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allergy effect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2초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

  • Chang Gyu-Tae;Kim Jang-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391-1398
    • /
    • 2005
  • The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DJW, 大造丸) which consists of 11 kinds of herbs (indicated as ratio) of Rehmanniae Radix 24%, Hominis Placenta 5%, Testudinis Carapax 9%, Eucommiae Cortex 9%, Asparagi Radix 9%, Phellodendri Cortex 9%, Achyranthis Radix 7%, Liriopis Tuber 7%, Angelicae Sinensis Radix 7%, Ginseng Radix 5% and Schizandrae Fructus 3%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from DJW inhibited Platelet-activating factor(PAF)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DJW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r fractionated by ethylacetate. A 70% methanol extract showed a strong inhibition against PAF-induced aggregation in vitro and in vivo assays.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was shown to have inhibitory effect on PAF-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assay.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specially protected against the lethality of PAF, while verapamil did not afford any prot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extracts and alcoholic-fractions inhibit the action of PAF in vivo by an antagonistic effect on PAF, so that it may be useful in treating disorders caused by PAF, such as acute allergy, inflammation, asthma, gastrointestinal ulceration, toxic shock and so forth. DJW was investigated regarding its assumed anti-thrombic action on human platelets which was deduced from its ability to suppress Arachidonic acid(AA)-induced aggregation, exocytosis of ATP, and inhibition of Cyclooxygenase(COX) and Thromboxane synthase(TXS) activity. The latter two effects were estimated from the generat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and Thromboxane $A_2(TXA_2)$ respectively. Exogenously applied AA ($100{\mu}mol/{\ell}$) provoked a $89\%$ aggregation of platelets, the release of 14 pmol ATP, and the formation of either 225 pg $TXA_2$ or 45 pg $PGE_2$, each parameter being related to 106 platelets. An application of DJW 5 min before AA dose-dependently diminished aggregation, ATP-release and the synthesis of $TXA_2$ and $PGE_2$ with $IC_{50}$ values of 74, 108, 65, $72{\mu}g/m{\ell}$, respectively. The similarity of the $IC_{50}$ values suggest an inhibition of COX by DJW as primary target, thus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XA_2$ which induces aggregation of platelets and exocytosis of ATP by its binding on $TXA_2$-receptors.

길경 추출물에 의한 HCT-116 대장암 세포주에서의 autophagy와 apoptosis 유발 효과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the Induction of Autophagy and Apoptosis in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 홍수현;박철;한민호;김홍재;이문희;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44-1251
    • /
    • 2014
  • 길경(桔梗, Platycodon grandiflorum)은 도라지의 뿌리로 항염증, 항알러지, 면역 반응, 당뇨, 고지혈증 및 항암 효과 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길경의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며, 길경이 유발하는 autophagy에 대한 연구는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HCT-116 대장암 세포주에서 길경 추출물이 autophagy와 apoptosis를 유발하면서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길경 추출물은 농도 및 시간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길경 추출물에 의해 나타나는 apoptosis는 caspase의 활성이 부분적으로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길경 추출물의 처리는 autophagy에 의해 나타나는 공포를 형성하면서 autophagy와 관련되어 있는 여러 단백질의 발현 조절 및 LC3 단백질의 축적이 동반되었다. 길경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autophay와 apoptosis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3-MA나 bafilomycin A1을 처리하여 autophagy를 억제하였을 때 apoptosis가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bafilomycin A1을 처리한 결과에서 길경 추출물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가 뚜렷하게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HCT-116 세포에서 길경 추출물에 의해 유도된 autophagy는 세포 보호적인 작용이 아닌 autophagic cell death이며, 길경 추출물이 대장암 세포주에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지버섯 균주별 균사체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 비교 분석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allergic effects of Ganoderma species mycelial extracts)

  • 박영진;남재영;윤대은;권오철;김홍일;유영복;공원식;이창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115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영지버섯 균주의 균사체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 species ASI-7150 (흑영지), G. lucidum ATCC46755 (Canada), G. species ASI-7151 (흑룡), G. lucidum ATCC64251(Taiwan), G. neo-japonicum ASI-7032, 및 G. lucidum ASI-7071 (영지2호)의 균사체 추출물 항산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G. species ASI-7150 (흑영지) 의 균사체추출물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가장 높았다. 항염활성 분석에서는 G. lucidum ATCC64251 (Taiwan)의 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때 NO 생성 저해능이 가장 좋았다. 또한 G. lucidum ATCC64251 (Taiwan)의 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eta}$-hexosaminidase 생성억제율이 가장 좋았다. MTT assay를 통하여 각 영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는 추후에 국내 및 국외 품종 등 다양한 영지버섯 균사체의 약리효과 분석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발효옻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Fermented Rhus verniciflua)

  • 나영아;최미숙;박성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7-14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발효옻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 발효옻에 의한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활성을 평가하여 항비만 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발효옻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9.2{\pm}0.12$ GAE mg/g 및 $20.4{\pm}1.52$ RE mg/g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FRAP, 환원력, ABTS)을 통하여 발효옻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옻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을 붉은색으로 염색시키는 Oil red O 시약을 통해 3T3-L1 지방세포 내 생성된 중성지방의 양을 측정한 결과, 음성대조군에 비해 $300{\mu}g/mL$ 발효옻 추출물 처리군에서 세포 내 지질 축적량이 감소하였으나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에 따른 옻나무의 allergy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식품소재화 하는 연구는 산업적으로 많은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안전성 및 기능성 구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으뜸도라지추출물이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염증매개물질의 분비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a tetraploid 'etteum' variety in Platycodon grandiflorum on degranulation and inflammatory mediator release in RBL-2H3 cells)

  • 정재인;김형서;지한결;이현숙;이재용;김은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08-214
    • /
    • 2018
  • 본 연구는 으뜸도라지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으뜸도라지추출물 (50, 100 및 $200{\mu}g/mL$) 처리에 따른 RBL-2H3 비만세포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으뜸도라지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beta}$-hexosaminidase assay를 통해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재래종도라지추출물과 비교하여 ${\beta}$-hexosaminidase 억제능이 10배 뛰어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으뜸도라지추출물은 RBL-2H3 비만세포에서 탈과립 후 유리되는 대표물질인 IL-4, $TNF-{\alpha}$, $PGE_2$$LTB_4$의 생성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켰고, 이러한 효과는 재래종도라지와 비교하여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으뜸도라지추출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제시하며 향후 항알레르기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DNCB로 유발된 생쥐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지실(枳實)의 효능 (Effects of Aurantii Immaturus Fructus (AI) on Atopic Dermatitis (AD) Induced by DNCB in Mice)

  • 박젬마;채중원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43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 on AD induced by DNCB in mice. AI has antiallergic property that is useful in treating allergy-related-diseases, such as asthma, anaphylactic shock, acute bronchitis and skin diseases, skin pruritus from gastrointestinal diseases. However, AI has not been studied intensively yet regarding anti-inflammatory effect on A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4-dinitrochlorobezene (DNCB)-induced mice to investigate effects of AI in AD. Methods In the experiment, we divided mice into four groups: a normal group (NOR), a control group (CON), an AI spread group (AI spread), and an AI spread and feeding group (AI spread & feeding). Then examined the changes in the body weight, weights of spleen and ear, thickness of dorsum skin and ear skin, clinical aspects on dorsum skin, historical assessments,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in vitro and in vivo, and cytokine (TNF-${\alpha}$, IL-10). Results From the experiment, the ear weight of AI spread & feeding group was significantly dropped and the ear thickness of both AI spread and AI spread & feeding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Dorsum skin thickness wa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AI spread and AI spread & feeding group. Also, AI treatment improved the symptoms of AD, such as coloration, erythema and desquamation and had a better effect on AI spread & feeding group. In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thickened epidermis, hyperkeratosis, pigmentation, hypergranulosis, parakeratosis were diminished as well in both AI spread and AI spread & feeding group. In vitro, we could observe when AI was increased as proliferation rate of splenocytes were increased, too.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AI can decrease symptoms of AD and show AI can be useful herbal therapy for AD.

식용식물 열수 추출물에 의한 지연형 알레르기 반응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n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by the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 최은미;이봉기;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6-148
    • /
    • 2001
  • 5가지 식용식물인 신이(Flos magnoliae), 지실(Poncirus trifoliata), 시호(Bupleurum falcatum),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의 열수 추출물(10 mg/20 g B.W.)이 제IV형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DNFB로 감작된 6주령의 웅성 BALB/C mouse에 1, 2차 시료를 투여한 후, 유도된 접촉성 피부염에 의한 부종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 약물로는 cyclosporin(0.005 mg/20 g B.W)을 사용하였다. DNFB의 피부염증반응에 대한 귀 두께 측정은 1차 감작에서 황금, 오미자, 지실 군이 대조 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p<0.05), 약물 대조군인 cyclosporin과 같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시호, 신이 군은 대조 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억제 효과는 황금>오미자>지실>시호>신이의 순으로서 황금 군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2차 감작에서는 오미자, 지실, 황금, 신이 군이 대조 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오미자와 지실은 약물 대조군인 cyclosporin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억제 효과가 더 컸다. 시호군은 대조 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오미자>지실>황금>신이>시호의 순으로서 오미자 군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 PDF

보중익기탕이 알레르기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s of Bojungikgi-tang)

  • 강대성;감철우;박동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3-82
    • /
    • 2003
  • 보중익기탕이 즉시형 및 지연형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항 알레르기에 대한 실험을 즉시형과 지연형으로 구분하여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ompound 48/80 유발 아나필락시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농도별 실험에서 보중익기탕 투여군은 생존율이 비순차적이었으나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시간의존적 실험에서 보중익기탕 투여군은 다소의 생존율 변화를 보였으며, Compound 48/80 유발 비만세포 탈 과립 율의 측정을 통하여 대조군에 비해 보중익기탕 투여군은 현저하게 유의한 (p<0.005)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Picryl chloride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과 면양적혈구에 의한 지연형 족부종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보중익기탕 투여군은 유의한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에서 보중익기탕이 즉시형 및 지연형 알레르기반응에 있어 모두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중익기탕의 항 알레르기 효과를 질병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해 임상적 치료와 활용에 발전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산풍고삼환(散風苦蔘丸)이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npunggosamhwan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남봉수;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27
    • /
    • 2005
  • Objective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Sanpunggosamhwan(SGH) against Allergic Contact Dermatitis(ACD), the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change of cutaneous shape, anti-allergic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d the effect on skin barrier were observed. Methods: The 200g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5 rats. The first group is the Normal group which was applied Acetone olive oil only. The second group is the ACD group which has intentionally activat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y DNCB. The third group is the SGH group which was given medication of Sanpunggosamhwan extract after the induction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y DNCB. Each group of rats was observed after 24, 48 and 72 hours. Results: I. With the result of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at 24hours SGH group showed appreciably less ear swelling than ACD group. 2. Regarding general change of skin, SGH group showed less hyperplasia of epidermis, less damage of epidermis than ACD group. 3. Regarding the number of WBC, AC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than normal and SGH group at 72 hours. 4. Regarding the number of RBC in blood,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RBC than normal group at 24, 48, 72 hours. 5. Regarding the ratio of neutrophil in WBC,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percentage than normal group at 24, 48 hours. 6. Regarding the ratio of lymphocyte in WBC,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percentage than normal group at 48 hours. 7. Regarding the erythema,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erythema than normal and ACD group at 48 hours. 8. Regarding the melanin,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melanin than normal group at 24 hours.9. Regarding the skin hydration,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than and ACD group at 72 hours. 10. Regarding the skin pH, AC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than normal and SGH group af 24 hours. 11. Regarding the number of Total IgE, ACD and SGH group showed more Total IgE than normal. g개up at 24 hours. 12. At Electro microscope-morphologic changes of skin, the damage of epithelium was decreased and regeneration power of skin was increased in the SGH group. Conclusions: The Sanpunggosamhwan extract administration was effective on the mitigation of skin damage in rats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PDF

Der p 1에 의한 정상인과 알레르기 환자의 림프구에서 사이토카인 분비를 통한 자발적인 호중구 세포고사 억제 (Der p 1 Inhibits Spontaneous Neutrophil Apoptosis by Cytokine Secretion of Normal and Allergic Lymphocytes)

  • 김인식;이나래;이지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30-236
    • /
    • 2015
  •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DP)는 알레르기 질환과 연관이 있는 집먼지 진드기 중 하나이다.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생성되는 Cystein 단백질분해효소(Derp-1)가 강력한 알레르겐으로 작용한다. 알레르기 병인기전은 림프구의 사이토카인 분비와 호중구의 자발적인 세포고사와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Derp-1이 림프구에서 사이토카인 분비를 유도하는지 여부와 이에 의해 호중구 세포고사 조절에 영향을 주는지를 실험 해보았다. 정상인과 알레르기 환자의 림프구에서, Derp-1에 의해 IL-6, IL-8, MCP-1그리고 GM- CSF의 분비가 증가됨을 보였다. Derp-1이 단독으로 호중구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Derp-1으로 호중구를 자극한 뒤 모은 상층액이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정상인의 호중구와 림프구를 co-culture하여 Derp-1을 처리한 결과 호중구의 세포고사가 억제되었고, 이보다 알레르기 환자에서 시행되어진 것이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즉, Derp-1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정상인과 알레르기 환자의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억제시킨다. 이를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병인기전을 밝히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