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rg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6초

자가 면역 (Autoimmunity)

  • 김중곤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2호
    • /
    • pp.1165-1172
    • /
    • 2007
  • Self/non-self discrimination and unresponsiveness to self is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the immune system. Self-tolerance is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is incapable of developing an immune response to an individual's own antigens and it underlies the ability to remain tolerant of individual's own tissue components. Several mechanisms have been postulated to explain the tolerant state. They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central tolerance and peripheral tolerance. Several mechanisms exist, some of which are shared between T cells and B cells. In central tolerance, the recognition of self-antigen by lymphocytes in bone marrow or thymus during development is required, resulting in receptor editing (revision), clonal deletion, anergy or generation of regulatory T cells. Not all self-reactive B or T cells are centrally purged from the repertoire. Additional mechanisms of peripheral tolerance are required, such as anergy, suppression, deletion or clonal ignorance. Tolerance is antigen specific. Generating and maintaining the self-tolerance for T cells and B cells are complex. Failure of self-tolerance results in immune responses against self-antigens. Such reactions are called autoimmunity and may give rise to autoimmune diseases. Development of autoimmune disease is affected by properties of the genes of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both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The host's genes affect its susceptibility to autoimmun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promote the activation of self-reactive lymphocytes, developing the autoimmunity. The changes in participating antigens (epitope spreading), cells, cytokines or other inflammatory mediators contribute to the progress from initial activation to a chronic state of autoimmune diseases.

경구면역관용(經口免疫寬容)과 식이항원(食餌抗原)에 대한 면역의 조절

  • 김우호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2권1호
    • /
    • pp.43-51
    • /
    • 1996
  • 경구적으로 투여된 항원에 대해서 특이적으로 T세포의 기능과 항체산생이 억제되는 현상이 경구면역관용(oral tolerance)인 것이다. 지금까지 해석이 곤란하였던 이 현상에 대해서 최근 분자생물학적인 기법이 적용되기 시작한 결과, 이 현상에 관여하는 세포가 주로 $CD8^+$ T세포에의한 억제 혹은 $CD4^+$T세포의 불응답(unresponsiveness)에 기인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각종 cytokine중 IFN$\gamma$, TGF$\beta$, IL-10 등이 이 현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사실 경구면역관용은 말초면역관용을 야기한다는 것이 오래전부터 알려진 한 방도이다. 경구적으로 투여된 항원이 관용을 야기하는 일차적인 기전은 능동적인 억제의 발생 혹은 clone성 anergy(과민증에 대한 무감증)에 의거하는 것이다. 낮은 량의 경구투여항원은 능동적인 억제를 야기하기 쉬우나 반대로 높은 양의 경구투여항원은 clone성 anergy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능동적인 억제를 매개하는 조절세포는 경구면역관용에 의해서 격발된 후 TGF$\beta$및 IL-4와 같은 억제성 cytokine의 분비에 의해서 능동적 억제작용을 한다. 더구나 GALT(gut-associated lymphoid tissue)를 선별적으로 자극하는 항원은 Th2형 세포반응을 발생한다. 또한 이와같은 유도기구의 해석과 동시에 사람에서 면역반응의 이상으로 야기되는 관절 rheumatism이나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그리고 각종 allergy도 이 경구면역관용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PDF

폐결핵 환자의 말초 혈액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임파구 아형과 세포성 매개면역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mediated Immunity and Subtypes of Lymphocyte in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어수택;차미경;이상무;김현태;정연태;우준희;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334-342
    • /
    • 1992
  • 연구배경 : Mycobacteria 감염에 의한 폐결핵은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이 관계한다고 알려져 있는 바, 먼저 Mycobacteria가 흡입되면 T 임파구가 활성화되어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을 나타낸다. 결핵환자에서 tuberculin-purified protein derivative에 대한 피부 면역반응은 주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는 양성반응을 나타내어야하나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도 음성반응(anergy)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폐결핵 환자에서 말초혈액 및 기관지 폐포세액내의 임파구의 세포조성과 이들이 피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의 PPD에 대한 피부반응 검사상 음성으로 나타나는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1명의 정상대조군, 20명의 활동성 폐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PPD에 대한 피부 반응 검사 및 말초 혈액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의 임파구의 아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임파구는 환자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25.2{\pm}4.8$ vs $6.6{\pm}1.3%$, p<0.01), 단구세포(monocyte)는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69.6{\pm}5.7$ vs $89.2{\pm}1.4%$, p<0.05). 2) PPD에 대한 양성 반응을 보인 환자군과 음성 반응을 보인 환자군 사이의 기관지 폐포세척 세포 조성의 비는 차이가 없었다. 3) 환자군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 내의 $CD3^+$, $CD4^+$ 임파구의 조성비는 말초혈액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CD3^+$: $76.56{\pm}2.18$ vs $57.59{\pm}2.17%$, p<0.001; $CD4^+$: $51.24{\pm}2.33$ vs $35.20{\pm}2.32%$, p<0.005), $CD3^+IL-2R^+$, $CD3^+HLA-DR^+$ 임파구의 조성비도 말초혈액보다 증가되어 있었다($CD3^+IL-2R^+$:$2.41{\pm}0.57$ vs $0.93{\pm}0.16%$, p<0.005; $CD3^+$ HLA-$DR^+$: $16.92{\pm}3.89$ vs $3.94{\pm}0.70%$, p<0.005). 4) 환자군중 PPD에 대한 양성반응을 보인 군과 음성반응을 보인 군 사이에는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임파구의 조성의 차이 및 수에서 차이가 없었다. 5) 환자군에서 PPD에 대한 피부반응과 기관지 폐포세척 세포의 조성비 사이에는 모두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PPD에 대한 피부반응과 기관지 폐포세척액 및 말초 혈액내의 임파구아형의 조성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 결론적으로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염증 세포와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음을 알수 있었으며, 활동성 폐결핵 환자에서의 지연성 피부 반응의 저하는 임파구의 구획에 의한 결과라는 것을 배제할 수 없었다.

  • PDF

원자력부문 연구개발투자지출의 경제파급효과 산업연관분석 (Input-Output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R&D Expenditure in the Atomic Anergy Industry)

  • 정기호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4권4호
    • /
    • pp.839-866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원자력부문의 연구개발투자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례연구로서 한국원자력연구소의 연구개발투자 지출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소비, 투자, 수출, 수입, 생산, 부가가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0년도 산업연관표에 기반을 둔 공급유도형 및 수요유도형 산업연관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각 모형으로부터 연쇄효과 승수를 도출하여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RBFN 신경망을 이용한 동영상의 적응 양자화 (Adaptive Quantization of Image Sequence using the RBFN)

  • 안철준;공성곤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71-274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an adaptive quantization of image sequences using the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RBFN) which classifies interframe image blocks. The clssification algorithm consists of two steps. Blocks are classified into NA(No Activity), SA(Small Activity), VA(Verical Activity), and HA(Horizontal Activity) classes according to edges, image activity and AC anergy distribution. RBFN is trained using the classification results of the above algorithm, which are nonlinear classification features are acquired from the complexity and variability of difference blocks.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the adaptive quantization using the RBFN method produced better results better results than that of the sorting and MLP methods.

  • PDF

Al-10wt% TiCp복합재료의 정적 크립특성 (Static Creep Characteristics of AI-10wt% TiCp Composites)

  • 임종국;박종건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9-165
    • /
    • 1993
  • Creep tests of the TiC particulate reinforced Al composite have been conducted in the temperature ranges from 200 to $500^{\circ}C$. The steady-state cree rate of the composite depended strongly on the temperature and ap' plied stress. The stress exponent for the steady state creep rate of the composites was approximately 17.5 and the activation anergy was calculated to be 390KJ/mol. The steady-state creep equation could be written as $\acute{\varepsilon}_{ss}$ $$(s^{-1})=1.5{\times}10^{-9}\;{\sigma}^{17.5}\exp(-390000/RT)$$. Fracture surface examination showed that the fracture mode of the particulate reinforced composite was ductile by plastic tearing of the aluminum matrix and TiC particle interfaces were offered as sites for crack.

  • PDF

LPS에 의해 자극된 B 림프구에 의한 Th1 림프구 분화 억제 (LPS Stimulated B Lymphocytes Inhibit the Differentiation of Th1 Lymphocytes)

  • 김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425-1431
    • /
    • 2015
  • 면역 시스템의 림프구는 B 림프구와 T 림프구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B 림프구는 플라즈마 세포로 분화하여 항체를 생성하는 체액성 면역을 담당하며, T 림프구는 다른 세포나 세균을 죽이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한다. 고전적으로 B 림프구와 T 림프구의 작용은 한 방향으로 이뤄졌다. T 림프구는 B 림프구의 분화를 촉진하고 면역글로불린종류의 전환을 조절한다. T 림프구가 부족한 경우 B 림프구의 부족을 초래함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역으로 B 림프구가 T 림프구의 분화와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예를 들어, B 림프구는 CD8+ T 림프구의 tolerance를 직접 조절할 수 있고, TGF-β의 분비를 통해 T 림프구의 anergy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LPS에 의해 자극된 B 림프구가 수지상세포에서 IL-12의 분비를 억제하여 Th1 림프구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억제는 B 림프구와 수지상세포의 직접적인 interaction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B 림프구가 수지상세포의 성숙을 조절하여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B 림프구에서 분비되는 soluble factor가 LPS에 의해 증가되는 수지상세포의 IL-12p35 transcription을 억제한다. 이 결과들은 B 림프구가 매개하는 새로운 면역억제 기전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고전적인 방향성을 가진 T 림프구에 의한 B 림프구 작용조절로 면역반응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T 림프구와 B 림프구가 서로 작용을 하여 면역평형을 결정하는 기전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폐암환자의 Dinitrochlorobenzene (DNCB) 접촉성 감작에 대한 고찰 (The Evaluation of Dinitrochlorobenzene Contact Sensitization in Patients with Bronchogenic Carcinoma)

  • 조건현;이홍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16-22
    • /
    • 1979
  • Clinical evaluation of contact sensitization to 2, 4-dinitro-chlorobenzene [DNCB] was performed in 2 groups: group A [30 patients with non-malignant disease] and group B [30 patients with bronchogenic carcinoma]. Initial sensitization was elicited out by applying 2, 000 ug of DNCB to skin surface of the both group A and B. Subsequently a relatively weak challenge dose, 200 ug of DNCB, was applied 14 days later, showing the satisfactory results of sensitization with minimizing non-specific irritative inflammatory skin response. Delayed cutaneous hypersensitivity reactions shown by spontaneous flare phenomena appeared at the challenge site, and they were assessed 48 hours later. The reaction were graded from +1 to +4 according to the degree of flare or vesicular re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28 cases [93%] of group A, however, only 18 cases [67%] of group B exhibited delayed cutaneous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DNCB contact sensitization [P<0.02]. 2. Of group A, the delayed cutaneous hypersensitivity reactions above +2 of DNCB score were 25 cases [83%], meanwhile 11 cases [37%] in group B [P<0.001]. 3. Undifferentiated carcinomas showed highest incidence of anergy to DNCB contact sensitization in the all histologic types of group B. 4. In group B, 8 [42%] of 19 cases who react to DNCB were resectable, whereas only 2 [18 %] of 11 cases who failed to react to DNCB were resectable for curative cancer surgery. These study suggests that cellular immune reaction of group B was depressed remarkably comparing with that of group A.

  • PDF

저온열원 활용을 위한 암모니아-물 재생 랭킨사이클의 엑서지 해석 (Exergy Analysis of Regenerative Ammonia-Water Rankine Cycle for Use of Low-Temperature Heat Source)

  • 김경훈;고형종;김세웅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65-72
    • /
    • 2012
  • Rankine cycle using ammonia-water mixture as a working fluid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since it may be a very useful device to extract power from low-temperature heat source. In this work, the thermodynamic performance of regenerative ammonia-water Rankine cycle is thoroughly investigated based on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and exergy analysis, when the energy source is low-temperature heat source in the form of sensible energy. In analyzing the power cycle, several key system parameters such as ammonia mass concentration in the mixture and turbine inlet pressure are studied to examine their effects on the system performance including exergy destructions or anergies of system components, efficiencie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laws of thermodynamics. The results show that as the ammonia concentration increases, exergy exhaust increases but exergy destruction at the heat exchanger increases. The second-law efficiency has an optimum value with respect to the ammonia concentration.

대황목단탕(大黃牧丹湯)의 요산지표 개선효과와 관련 유전자 탐색 (Effects of Daihwangmudan-tang on Urate Lowering and Detection of Relevant Genes)

  • 김중배;지규용;엄현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534-1540
    • /
    • 2005
  • In order to testify the urate lowering effects of Daihwangmudan-tang(DMT), ICR mice were injected monosodium urate into the abdominal cavity and then DMT was administered on 2 and 4 days after Injection. Uric acid and triglyceride were measured as hematological indices of gout, and some genes related with this change were identified by ACP based GeneFishing PCR method and direct sequencing. From this experiment, DMT highly decreased the blood levels of uric acid and significantly suppressed and lowered the acute increment of triglyceride level. There were 11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DEG) having relations with positive actions of DMT, and 4 major genes in the middle of DEGs were sequenced; Mfap 2, jagged 2, Hsd17b7, DkkI-1, These genes were supposed that several mechanisms through interleukin 1 and T-cell anergy, LDL cholesterol metabolism, wnt pathway would be related with the anti-inflammation effect against g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