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iosperm (hardwoo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나자식물의 바른 한국어(韓國語) 용어 사용에 대한 제언 (A Contribution to Appropriate Korean Equivalents to Some International Gymnosperm Terminologies)

  • 성은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26-139
    • /
    • 2018
  • 생식구조를 중심으로 나자식물의 바르지 않은 한국어 용어를 바로 잡고 국제용어에 상응하는 나자식물의 한국어 용어를 제안하여 정리하였다. 즉, 나자식물 용어에 '꽃(花)'이나 '열매(果實)'의 의미가 들어 있는 용어를 중심으로 바로 잡았다. 예를 들어, '열매' 또는 '구과(毬果)'라고 부르는 'cone'은 '종구(種毬)'로 수정하고, '종린(鍾鱗)' 또는 '실편(實片)'이라고 부르는 'cone scale', 'ovuliferous scale'은 '종린(種鱗)' 하나로 정리하고, '화분낭(花粉囊)'으로 부르는 'microsporangium', 'pollen sac'은 '소포자낭(小胞子囊)'으로 부르고, 화분(花粉)이라고 부르는 'pollen'은 '소포자(小胞子)' 또는 '웅성배우자체(雄性配偶者體)'로 수정할 것을 제안했다. '암꽃', '자화수(雌花穗)', '구화수(毬花穗)', '구상화서(毬狀花序)', '자화서(雌花序)' 또는 '자성구화수(雌性毬花穗)' 등으로 부르는 'female cone', 'ovulate cone'은 '암종구(種毬)', '자종구(雌種毬)', '자성종구(雌性種毬)'로 정리했으며, 나자식물에는 '꽃(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화수(花穗)', '화서(花序)' 등으로 부르는 'strobilus'는 '포자수(胞子穗)' 또는 '포자낭수(胞子囊穗)'로 정리했다. 생식구조와 관련이 없는 용어로 '구과식물(毬果植物)' 또는 심지어 '침엽수(針葉樹)'라고 부르는 'conifers(coniferous plants)'는 '종구식물(種毬植物)' 또는 '송백류(松栢類)'로 정리했다.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의(單板樹種)의 목재식별(木材識別) - II. 현미경적(顯微鏡的) 성질(性質)에 의한 목재(木材)의 특성(特性) 및 그 식별(識別) - (Wood Identification of the Veneer Species that grow in Korea - II. Woo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by the Microscopic Features -)

  • 이필우;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22-55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육안적(肉眼的) 특성(特性)에 의한 목재식별(木材識別)의 속보(續報)로써 앞으로 생산가능(生産可能)한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현미경적(顯微鏡的)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선정(選定)된 50수종(樹種)의 현미경적(顯微鏡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여 수종별(樹種別)로 기재(記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침엽수재(針葉樹材) 및 활엽수재별(闊葉樹材別)로 목재식별(木材識別) 검색표(檢索表)를 간략(簡略)하게 보고(報告)하면 다음과 같다.

  • PDF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식별(木材識別) - I. 육안적(肉眼的) 성질(性質)에 의한 목재(木材)의 특성(特性) 및 그 식별(識別) - (Wood Identification of the Veneer Species that grow in Korea - I. Woo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by the Gross Features -)

  • 이필우;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1-30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實施)하였다. 최근(最近) 목재자원(木材資源)이 점차 고갈(枯渴)되어 외재(外材)의 도입사정(導入事情)이 악화(惡化)됨에 따라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한국재(韓國材)의 활용(活用)을 증진(增進)시키고 그 가공기술(加工技術)을 발전(發展)시킴에 있어서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특성(木材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는 우선적으로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이들 취급(取扱)된 단판수종(單板樹種)은 우리 나라에 생장(生長)하고 있는 33개(個)의 속(屬)으로부터 50개(個)의 경제수종(經濟樹種)을 선정(選定)하였으며 이들 수종(樹種)에 대하여 주로 육안적(肉眼的)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수종별(樹種別)로 기재(記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침엽수재(針葉樹材) 및 활엽수재별로 목재식별(木材識別) 검소표(儉素表)를 간략(簡略)하게 작성(作成)하여 보고(報告)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육안적(肉眼的) 특성(特性)에 따른 식별(識別) 원표(圓表)를 작성(作成)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산(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육안적(肉眼的) 식별(識別) 검소표(儉素表)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