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ony trisulfide colloid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유방암 환자에서 $^{99m}Tc$-Antimony Trisulfide Colloid, $^{99m}Tc$-Tin Colloid, $^{99m}Tc$-Human Serum Albumin을 이용한 감시림프절 매핑 성적의 비교 (Comparison of the Results for Sentinel Lymph Node Mapping in the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99m}Tc$-Antimony Trisulfide Colloid, $^{99m}Tc$-Tin Colloid, and $^{99m}Tc$-Human Serum Albumin)

  • 장성준;문승환;김석기;김범산;김석원;정기욱;강건욱;이은숙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6호
    • /
    • pp.546-552
    • /
    • 2007
  • 목적: 유방암 환자에게 불필요한 액와림프절 전절제술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시림프절을 절제하여 전이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시림프절 매핑을 위한 방사성교질중 antimony trisulfide colloid (ASC), tin colloid (TC), human serum albumin (HSA) 이상의 3가지 교질에 $^{99m}Tc$을 표지하여 각각에서 림포신티그라피, 감시림프절 매핑의 성적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임상적으로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유방암 환자 총 397명에게 시행한 림포신티그라피와 수술 중 감시림프절 절제 동결절편 검사, 및 수술 후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림포신티그라피 영상 소견을 분석하고, 감시림프절의 발견율(identification rate)과 위음성율(false negative rate), 그리고 음성예측도(negative predictive value)를 구하여 각 군의 자료에 대해 Fisher 직접확률법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202명에게는 $^{99m}Tc$ ASC를, 120명에게는 $^{99m}Tc$-TC를, 75명에게는 $^{99m}Tc$-HSA를 사용하였으며 평균 연령, 병기, 원발 종양의 크기 등에서는 각 군별 환자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SE는 59명에게는 유륜부 피내 혹은 피하주사법을 사용했으며 136명에게는 종양주위 주사를, 그리고 7명의 환자에게는 두 가지를 병용하였다. TC와 HSA를 사용한 환자들에게는 모두 피내 혹은 피하주사하였다. 액와림프절 전이는 ASE사용 군에서 33.2%, TC 사용군에서 31.7%, HSA 사용 군에서 22.7%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감시 림프절 발견율(IR) 과 위음성율(FNR) 그리고 음성예측도(NPV) 는 사용한 교질 ASC/TC/HSA 각각에 대해 99.0%, 21.5%, 90.5% / 96.7%, 20.5%, 90.7% / 94.7%, 17.7%, 94.7%로 사용한 교질의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감시림프절 매핑 성적은 방사성교질의 주사방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림포신티그라피의 영상에서 감시림프절이 명확히 구분된 경우는 ASC에서 79.6%, TC 에서 92.5%, HSA에서 88.6%였다. 림프관이 관찰된 비율은 ASC에서 43.6%, TC에서 0.8%, HSA 에서 96.8%이었다. 림포신티그라피에서 관찰된 감시림프절의 개수는 HSA가 가장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ASC, TC 및 HSA등의 방사성교질을 이용한 감시림프절 매핑 성적은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ymphoscintigraphy에 이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사용제한으로 인한 대체 방사성의약품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Substitution Radiopharmaceutical according to Restriction of the Radiocolloids in Lymphoscintigraphy)

  • 서영덕;정재훈;문종운;윤상혁;김영석;강세훈;원우재;김석기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25-29
    • /
    • 2009
  • Purpose: Several radioactive agents were used for lymphoscintigraphy in breast cancer. But recently, due to the change of local radiopharmaceutical licensing policy and discontinuation of supplies from manufacturer, we could not use many radiocolloids such as $^{99m}Tc$-Antimony Trisulfide Colloid, $^{99m}Tc$-Tin Colloid, $^{99m}Tc$-Human Serum Albumin. So it is necessary to use the substitution radiopharmaceutica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ubstitution radiopharmaceutical ($^{99m}Tc$-Phytate) including the existing radiocolloids and to set up of the appropriate protocol in lymphoscintigraphy. Materials and Methods: For each radiocolloids ($^{99m}Tc$-Antimony Trisulfide Colloid (ASC), $^{99m}Tc$-Tin Colloid (TC), $^{99m}Tc$-Human Serum Albumin (HSA), $^{99m}Tc$-Phytate) were performed the particle size by Zeta Sizer (Nano-ZS) and we compared the radiolabeling time, procedure and acquisition time for each of the radiocolloids (total 200 patients). For the last time, we made an analysis of image for each of the radiocolloids with our previous report (SJ Jang et al, Korean Nucl Med Mol imaging Vol.41, No.6, Dec 2007). Results: The particle size of each radiocolloids showed A.S.C (50 nm), T.C (310 nm), H.S.A (10.8 nm), $^{99m}Tc$-Phytate (499 nm). The labeling and acquisition time for each of the radiocolloids showed no substantial difference. But there is difference of the labeling time for the A.S.C. because the ASC procedure need to boiling proc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ose radiocolloids (p>0.005) in the identification rate (IR), false negative rate (FNR),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Conclusions: $^{99m}Tc$-labeled radiocolloids showed equivalent results in lymphoscintigraphy. Therefore, in this exam of each radiocolloids could be applied appropriate protocol in lymphoscintigraph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