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maximum

검색결과 956건 처리시간 0.026초

연최대치 계열과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비교 (Comparison of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and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 Series)

  • 유철상;박철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5호
    • /
    • pp.431-4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강우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와 긴 경우에 대한 연최대치 계열과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최대치 독립호우사상은 1961년부터 2010년까지의 서울지점 시강우 자료에 다양한 IETD와 절단값을 적용하여 추출하였다. 결정된 연최대치 독립호우사상 계열은 기존의 연최대치 계열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ETD와 절단값의 영향은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지 않았다. 예를 들어, IETD의 증가에 따라 짧은 지속기간 및 긴 지속기간을 갖는 독립 호우사상의 발생 빈도는 유사한 감소비율을 갖으나, 절단값의 증가에 따라서는 특히 지속기간이 긴 호우사상의 발생빈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출된 독립 호우사상의 평균 강우강도는 강우 지속기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 최대치 강우강도가 주로 지속기간이 긴 호우사상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강우지속기간이 짧은 경우, 연 최대치 계열과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강우 지속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매우 짧은 집중시간을 고려하는 작은 유역의 경우, 전통적인 자료 분석방법을 통해 결정된 설계강우가 실제 발생 가능성이 없는 비현실적인 경우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큼을 의미한다.

Freund 이변량 지수분포의 매개변수 추정과정 검토 (Review of Parameter Estimation Procedure of Freund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

  • 박철순;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2호
    • /
    • pp.191-20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의 결정에 사용되는 Freund 이변량 지수분포의 매개변수 추정과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모멘트법을 이용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 결과를 최우도법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두 방법을 1961~2010년 서울지점의 시강우 자료에 적용하여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을 선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수 추정방법으로 모멘트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두변량의 평균과 분산뿐만 아니라 상관계수도 고려해 주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우도법은 두변량의 평균에 대한 재현성이 우수하고, 모멘트법은 분산의 경년변동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멘트법과 최우도법을 통해 선정한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들은 대체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르게 선정된 호우사상은 최우도법의 경우에는 총 강우량이 큰 것, 모멘트법의 경우에는 강우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기록년한이 확률수문량 추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Effect of Period of Record on Probable Rainfall Prediction)

  • 이근후;한욱동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5-53
    • /
    • 1981
  • Long term precipitation gaging station record (58 years) was analyzed by progressive mean method to compare the estimated effective period of records for computing mean and probable values.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Fifty-eight years precipitation records at Jinju, Gyeong Sang Nam Do was analyzed by double mass analysis method. Result was appeared that the record was consistent with time. 2. The effective period of records for estimating mean values with the departure of 5% or less from the true mean are up to 33 years for annual precipitation, 20 years for annual maximum daily precipitation and 45 years for maximum successive dry days in summer season. 3. To estimate the probable values by Gumbel-Chow method within the departure of 5% level from true value, periods of 51 years, 38 years and 45 years were required for annual precipitation, annual maximum daily precipitation and maximum successive dry days in summer season, respectively.

  • PDF

연강수량 및 클러스터 기법에 의한 강수의 지역화 분석(수공) (Regional Analysis of Precipitation using Mean Annual Precipitation and Cluster Methods)

  • 이순혁;맹승진;류경식;지호근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97-404
    • /
    • 2000
  • A total of 65 rain gauges with Automatic Weather Station(AWS) were used to regional analysis of precipitation. Nine cluster regions were identified using geographical locations, maximum, mean, standard deviation of 1 day maximum rainfalls, mean annual precipitation and rainfall of rainy season in Korea. The mean annual precipitation, geographical locations, and the synoptic generating mechanisms were used to identify th five climatological homogeneous regions in Korea. Number of final regions by mean annual precipitation and cluster methods divided into five regions in Korea.

  • PDF

신평년(1991~2020년)에 기반한 우리나라 최근 기후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The Recent Climatic Characteristic and Change in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New Normals (1991~2020))

  • 최홍준;김정용;최영은;허인혜;이태민;김소정;민숙주;이도영;최다솜;성현민;권재일
    • 대기
    • /
    • 제33권5호
    • /
    • pp.477-492
    • /
    • 2023
  • Based on the new climate normals (1991~2020), annual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is 12.5℃, 18.2℃, and 7.7℃, respectively while annual precipitation is 1,331.7 mm, the annual mean wind speed is 2.0 m s-1, and the relative humidity is 67.8% in the Republic of Korea. Compared to 1981~2010 normal, annual mean temperature increased by 0.2℃,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increased by 0.3℃, while the amount of precipitation (0.7%) and relative humidity (1.1%) decreased. There was no distinct change in annual mean wind speed. The spatial range of the annual mean temperature in the new normals is large from 7.1 to 16.9℃. Annual precipitation showed a high regional variability, ranging from 787.3 to 2,030.0 mm. The annual mean relative humidity decreased at most weather stations due to the rise in temperature, and the annual mean wind speed did not show an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new and old normals. With the addition of a warmer decade (2011~2020), temperatures all increased consistently and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he maximum temperature, which had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previous decades, was evident. The increasing trend of annual and summer precipitation by the 2010s has disappeared in the new normals. Among extreme climate indices, MxT30 (Daily maximum temperature ≥ 33℃ days), MnT25 (Daily minimum temperature ≥ 25℃ days), and PH30 (1 hour maximum precipitation ≥ 30 mm days) increased while MnT-10 (Daily minimum temperature < -10℃ days) and W13.9 (Daily maximum wind speed ≥ 13.9 m/s days) decreas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t is thought that a detailed study on the different trends of climate elements and extreme climate indices by reg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한 측우기자료 및 현대자료의 비교 (Comparison of Chukwooki and Modern data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 박민규;유철상;김현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B호
    • /
    • pp.137-1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하여 측우기자료와 현대자료를 비교하였다. 측우기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현대 빈도해석에서 필요한 특정지속기간의 연최대치 계열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두 관측기간의 비교를 위해 독립호우사상 개념을 이용해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작성하였다. 연최대호우사상은 이변량지수분포를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모수 추정을 위해 연도별 모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보다 적절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연도별 모수를 이용할 경우의 결과가 모수의 경년별 변동성이 연강수량의 변동성과 비교해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독립호우사상을 비교한다면 현대기록이든 측우기기록이든 강우지속기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현대보다는 측우기 관측기록의 경우가 총강우량과 강우강도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최대 호우사상의 비교에서는 측우기에 비해 현대의 경우가 강우지속기간이 현격하게 길어지면서 강우강도는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나 총강우량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연최대호우사상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현대관측기간 동안에는 강우지속기간과 총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측우기 관측기록과 비교시에는 일정한 주기성의 한 부분으로 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풍향패턴에 따른 굼벨 모델 시뮬레이션에 의한 풍향풍속성의 적용율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ratio of Directional wind speeds Characteristics by Gumbel Model Simulation Using Directional wind Patterns)

  • 정영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573-580
    • /
    • 2010
  • 본 연구는 바람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 있어서 풍향풍속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지역별 년 최대풍속에 따른 풍향풍속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본 풍향풍속성 평가방법에서는 년최대풍속의 기상청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극치분포를 통해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풍향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풍향풍속별 풍향패턴을 4그룹으로 구분하여 풍향풍속성 평가방법을 시도하여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울, 통영, 인천지역의 년최대풍속 기상데이터를 사용하여 전풍향풍속이 Gumbel분포에 의한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전풍향풍속의 Gumbel model은 패턴별 4그룹 풍향풍속 Gumbel mode을 지배하는 독립된 확률특성을 가지므로 풍향패턴 4그룹 풍향풍속성의 평가를 통하여 적용율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년최대풍속에 의한 Gumbel분포의 적합성에 따른 서울, 통영, 인천 지역의 풍향패턴 4그룹 풍향풍속성을 고려한 새로운 적용율을 제안하였다.

베타분포를 이용한 서울 지점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의 대표 시간분포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bout Representative Temporal-distribution of Rainfall in the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s at Seoul using Beta Distribution)

  • 전창현;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4호
    • /
    • pp.361-3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1961~2010년 사이의 서울 지점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들을 베타분포로 분석하여 서울지점의 대표 호우사상을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첨두강우량을 기준으로 연최대치 호우사상들을 상위 50%와 하위 50%로 구분한다. 각각의 경우에 대해 첨두강우량의 평균을 지나는 베타분포를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유도된 두 베타분포의 산술평균을 우량주상도로 나타내어 대표 호우사상을 결정한다. 이렇게 유도된 대표 호우사상은 실제 호우사상과 유사한 모양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Huff 분포에 비해 큰 첨두 강우량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러 강우시간분포 모형들과 비교해 본 결과 Keifer & Chu 모형이 본 연구의 결과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韓國의 森林構造에 따른 物質生産力에 관한 分析 - 年齡生長 分析에 의한 森林 樹木의 最高生産力期 및 最適伐採期 推定모델 - (Studies of the Forest Structure and Productivity in Korea -Models of Maximum Productivity and Optimum Cutting Time of the Forests by Annual Ring Growth analyses-)

  • Chang, Nam-Kee;Kim, Heui-Baek;Oh, In-Hye;Chang, Myung-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191-202
    • /
    • 1990
  • For the maximun yield of the forest trees in the forest management, the growth of annual ring area of the major forest trees was analysed in the four areas in South Korea. The time to the maximum productivity and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were estimated. The growth curve of annual ring area showed sigmoid like that of other organisms. Only the growth coefficient among the areas between Fraxinus rhynchophylla and Pinus koraiensis represented significance (5% level). The growth coefficient among forest trees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Larix kaempferi and Carpinus laxiflora, Larix kaempferi and Quercus mongolica, Larix kaempferi and Quercus serrat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and Abies holophylla represented significance (5% level). Among eight forest trees, the time to maximum productivity (tm) of Larix kaempferi was the earliest (21.4 year), and Abies holophylla was the latest (91.9 year).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tc) of L. kaempferi was the earliest (29.4 year) and that of A, holophylla was the latest (122.2 year) of all communities.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was 1.33 times as late as the time to the maximum productivity. If the growth of annual ring area as the forest tree for wood is regarded, L. kaempferi and P. densiflora are thought to be more economical than A. holophylla and P. koraiensis.

  • PDF

임계수준 방법을 이용한 물 부족량-지속기간-빈도 곡선의 제안 및 적용 (Proposal and Application of Water Deficit-Duration-Frequency Curve using Threshold Level Method)

  • 성장현;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1호
    • /
    • pp.997-10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연 최저 유입량과 연 최대 부족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가뭄을 평가하였고, 수자원 시설의 계획 및 관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물 부족량-지속기간-빈도 곡선을 제안하였다. 연 최저 유입량 분석결과, 대부분의 지속기간에서 1989년, 1996년 수문학적 가뭄의 재현기간이 가장 길었다. 연 최대 부족량 분석결과, 비교적 짧은 지속기간인 60일, 90일 부족량의 재현기간은 1982년에서 약 35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길게 지속되었던 수문학적 가뭄은 1995년으로 재현기간은 약 20년이었다. 가뭄은 크기와 함께 지속기간도 주요한 변수이지만 연 최저 유입량을 이용한 방법은 지속기간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