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ropomorphism leve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Are you a Machine or Human?: 소셜 로봇의 인간 유사성과 소비자 해석수준이 의인화에 미치는 영향 (Are you a Machine or Human?: The Effects of Human-likeness on Consumer Anthropomorphism Depending on Construal Level)

  • 이준식;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9-149
    • /
    • 2021
  • 최근 인간과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셜 로봇(Social Robot)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ICT 기술 발전에 힘입어 소셜 로봇이 개인에게 맞춤형 서비스와 정서적 교감을 제공하기 쉬워졌으며, 현대의 사회문제들과 이로 인한 개인의 삶의 질 저하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셜 로봇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소셜 로봇에 대한 관심에 힘입어 소셜 로봇 보급 또한 크게 늘고 있다. 많은 기업이 다양한 목표시장을 겨냥하기 위한 로봇 제품들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으나, 현재까지 시장을 선도하는 명확한 흐름은 부재하다. 이에 따라 소셜 로봇의 디자인을 통해 로봇을 차별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고 있다. 특히 의인화는 소셜 로봇 디자인에서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소셜 로봇을 의인화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발현하려는 접근이 많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소셜 로봇에 대한 의인화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의인화에 대한 모호한 이해는 소셜 로봇의 의인화를 형성하기 위한 디자인 최적점의 도출을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로봇의 의인화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3×2 Mixed Design의 실험 연구를 통해 소셜 로봇의 인간 유사성(Human-likeness)과 개인의 해석수준(Construal Level)이 의인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의인화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6개의 연구 가설을 제시하고, 206명 표본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 로봇의 인간 유사성 수준에 따라 로봇 의인화 수준이 높아지며, 소비자 해석수준에 따라 인간 유사성이 의인화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 로봇의 디자인 속성인 인간 유사성과 개인의 사고방식인 해석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의인화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소셜 로봇 의인화 형성을 위한 디자인 최적화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쇼핑 챗봇의 의인화 수준과 메시지 유형, 미디어 자기효능감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thropomorphism Level of the Shopping Chatbot, Message Type, and Media Self-Efficacy on Purchase Intention)

  • 하유진;황선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4호
    • /
    • pp.79-91
    • /
    • 2021
  • Currently, chatbot, a conversational platfor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marketing channel.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nthropomorphism, message type, and media self-efficacy level on purchase intention.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was a 2 (anthropomorphism level of shopping chatbot: low vs. high) × 2 (message type: factual vs. evaluative) × 2 (media self-efficacy: low vs. high) three-way mix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402 women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who were aware of chatbot services. For the final analysis,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3 program and three-way ANOVA. Simple main effects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anthropomorphism level, message type, and media self-efficacy. Second, message type and media self-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Lastly, anthropomorphism and the media self-efficacy level and the message type of the shopping chatbots showed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From Possession to Relationship -An Investigation of the Consumer-driven Anthropomorphism of Fashion Goods-

  • Hur, Hee Jin;Kwon, Yoo Ji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95-807
    • /
    • 2019
  • This qualitative study delves into consumers' meanings, perceptions, and behaviors toward the anthropomorphism of fashion good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consumer responses to the marketer-driven anthropomorphism of products, messages, and brands; however, the present study examines consumers' spontaneous anthropomorphism focusing on personal meanings as a possessor and meanings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A qualitative methodology is adopted that involves in-depth interviews with eleven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Participants stated that were engaged in the anthropomorphic practice of fashion goods on a daily basis. Data analysis was based on grounded theory. Findings on consumer-driven anthropomorphism are discussed at personal and interpersonal levels. At the personal level, anthropomorphic objects are their companions that are often called "baby." Interestingly, anthropomorphism reduces the stigmas of materialism from the participants' side. At the interpersonal level, anthropomorphic practice is a ritual of sharing a common interest and assuring intima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The Effects of Chatbot Anthropomorphism and Self-disclosure on Mobile Fashi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s

  • Kim, Minji;Park, Jiyeon;Lee, Mi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6호
    • /
    • pp.119-130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hatbot's level of anthropomorphism - closeness to the human form - and its self-disclosure - delivery of emotional exchange with the chatbot through its facial expressions and chatting message on the user's intention to accept the service. A 2 (anthropomorphism: High vs. Low) × 2 (self-disclosure through facial expressions: High vs. Low) × 2 (self-disclosure through conversation: High vs. Low)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3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used chatbot service more when emotions were disclosed through facial expressions, than when it disclosed fewer facial expression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tbot's self-disclosure through facial expression and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differs depending on the extent of anthropomorphism. In the case of "robot chatbots" with low anthropomorphism leve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disclosure through facial expression. When the "human-like chatbot" with high anthropomorphism levels discloses itself more through facial expressions, consumer's intention to use the chatbot service increased much more than when the human-like chatbot disclosed fewer facial expres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chatbots' self-disclos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consumer perception.

가상인간의 의인화에 따른 이용자 호감도에 관한 연구: 사회비교 경험과 자기향상욕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 Liking Based on Anthropomorphism of Virtual Humans:Focusing on Social Comparison Experience and Self-Improvement Motivation)

  • 정동아;김하연;이상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4호
    • /
    • pp.163-188
    • /
    • 2023
  •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both in appearance and behavior) of virtual humans on user liking. It investigates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social comparison experiences, with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users' desire for self-improv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A between-groups 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mpact of different levels of appearance(low/mid/high) and behavior(low/high) anthropomorphism on user liking of virtual huma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n online environment, and participants were randomly exposed to one of six stimuli, which were Instagram-like posts. Findings The results indicate that as virtual humans become more anthropomorphic, they have a positive impact on user liking. However, once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in appearance reaches a certain point (mid vs hi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ser liking. Users who perceive virtual humans as highly anthropomorphic tend to engage in more social comparison experiences, which positively affects their liking for these virtual humans. Conversely, individuals with a high desire for self-improvement fou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ppearance anthropomorphism on liking through social comparison experiences was reduced. The study extends the application of social comparison theory by examining its impact on influencer marketing with virtual beings.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the formulation of influencer marketing strategies using virtual humans.

의인화 수준에 따른 스마트 스피커 이용자의 고독감, 사회적 단절, 애착 및 이용행태의 차이 (Differences in Loneliness, Social Disconnection, Attachment, and Usage Behavior of Smart Speaker Users Depending on Anthropomorphism Level)

  • 장예빛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93-102
    • /
    • 2022
  • 의인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들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나, 의인화를 경험하는 이용자의 특성 및 이들의 이용행태에 관해서는 탐색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스마트 스피커 이용자의 의인화 수준에 따른 이용자의 외로움, 사회적 단절, 애착 및 스피커 이용행태의 차이에 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스마트스피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320명의 이용자들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의인화 수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이용자의 외로움, 사회적 단절, 애착불안, 하루 평균 스피커 이용 빈도 및 의인화 행동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애착회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피커와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인터랙션 설계에 관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홈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의인화 효과 음성-채팅 인터랙션 유형에 따른 실험 연구 (Effects of Anthropomorphic Conversational Interface for Smart Hom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oice and Chatting Interactions)

  • 홍은지;조광수;최준호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23
    • /
    • 2017
  • 이 연구는 인간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들을 스마트 홈 맥락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에 적용하여, 의인화의 수준과 인터랙션 유형이 사용자 감성 경험과 향후 이용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 의인화의 고-저 수준과 인터랙션의 음성-채팅 유형은 친밀도, 호감도, 향후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인화 수준이 높고, 음성 인터랙션인 경우 대화형 에이전트를 더 친밀하고 호감이 가며 향후에도 계속해서 이용하고 싶은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의인화의 고-저 수준과 관계없이, 채팅에 비해 음성 인터랙션이 심리적 저항감이 낮았다. 향후 이용 의도에 대해서 의인화 수준과 인터랙션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즉, 채팅 인터랙션은 의인화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음성 인터랙션의 경우 의인화의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음성 대화형 스마트홈 에이전트는 의인화 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가 되어야 사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디지털 휴먼 은행원 발화의 의인화 수준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실재감, 친밀감, 신뢰도, 인지된 지능, 유용성을 중심으로 (Effect of Anthropomorphism Level of Digital Human Banker Speech on User Experience: Focusing on Social Presence, Affinity, Trust, Perceived Intelligence, and Usefulness)

  • 최보미;장서진;강현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469-476
    • /
    • 2022
  • 3D 모델링 기술과 대화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휴먼이 활용되고 있고, 신한 은행, 농협 은행 등 주요 은행을 중심으로 은행에서도 가상 은행원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디지털 휴먼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외형 위주이며, 로봇 의인화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퍼소나 설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은행 업무라는 구체적인 맥락에서 발화 전략의 의인화 수준과 개인정보 활용 수준이 다른 3가지 시나리오(학생증 수령, 입출금 통장 개설, 전세 자금 대출 상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실재감과 유용성은 시나리오와 의인화 수준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친밀감, 신뢰도, 인지된 지능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지만 경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hatGPT, 대화형 인공지능 관광 검색 서비스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Behavioral Intention on Conversational ChatGPT for Tourism Information Search Service: Focusing on the Role of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 김민성;구철모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19-149
    • /
    • 2024
  • 이 연구는 여행 정보 검색 서비스로서 ChatGPT와 같은 새로운 AI 챗봇의 신뢰 형성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선행 요소와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연구는 익숙함, 참신함, 개인의 혁신성, 정보의 질, 그리고 지각된 의인화 등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사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신뢰와 궁극적으로 정보수용의도,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결과적으로, 익숙함과 정보의 질은 인지적, 정서적 신뢰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참신함은 인지적 신뢰에만 긍정적으로 기여했다. 더불어, 새로운 AI 챗봇 사용자의 개인적 혁신성은 익숙함과 인지적 신뢰 간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한편, 챗봇의 지각된 의인화 수준은 참신함 및 익숙함과 인지적 신뢰 간의 관계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I 챗봇의 디자인과 도입 시 의인화, 정보의 질 익숙함, 개인의 혁신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AI 챗봇의 여행 정보 검색 서비스로서 신뢰 및 행동의도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불쾌한 골짜기: 로봇 속성의 의인화, 마음지각 및 도덕적 처우의 관계 (Uncanny Valley: Relationships Between Anthropomorphic Attribution to Robots, Mind Perception, and Moral Care)

  • 신홍임
    • 감성과학
    • /
    • 제24권4호
    • /
    • pp.3-16
    • /
    • 2021
  • 의인화는 로봇과 같이, 인간이 아닌 대상에게 인간의 속성, 정서나 의도를 부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로봇에게 인간 고유의 속성을 부여하는 의인화가 로봇-인간의 상호작용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다양한 로봇의 사진을 제시하고, 로봇의 외관에 따른 심리적 불쾌감, 마음지각 및 도덕적 처우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봇의 외관이 인간과 가장 유사한 안드로이드 로봇조건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조건과 기계적 외관의 조건보다 로봇에 대한 심리적 불쾌감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인간과 유사한 안드로이드 로봇에서 기계와 비슷한 로봇보다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로봇의 속성을 의인화한 조건과 의인화하지 않은 조건에서 로봇에 대한 불쾌감, 마음지각과 도덕적 처우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로봇 속성의 의인화조건에서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과 도덕적 처우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마음지각의 경험성이 높을수록 도덕적 처우의 정도가 더 높아졌다. 이 결과는 인간과 유사한 로봇의 외관은 로봇에 대한 심리적 불쾌감을 증가시키지만, 로봇의 속성에 대한 의인화는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을 증가시키고,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을 촉진 시킬 가능성을 제시한다. 논의에서는 의인화가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에 끼치는 차별화된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토론하고,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