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models

검색결과 1,367건 처리시간 0.028초

인체 유방암 세포에서 retinoids의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Retinoids on Human Breast Cancer Cells)

  • 윤현정;신윤용;공구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66
    • /
    • 2004
  • Retinoids, better known as vitamin A, have been reported to inhibit the growth of several breast cancer cell lines in culture and to reduce breast tumor growth in animal models. Furthermore, retinoids can augment the action of other breast cancer cell growth inhibitors both in vitro and in vivo. Clinically, interest has increased in the potential use of retinoi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breast cancer. We have examine the effect of all-trans retinoic acid(tRA) and 9-cis retinoic acid(9-cis RA) on human breast cancer cell(MCF-10A, T47-D, MCF-7) proliferation using MTT assay and cell cycle analysis(FACS). Overexpression of cyclin D1 protein is observed in the majority of breast cancers, suggesting that dysregulated expression of cyclin D1 might be a critical event in breast cancer carcinogenesis. We investigated whether tRA and 9-cis RA might affect expression of cyclin D1 on human breast cancer cells(MCF-10A, T47-D, MCF-7) using RT-PCR and west-ern bolt. In MCF-10A cells, either tRA or 9-cis RA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cell proliferation. In T47-D cells and MCF-7 cells, either tRA or 9-cis RA treatment showed the inhibition of the cell proliferation over control cells and also inhibit the estrogen stimulated cell proliferation when it was given together with estrogen. The effect of retinoids was dose- and time- dependent. T47-D cells treated with 1.0 $\muM$ tRA undergo G0/G1-phase arrest by Day 5. MCF-7 cells treated with 1.0 $\muM$ tRA undergo S-phase arrest by Day 5. All-trans retinoic acid(tRA) and 9-cis retinoic acid(9-cis RA) inhibited the cyelin D1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human MCF-7 and T47-D breast carcinoma cells in vitro. The data indicate that retinoids can reduce cyclin D1 expression levels in a variety of breast cell lines in vitro and result in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tRA-mediated growth inhibition and cyclin D1 expression inhibition is more potent than 9-cis RA mediated that. tRA-mediated inhibition effect is more potent on T47-D cells than on MCF-7 cells. Our data suggest that retinoids activity is different according to property of cell lines. Future chemoprevention of breast cancer studies using retinoids will be necessary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the retinoids-mediated growth inhibition.

  • PDF

Effects of Common Bile Duct Ligation on Serum and Hepatic Carboxylesterase Activity in Ethanol-Intoxicated Rats

  • Ahn, Kwan-Wook;Kim, You-Hee
    • BMB Reports
    • /
    • 제32권4호
    • /
    • pp.331-338
    • /
    • 1999
  • Ethanol catabolism is thought to produce metabolic disorders resulting in alcoholic liver disease. To investigate the mutual effects of ethanol catabolism and cholestasis induced by common bile duct ligation on the activities of carboxylesterase, we have determined the enzyme activities in rat hepatic (cytosolic,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preparations as well as in rat serum using ten animal models: normal rats (group 1), sham-operated rats (group 2), common bile duct-ligated rats (group 3), ethanol-intoxicated rats (group 4), sham-operation plus chronic ethanol-intoxicated rats (group 5), common bile duct-ligated plus chronic ethanol-intoxicated rats at 1.5h and 24h (groups 7A and 7B), and duct-ligated and acute ethanol intoxicated rats at 1.5 h and 24 h (groups 8A and 8B). The $K_m$ and $V_{max}$ values of carboxylesterase from these hepatic preparations of cholestatic rat liver combined with chronic ethanol intoxication were also measured by using ethyl valerate as the substrate from the 14th day post-ligation. Carboxylesterase activities of all hepatic preparations and rat serum (group 3)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compared to the activities from the sham-operated control (group 2). Enzyme kinetic parameters indicated that $V_{max}$ of carboxylesterase from all the hepatic preparations in cholestatic rats (group 3)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the $K_m$ values were about the same as in the sham-operated control (group 2). When cholestasis was combined with chronic ethanol intoxication (group 6), carboxylesterase activities showed further decrease in all the hepatic preparations and serum compared to the control activity (group 5). The $V_{max}$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K_m$ values did not change. When common bile duct ligation was combined with acute ethanol intoxication (group 8), the enzyme activities in the rat liver and serum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activity from acute ethanol-intoxicated rats (group 7). However, quite contrary to this, the activities of serum from acute ethanol intoxication 1.5 h (group 7A)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activities in the normal control (group 1).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at the biosynthesis of hepatic carboxyl-esterase seems to decrease when cholestasis is combined with chronic and acute ethanol intoxication, and the decrease in activity is more significant than from cholestasis alone.

  • PDF

Physical disector를 이용한 신경세포 및 신경연접 수의 측정 (Estimation of Number of Synapses on a Neuron in the Brain Using Physical Bisector Method)

  • 이계주;유임주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2호
    • /
    • pp.83-91
    • /
    • 2006
  • 신경연접은 다양한 생리적 또는 병적 상태에 반응하여 구조 및 수적 변화를 보이며, 신경연접의 밀도 변화는 신경세포의 활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특정 생리적 또는 병적 상태에서 신경연접의 밀도 변화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량방법을 이용한 밀도 측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physical disector법을 이용하여 흰쥐 뇌의 치아이랑에 위치하는 과립신경세포의 신경연접 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physical disector의 방법적 정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체 흰쥐를 관류고정한 후 치아이랑의 연속 절편을 얻어 통상적인 전자현미경 시료제작법을 통해 Epon 혼합용액에 포매하였다. Physical disector법을 이용한 밀도 분석 시 연속절편의 정렬, 비교 및 disector frame이 필요하므로 Reconstruct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동물 당 40장의 $1{\mu}m$ 연속절편을 제작하여 과립신경세포체의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15장의 80nm연속절편으로부터 bidirectional disector법을 이용하여 과립신경세포와 내측 관통로(medial perforant path) 간 신경 연접의 밀도를 분석하였다. 과립신경세포의 세포체와 신경연접은 각각 과립층과 분자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나의 신경세포가 가지는 신경연접의 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층의 부피를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과립층에 대한 분자층의 부피비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흰쥐 치아이랑에 위치하는 하나의 과립세포당 약 6,500개의 신경연접의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physical disector법은 특정 생리적 또는 병적 조건에서 나타나는 신경세포 및 신경연접의 수적 변화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정량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physical disector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동물모델의 신경연접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신경연접의 형태적 가소성을 이해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 침착률이 높은 식용소에서 나타난 골격근의 디스트로핀 소실 (Dystrophin Degradation in Skeletal Muscles with Lipid Enrichment in Cattle)

  • 전성환;김아영;이은미;이은주;홍일화;황옥경;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2-602
    • /
    • 2016
  • 풀사료를 주식으로 하며 자유롭게 방목되는 호주산 소와 곡물사료를 주식으로 하며 상대적으로 제한된 면적의 축사에서 사육되는 한국산 소의 두 가지 근육에서 디스트로핀 단백질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다. 총 244 두의 식용소 도체로부터 양국에서 같은 부위의 골격근 조직을 채취하고 10% 중성 포르말린을 이용해 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방 침착률이 골격근 막 관련 단백질들의 소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는데, 특히 디스트로핀이 지방이 침착된 골격근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동시에 CD36이 지방이 침착된 골격근에서 가장 풍부하게 발현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정상 골격근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세포골격 단백질들의 소실에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서부터 사료의 종류에 따른 산화 지질 및 운동, 기후, 성장 기간 등의 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육 조건들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졌다. 디스트로핀은 근형질막 관련 단백질들 중에 근이영양증이나 근육 변성과 관계된 가장 민감한 막 단백질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람의 근이영양증 관련 연구를 비롯해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근육질환의 기전을 찾는 연구에도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근이영양증 기전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뿐만이 아니라 치료를 위한 실용화 연구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LA의 생물학적 기능 (Beneficial Biological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 하영래;김정옥;김영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65-973
    • /
    • 2017
  • CLA는 탄소가 18개(C18)인 linoleic acid의 이중결합이 C9,C11; C10,C12 위치로 이동됨으로 생성되는 입체이성(c,c; c,t; t,c; t,t)체를 총괄적으로 일컷는 말이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성체 중에서 c9,t11-CLA가 rumen bacteria, lactic bacteria, 버섯균 등의 linoleate isomerase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합성된다. 그러나 linoleic acid를 알카리 이성화로 합성한 CLA에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CLA 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중 c9,t11-CLA와 t10,c12-CLA가 약 45%씩 동일량 존재한다. CLA가 1939 년 linoleic acid의 elaidinization 반응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과학적인 이용가치가 없어 과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7년에 CLA가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으로 유도한 mouse skin carcinogenesis에서 항암성이 있다는 보고 이후 CLA에 관한 연구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재까지 약 6,100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CLA와 c9,t11-CLA 및 t10,c12-CLA 이성체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암성, 항당뇨성, 항혈압성, 항동맥경화성, 면역증강성, 항산화성, 체지방감소성, testosterone 생산성 등의 생물학적 기능이 갖는다고 밝혀졌다. 이들 생리활성에 c9,t11-CLA와 t10,c12-CLA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다른 활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합성 CLA에 소량 혼합되어 있는 t,t-CLA가 carcinogen으로 유도한 동물모델이나 암세포에서 다른 이성체 보다 강한 항암성을 보이는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될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CLA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39년부터 현재까지의 CLA 연구 트렌드를 살펴보고 밝혀진 주요 기능성을 보고한다.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에 의한 질환과 검출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Associated Diseases and Detection)

  • 권선영;장인호;이기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1-167
    • /
    • 2015
  • 정상인에서 장내세균은 숙주의 면역이나 영양 흡수를 돕지만, 때로는 기회감염균으로서 그들을 위협하기도 한다. 그 중 절대 혐기성 세균인 Bacteroides fragilis는 분비되는 장독소(enterotoxin)인 Bacteroides fragilis toxin (BFT)의 유무에 따라 non-enterotoxigenic B. fragilis (NTBF)와 enterotoxigenic B. fragilis (ETBF)로 나뉜다. ETBF는 가축 및 사람에서 설사 질환 및 대장 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때때로 ETBF를 가지고 있으나 증상이 없는 사람도 존재한다. ETBF는 염증성 설사 질환, 여행자 설사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되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몇몇 연구를 통해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나 대장염 및 대장암 환자에서 ETBF가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 C57BL/6 마우스 및 germ-free 마우스, multiple intestinal neoplasia (Min) 마우스, 토끼, Mongolian gerbil 등 여러 동물 모델에서 ETBF가 IBD나 대장염, 대장암을 유발 또는 촉진한다는 것이 발표되었다. ETBF의 유일한 병원성 인자인 BFT는 E-cadherin의 분절을 유도하여 장상피 세포의 투과성을 높인다. 이어서 ${\beta}$-catenin 신호전달계가 활성화하여 장상피세포의 증식이 증가한다. 또한 ETBF의 감염은 일반 마우스에서 급성이나 만성의 대장염을 일으키고 Min 마우스에서 종양 형성을 촉진한다. 이는 Stat3에 의존한 $T_H17$ 면역반응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난다. 현재 ETBF의 검출 방법에는 크게 BFT toxin assay와 몇 가지 PCR 방법이 있다. 최근 real-time PCR과 같은 분자진단학적 기법의 발달로 일반적인 PCR보다 더 정확한 ETBF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앞으로 실제 임상에서 ETBF와 대장염 및 대장암의 발달 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nt Effec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xtract from Acanthopanax cortex Shoot)

  • 유석영;이영준;송호성;홍희도;임정호;최현선;이부용;강석남;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93-7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오가피순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6.33{\pm}6.09mg\;GAE/g$, $65.07{\pm}4.10mg\;RE/g$으로 나타났다.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FRAP, Reducing power, ABTS, ORAC assay)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ORAC assay를 제외한 위의 항산화 모델에서는 0.1, 0.5 및 $1.0mg/m{\ell}$의 농도로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오가피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23.3{\pm}0.8$, $28.8{\pm}1.3$$33.7{\pm}3.7%$로 평가되었고, ABTS 경우에는 6.42, 12.47 및 16.69%로 측정되었다. 또한, FRAP 활성은 0.081, 0.160 및 0.259로, Reducing power는 0.034, 0.097 및 0.180으로 나타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도 증가하였다. 한편 $0.1mg/m{\ell}$에서의 ORAC value는 $103.4{\pm}3.6{\mu}M\;TE/g$으로 나타났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0.1, 0.5 및 $1.0mg/m{\ell}$의 농도에서 각각 3.6, 9.0 및 13.2%로 나타났다. 최근 건강기능 식품의 관심도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오가피순 추출물은 기능성식품 또는 천연 항산화제의 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보였다.

Ferulate, an Active Component of Wheat Germ, Ameliorates Oxidative Stress-Induced PTK/PTP Imbalance and PP2A Inactivation

  • Koh, Eun Mi;Lee, Eun Kyeong;Song, Chi Hun;Song, Jeongah;Chung, Hae Young;Chae, Chang Hoon;Jung, Kyung Ji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333-341
    • /
    • 2018
  • Ferulate is a phenolic compound abundant in wheat germ and bran and has been investigated for its beneficial activiti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erulate against the oxidative stress-induced imbalance of protein tyrosine kinases (PTKs),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PTPs), and serine/threonine protein phosphatase 2A (PP2A), in connection with our previous finding that oxidative stress-induced imbalance of PTKs and PTPs is linked with proinflammatory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ctivation. To test the effects of ferulate on this process, we utilized two oxidative stress-induced inflammatory models. First, YPEN-1 cells were pretreated with ferulate for 1 hr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 (AAPH). Second, 20-month-old Sprague-Dawley rats were fed ferulate for 10 days. After ferulate treatment, the activities of PTKs, PTPs, and PP2A were measured because these protein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promote $NF-{\kappa}B$ activation. Our results revealed that in YPEN-1 cells, ferulate effectively suppressed AAPH-induced increases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F-{\kappa}B$ activity, as well as AAPH-induced PTK activation. Furthermore, ferulate also inhibited AAPH-induced PTP and PP2A inactivation. In the aged kidney model, ferulate suppressed aging-induced activation of PTKs and ameliorated aging-induced inactivation of PTPs and PP2A. Thus, herein we demonstrated that ferulate could modulate PTK/PTP balance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inactivation of PTPs and PP2A, which is closely linked with $NF-{\kappa}B$ ac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ability of ferulate to modulate oxidative stress-related inflammatory processes is established, which suggests that this compound could act as a novel therapeutic agent.

고삼 Ethyl Acetate 소분획이 적출 심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s of Sophorae Radix In Langendorff Hearts)

  • 권강범;박관하;김우경;김은경;김구환;고광학;최연성;장근국;노성일;한동원;차숙;박대영;류도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309-1316
    • /
    • 2004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the ethtyl acetate(EA) soluble fraction of Sophorae Radix(SR) water extract had the preventive effects against cardiovascular anaphylaxis elicited in experimental animal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anti-anaphylatic effects of the nine kinds of EA soluble subfractions in animal models such as Langendorff heart and anesthetized rats. Thes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ed ; Among nine kinds of SR EA soluble subfractions, N10-16-2 and N10-16-9 fractions have an effects improving cardiovascular anaphylaxis in guinea pig Langendorff hearts. In passively anesthetized rats, N10-16-2 and N1 0-16-9 fractions of SR EA soluble subfractions have an effects improving cardiovascular anaphylaxis. N10-16-2 and N1 0-16-9 fractions of SR EA soluble subfractions inhibited the decrease of histamine release induced by compound 48180 and A-23187 in rat peritoneal mas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10-16-2 and N10-16-9 fractions of SR EA soluble subfractions involve anti-anaphylactic molecules in cardiovascular system.

피로형 미병에 대한 당귀보혈탕의 효과 (Effect of Dang Gui Bo Hyul-tang on fatigue types of Mibyeong)

  • 박선행;성윤영;장설;이시우;김홍준;김호경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5-65
    • /
    • 2016
  • Objectives : Mibyeong is a korea medicine have original concept of the disease. However, no previous report has effect of mibyeong herbal medicine in fatigue types of mibyeo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estion of whether Dang Gui Bo Hyul-tang(DGBHT) of effect on fatigue types of Mibyeong. Methods : C57BL/6 mice were randomaly divided into three group (n=10). The mice were then group (1) Nocontrol, (2) Restraunt stress(veh), (3) Dang Gui Bo Hyul-tang 200mg/kg. The administered Dang Gui Bo Hyul-tang 200mg/kg or distilled water (orally) 1 hr prior to daily exposure to repeated restraint stress (2 h) for 15 days. The performed behavior test (Mechanical hyperalgesia test,, Open-field test, Forced swimming test, Sucrose preference test and immunostaining and biochemical measured in serum. Results : Stress fatigue induced mices significantly increased lethargic, hyperalgesia through behavior test (Mechanical hyperalgesia test (decrease 43%), Open-field test ($4,809{\pm} 226.13cm$ vs. $3121{\pm}226.64cm$), Forced swimming test ($11.45{\pm}3.96$ vs. $79.10{\pm}8.12sec$), Sucrose preference test (decrease 58%)). In addition, chronic fatigue model evidently increased corticosterone level ($122.54{\pm}18.88$ vs. $186.94{\pm}18.26ng/ml$), AST level ($46.22{\pm}3.23$ vs. $31.40{\pm}3.86U/L$), ALT level ($38.78{\pm}5.72$ vs. $17.60{\pm}1.30$), liver necrosis, lateral ventricle size. These alterations were significantly ameliorated by DGBHT. DGBHT significantly attend the elevated serum concentrations of corticosterone ($155.90{\pm}6.29ng/ml$), AST ($31.40{\pm}3.86U/L$), ALT ($17.60{\pm}1.30U/L$). Moreover, DGBHT improved lethargic, hyperalgesia when compared the stress fatigue (Mechanical hyperalgesia test (improve 28%), Open-field test ($4,038{\pm}615.81cm$), Forced swimming test ($7.56{\pm}1.88sec$), Sucrose preference test (increase 21%) Conclusions : Theses result suggest that DGBHT have improved lethargic, hyperalgesia and fatigue-associated hormone and liver protective on stress fatigue model.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to present evidences on benefits and effect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Mibyeong through clinical researches based on benefits and effects of those animal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