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on exchange colum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2초

Production of human leptin in Bacillus subtilis

  • 정기준;이상엽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5-538
    • /
    • 2000
  • Human leptin is a 16 kDa (146 amino acids) protein secreted from adipocytes and influences body weight homeostasis. In this report, active human leptin was successfully produced in the culture medium of Bacillus subtilis. After simple purification steps consisting of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anion-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2.3 mg of leptin with a purity of greater than 95% was obtained from the 0.5 L culture with the recovery yield of 54.9%. The purified leptin showed the correct folding structure with one disulfide bond.

  • PDF

Study on the Elution Behaviors of Molybdate and Tungstate in Both Hydrochloric and Perchloric Acid by Anion Exchange Chromatograpphy

  • Cha, Ki-Won;Choi, Jae-Sung;Park, Kee-Ch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권2호
    • /
    • pp.37-41
    • /
    • 1981
  • The elution behaviors of molybdate and tungstate through anion exchange column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hydrochloric and perchloric acid. A discussion is made to evaluate the existing these equilibrium and constant according to acidity. In both acids of 0.01-2.0 M concentration range, the existing equilibrium for molybdate and its constant calculated at $20^{\circ}C$ is $10^{18.9}$ for $Mo_8O_2^{4-} + 20H^+ {\rightleftharpoons} 8MoO_2^{2+} + 10H_2O$. In the 3-3.5 M hydrochloric acid it is 0.16 for $MoO_2Cl_2 + Cl^- {\rightleftharpoons} MoO_2Cl^{3-}$ and for the case of tungstate, in the both acids of 0.01-1.0 M concentration range $10^{6.6}$ for $W_{12}O_{39}^{6-} + 6H^+ {\rightleftharpoons} 12WO_3{\cdot}3H_2O$. In higher concentration than 1.0 M both acids the following equilibrium seems to be existed. $12WO_3{\cdot}3H_2O {\rightleftharpoons} 12WO_3 + 3H_2O$

단백질 흡착성을 갖는 막 크로마토그래피용 재생 셀룰로오스 기반 음이온 교환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rotein Adsorptive Anion Exchange Membrane Based on Porous Regenerated Cellulose Support for Membrane Chromatography Application)

  • 서정현;이홍태;김태경;조영훈;오택근;박호식
    • 멤브레인
    • /
    • 제32권5호
    • /
    • pp.348-356
    • /
    • 2022
  • 바이오산업의 발전으로 의약품, 식품 등의 생산 과정의 분리/정제 공정에 사용되어 왔던 기존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대체하여 더 높은 처리효율을 갖는 막 크로마토그래피가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기공 크기의 두 가지 상용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분리막을 탈아세틸화 과정을 통해, 리간드의 개질이 용이한 다공성 재생 셀룰로오스 지지체를(Regenerated cellulose, RC) 제조하였다. 음이온 교환능을 부여하고자 grafting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UV 중합법을 통해 4차 암모늄을 포함하는 음이온 교환 리간드(MAPTAC)를 부착하여 음이온 교환용 흡착막을 제조하였다. 단백질 흡착 용량은 정적 흡착 용량(Static binding capacity, SBC)시험을 통해 총 단백질 흡착 용량을 측정했고, 동적 흡착 용량(Dynamic binding capacity, DBC)을 측정하여 상용막과 비교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단백질 흡착량은 넓은 표면적에 의해 리간드 밀도가 높은, 기공 크기가 작은 순서로 높게 측정되었고, 상용 CA분리막을 탈아세틸화하고 리간드를 부착시킨 분리막(RC 0.8 + MAPTAC 43.69 mg/ml, RC 3.0 + MAPTAC 36.33 mg/ml)이 상용 막 크로마토그래피 제품(28.38 mg/ml) 대비 높은 흡착 용량을 보였다.

음이온교환수지에 의한 모나자이트 중 희토류원소의 분리 (제2보) (Separation of Rare Earth Elements in Monazite Sand by Anion Exchange Resin (Ⅱ))

  • 차기원;이종해;윤석호;하영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52-456
    • /
    • 1980
  • 용리액의 pH와 EDTA 농도변화에 따른 모나자이트 중의 희토류원소의 분리에 이어 수지통의 크기, 유츌속도 수지종류에 따른 분리를 약 10g 의 희토류를 흡착시킨 후 연구하였다. 같은 무게의 수지에서는 수지통의 높이가 높은 것이 낮은 것보다 분리도가 좋았고, 전 희토류를 용리하는데 필요한 용리액의 부피는 비슷하였다. 용리액의 유출속도를 1ml/min에서 2ml/min으로 증가시킨 결과 전 희토류를 완전히 용리시키는데 필요한 용리액의 부피가 10l 더 필요했고 분리도는 1ml/min일때 보다 나빴다. 그러나 용리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6일 단축되었다. 수지의 입자가 25∼50 mesh의 Ambellite IR A-400의 수지를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는 Dowex 1(50∼100 mesh)의 수지를 사용하여 분리한 결과보다 못하였다.

  • PDF

Phytate Determination in Various Cultivars of Korean Rice

  • Huang, Long Shuang;Sok, Dai-Eun;Kim, Hyoung-Chin;Yoon, Won-Kee;Kim, Hwan-Mook;Kim, Mee-R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67-72
    • /
    • 2006
  • To determine the amount of phytate in rice grains from various cultivars, two methods were employed and compared in respect of the accuracy and conveniency. Phytate in rice samples was extracted with HCl, and then the extracts were subjected to an anion-exchange column. Finally, the phytate in eluate was quantitated using two methods: one method is based on the complex formation between ferric ion and sulfosalicylic acid in the presence of phytate, and the other is the prior acid digestion of phytate sample, followed by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liberated phosphorus. Although two methods showed similar values of phytate in rice samples, the former method is simpler and more precise than the latter. Moreover, the former is more reliable for the samples with lower phytate levels. Especially, the dilution condition of rice sample before anion exchange column separation was important for the recovery of phytate in rice samples. Based on the former method, the amount of phytate in rice of various cultivars was estimated to range from 7.3 mg/g to 12.4 mg/g rice. This method would be useful for the determination of phytate in crop samples with a lower level of phytate, one of anti-nutrients in some agricultural plants.

Bacillus sp. E1이 생성하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rom Bacillus sp. El)

  • 박천석;우의전;국승욱;서병철;박관화;임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6-163
    • /
    • 1992
  •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생산균주 선발배지를 이용하여 국내 토양으로부터 CGTase 활성이 우수한 Bacillus sp. E1균주를 분리하였다. FPLC를 이용하여 gel filtration과 an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를 한 결과 순수 정제된 단일 단백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정제된 효소의 최적 작용 pH 범위는 6에서 8까지 였고, 온도는 $60^{\circ}C$에서 최적을 나타냈다. 정제된 단백질의 분자량은 114,000, 등전점은 4.3이었다. 생성된 cyclodextrin은 $\beta$$\gamma$-cyclodextrin이 주였으며, 특이하게도 $\alpha$-cyclodextrin은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작용 후 25시간 후 최대의 $\beta$-cyclodextrin이 생성되었으며, 이때 $\beta$-cyclodextrin과 $\gamma$-cyclodextrin의 생성비율은 7:1이었다.

  • PDF

원전발생 방사성폐기물 시료 중 초우란원소의 정량 (Determination of Transuranic Elements in Radwaste Samples from Nuclear Power Plant)

  • 조기수;김태현;전영신;지광용;김원호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351-357
    • /
    • 2003
  • 원전발생 방사성폐기물 시료 중 TRU를 정량하기위해 모의 사용 후 핵연료 시료 용액 중 Pu, Am 및 Cm 을 이온교환수지 및 HDEHP 추출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다음 알파분광분석법으로 각 핵종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Dowex AG1 음이온수지 에서 12M HC1-0.lMHI 용리액으로 Pu를 분리하고 이차분리관인 HDEHP 흡착 분리 관에서 DTPA-Lactic Acid 용리액으로 Am과 Cm을 군분리하였다. 분리된 Pu, Am 및 Cm은 0.1M $NaHSO_4$-0.53M $Na_2SO_4$ 매질에서 전착한 다음 알파분광분석법으로 $^{239}Pu$, $^{241}Am$$^{244}Cm$의 알파에너지의 방사능을 측정하여 회수율을 추하였다. 비방사성 금속원소 및 우라늄을 포함하는 합성용액 시료중 $^{239}Pu$, $^{241}Am$$^{244}Cm$ 을 측정한 결과 각각 83.8%, 85.2% 및 86.3% 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 PDF

모의 사용후분산핵연료($U_3Si/Al$) 용해용액으로부터 네오디뮴 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Neodymium from the Simulated Solution of $U_3Si/Al$ Spent Nuclear Fuel)

  • 최광순;김정석;한선호;박순달;박영재;조기수;김원호
    • 분석과학
    • /
    • 제13권5호
    • /
    • pp.584-591
    • /
    • 2000
  • 2단계 음이온교환분리를 이용하여 모의 사용후분산핵연료($U_3Si/Al$)용해용액으로부터 Nd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후분산핵연료를 모사하기 위하여 사용전핵연료($U_3Si/Al$)를 4 M HCl과 10 M $HNO_3$의 혼산으로 녹인 다음, 8 또는 15종의 핵분열생성원소를 첨가하였다. 용액 중 미량의 실리카는 플루오르화수소산을 넣고 가열하여 제거하였으며, U은 1차 음이온교환수지에 흡착시켜 제거하였다. Nd은 2차 음이온교환수지상에서 여러 핵분열생성원소들로부터 질산-메틸알콜 매질의 용리액으로 분리하였다. 과량의 Al은 Nd의 용리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Nd을 포함한 Al, Eu, Gd, Sm 및 Sr의 절대 용리양을 감소시켰다. Nd을 용리액[0.04 M $HNO_3$-99.8% MeOH(1:9)]으로 용리하기 전에 과량의 Al은 부하(loading) 용액(0.8 M $HNO_3$/99.8% MeOH) 3 mL로 사전 용출시켜 제거하였다. 용리된 Nd의 회수을은 Al의 양에 관계없이 94% 이상이었다. 순수한 Nd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9-13 mL 부분의 용리액을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음이온 교환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몰리브덴산과 텅스텐산의 중합, 평형 및 APT 제조에 관한 연구 (Th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ic Studies on the Polymerization Equilibria of Molybdate and Tungstate and the Production of APT)

  • 차기원;박기채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5-232
    • /
    • 1975
  • 용리액의 pH변화에 따른 몰리브덴산과 텅스텐산의 용리곡선과 이들 산의 분리조건을 얻었다. 이 용리곡선으로부터 이들 산의 중합반응의 평형상수를 크롬산과 중크롬산의 중합반응의 결과와 비교하여 계산했고 분리조건을 pregnant 용액 분리에 적용했다. 이때 얻은 이들산의 중합평형상수 값은 다음과 같다. $7MoO_4^{2-}+8H^+{\longleftrightarrow}Mo7O_{24}^{6-}+4H_2O K=4{\times}10^{53},$$6WO_4^{2-}+7H^+{\longleftrightarrow}HW_6O_{21}^{5-}+3H_2O K=3{\times}10^{54}.$ 이온 교환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프레그난트용액중의 탄산염을 분리하는 데는 pH8의 0.2M 염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했고 몰리브덴을 분리하는데는 pH5의 0.05M $Na_2SO_4+0.5M NH_4Cl$ 혼합용액을, 텅스텐을 분리하는데는 pH 10의 0.5M 염화암모늄 용액을 단계적으로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분리했다. 이때 텅스텐은 염화암모늄 용액을 용리액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직접 APT(Ammonium para-tungstate)형태로 얻어졌다.

  • PDF

멸치액젓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Fermented Anchovy)

  • 박종옥;윤미선;조은정;김희숙;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78-1385
    • /
    • 1999
  • 멸치액젓으로부터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용매추출 및 chromatography를 행하였다. 모든 용매분획들에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며 그 중 BuOH층과 수용액층이 소금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수용액층을 투석막(MWCO 1000)으로 증류수에 대하여 투석하였을 때 투석막 내액의 항산화활성이 소실되었으므로 멸치액젓의 항산화성 물질은 분자량 1000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Sephadex G-5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서 얻은 항산화물질 분획(tube No. 230-245)로 DE-52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column에 결합하지 않고 흘러나온 분획(0 N NaCl용액) 및 0.05N NaCl용액으로 용출된 분획에서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나 $15\;{\mu}M$$Fe^{+++}\;ion$의 존재하에서 0 N NaCl 분획만 항산화활성이 유지되었다. Biogel P2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3번과 5번 분획의 항산화 활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TLC확인결과 아미노기가 풍부한 분자들임을 알 수 있었고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을 때 다른 분획들보다 3번과 5번 분획에 소수성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TLC로 분리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하나의 band를 HPLC의 C18 column으로 분석하였을 때 3개의 peak 중 항산화활성을 갖은 물질은 methionine 유도체이었으며 이는 멸치젓 수용액층의 많은 항산화물질 중 하나로 여러 아미노산 또는 oligopeptide의 유도체들의 상승효과가 멸치액젓의 항산화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