat grains in Sprague-Dawley (SD) rats was studied.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6 groups. Normal, high fat diet (HFD), HFD+raw wheat grains, HFD+first fermented wheat grains (FFWG, with Aspergillus oryzae) HFD+final fermented wheat grains (FiFWG, fermented more for 30~40 days), and HFD+ commercial kochujang. The results showed that final body weight,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and adipose tissue weight were markedly decreased by the commercial kochujang and the fermented wheat grains, whereas non-fermented raw wheat grains had no such effect. Lipid contents such as total lipid, total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decreased in the serum and organs of liver and adipose tissues by the commercial kochujang and the fermented wheat grains as well. Thes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fermented wheat grains exhibited more suppressive effects on high fat induced-obesity than raw wheat grains. Increased fermentation time and adding the red pepper powder resulted in increased the anti-obesity effect. Especially, commercial kochujang showed higher antiobestic effects than fermented wheat grains. These in vivo findings suggested that well-fermented end products of the wheat grains and red pepper powder in kochujang could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