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 faun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Ants of Chindo Island in Korea (Hymenoptera, Formicidae)

  • Kim, Byung-Jin;Kim, Ki-Gyong;Ryu, Dong-Pyo;Kim, Joong-Hy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101-113
    • /
    • 1995
  • 진도는 해남에서 약 40km 정도 떨어져 있는 상당히 큰 섬으로서 많은 산과 하천이 있고 내륙지역에는 주로 농경지가 많은 특유한 섬이다. 또한 이 지역은 섬이 긴 하지만 물사정이 좋아서 동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지역이다. 저자들은 1994년 7우러부터 10월까지 진도지역의 개미류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4아과 15속 21종이 동정되어 보고한다.

  • PDF

개미집 공서종 2종을 포함하는 한국산 톡토기류 (곤충강)의 6미기록종 (Six Collembolan Species (Insecta) New to Korea Including Two species from Ant Nests)

  • Park, Kyung-Hwa;Lee, Byung-H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2호
    • /
    • pp.227-237
    • /
    • 2000
  • 남한의 수 개 지역에서 채집한 3과 8종의 톡토기 가운데 6종 (Oudemansia esakii (Kinoshita, 1932), Axelsonia littoralis (Moniez. 1890), Sinella (S. str.) straminea (Folsom. 1899), Sinella (S. str.) coeca (Schott, 1899), Entomobrya marginata (Tullberg, 1871), Willowsia bimaculata (Borner, 1909))이 한국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보고한다. 이 중 Oudemansia esakii, Axelsonia littoralis와 Entomobrya marginata 3종은 호염성이고, Sinella straminea와 Sinella coeca는 개미집에서 채집되었다. Sinella속의 2종은 한반도에서 개미집으로부터 채집된 톡토기의 첫 보고이다. 본 조사 결과 한국산 톡토기는 모두 10과 204종에 이른다.

  • PDF

일본에 있어서 산림토목 목제구조물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1) - 목재의 이용과 특성, 조사 및 계획을 중심으로 - (Study on design indicator for wood structure of forest engineering works in Japan(1) - Focus on use and characteristic of wood, investigation and planning -)

  • 전근우;김민식;김윤진;염규진;츠지오 에자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41-49
    • /
    • 2006
  • 일본에서 2004년도에 발행된 산림토목 목제구조물 시공 매뉴얼에 실려 있는 산림토목 목제구조물 설계지침은 총설, 목재의 이용과 특성, 조사, 계획 및 설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총설, 목재의 이용과 특성, 조사 및 계획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목재의 특성은 목재의 물리 화학적 특성, 환경에의 영향, 심리 생리적인 효과 및 목재의 부후성에 대해 정리되어 있으며, 조사항목은 유수에 의한 영향의 정도, 일사의 정도, 흰개미의 생식 유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유하 상황, 계류 등에 서식하는 동식물의 상황, 물이용 상황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계획에서는 목제구조물의 구조와 설치장소, 취급방법, 해당 지역의 목재 간벌재의 이용, 방부처리 등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다.

  • PDF

한국산 개미의 분포에 관한 연구(6) -서울 남산의 식생과 개미군집의 종조성 및 Colony 밀도-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Formicidea) in Korea(6) -The Vegetati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Colony Density ants in Mt. Namsan, Seoul-)

  • 최병문;박경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79
    • /
    • 1991
  • 서울 남산의 식생과 개미군집의 종조성 및 colony 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9년 6월부터 1990년 10월 까지 13종의 식생에다 39방형구를 설치하여 443colony를 채집한 결과 4아과 23속 28종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그 중에 배잘록침개미(신칭) Cerapachys humicola $O_{GATA}$는 한국미기록아과인 배잘록침개미아과(신칭) Cerapachinae에 속하는 미기록종이었다. 식생별 개미군집의 종조성은 아카시나무군락에 3아과 14속 15종으로서 남산에서 채집된 전종수인 28종의 53%에 해당되며, 신갈나무에는 3아과 12속 14종이 채집되어 전체종수의 50%로서 비교적 종류조성이 풍부하였고, 버즘나무에 3아과 3속 3종으로 가장 단조로웠다. 식생별 colony 밀도는 산벚나무군락에서 7,875colony/$m^2$로 가장 높고, 버즘나무에서 1,000colony/$\m^2$로서 가장 낮았다. 개미의 종별 상대밀도는 스미드개미가 RD=0.422로 가장 높았다. 배잘록침개미, 장구개미가 RD=0.002로 가장 낮았다. 식생간에 개미군집의 유사도를 Sorensen지수로 분석한 결과는 산벚나무와 팥배나무군락사이에서 0.745, 산벚나무와 소나무군락사이에서 0.736으로 높았고, 산벚나무와 화백군락 그리고 산벚나무와 메타세코이아군락간에서 각각 0.164로 가장 낮았다. 각 식생군락내의 개미의 우점도를 Simpson공식에 의해 분석하여 볼 때 버즘나무군락에 $\lambda$=0.067로 가장 낮았다. 역 Simpson지수에 의하여 분석된 다양도는 메타세코이아 $d_{s}$=14.925 리기다소나무 $d_{s}$=7.874순으로 높았고 버즘나무군락에$d_{s}$=2.545로 가장 낮았다. $d_{s}$$d_{max}$를 사용하여 산출한 균등도는 메타세코이아군락에서 $E_{s}$=0.713, 화백군락에서 $E_{s}$=0.624로 높았고, 신갈나무군락에서 $E_{s}$=0.182로 가장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