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accessibility

검색결과 3,342건 처리시간 0.027초

시각 장애인용 온라인 적성검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On-line Aptitude Test System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 반재훈;박혜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105-1110
    • /
    • 2009
  • 직업재활은 장애인이 직업을 통하여 비장애인과 같은 삶을 영위하게 돕는 과정으로 정확한 직업평가를 통해 수행된다. 이러한 직업평가의 전통적인 방법은 평가도구 사용, 상담 등을 이용하는데 웹을 이용하여 직업평가를 수행하게 되면 장애인에게 매우 효율적일 수 있으나 웹접근성을 지원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웹접근성이 취약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적성검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전 세계적으로 진로지도와 상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홀랜드 검사를 이용하며 기존의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홀랜드 검사와 구현된 적성검사 시스템의 웹접근성을 비교 평가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웹 접근성 평가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Social Network Sites)

  • 한혁수;김초이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81-488
    • /
    • 2009
  • 웹 2.0이 등장하면서 나타난 개념인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Social Network Sites)는 오프라인에서 만 존재하던 사회적 관계망을 온라인에서 구축한 친목기반 인맥 형성 서비스이다. 페이스북(Facebook), 마이스페이스(Myspace), 트위터(Twiter)등과 같은 외국 SNS와 싸이월드(Cyworld), 미투데이(Me2Day)등과 같은 국내 SNS는 지속적인 인기를 누리며, 인터넷 환경의 주요한 응용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SNS는 모든 사용자들이 타인과 협력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웹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노인과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웹 접근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웹 접근성은 인지적, 신체적 특징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웹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만약, SNS가 웹 접근성이 낮아 노인과 장애인이 사용하지 못한다면, 노인, 장애인과 일반사용자의 정보격차는 점점 늘어나서 사회적 문제가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 평가 도구인 KADO-WAH 2.0과 웹 접근성 표준 문서인 WCAG(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2.0을 기반으로 SNS인 페이스북과 싸이월드의 웹 접근성을 평가하여, 웹 접근성 준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otion-capture-based walking simulation of digital human adapted to laser-scanned 3D as-is environments for accessibility evaluation

  • Maruyama, Tsubasa;Kanai, Satoshi;Date, Hiroaki;Tada, Mitsunori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3권3호
    • /
    • pp.250-265
    • /
    • 2016
  • Owing to our rapidly aging society, accessibility evaluation to enhance the ease and safety of access to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is increasing in importance. Accessibility must be assessed not only from the general standard aspect but also in terms of physical and cognitive friendliness for users of different ages, genders, and abilities. Meanwhile, human behavior simulation has been progressing in the areas of crowd behavior analysis and emergency evacuation planning. However, in human behavior simulation, environment models represent only "as-planned" situations. In addition, a pedestrian model cannot generate the detailed articulated movements of various people of different ages and genders in the simulation. Therefore,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virtual accessibility evaluation by combining realistic human behavior simulation using a digital human model (DHM) with "as-is" environment models. To achieve this goal, we developed an algorithm for generating human-like DHM walking motions, adapting its strides, turning angles, and footprints to laser-scanned 3D as-is environments including slopes and stairs. The DHM motion was generated based only on a motion-capture (MoCap) data for flat walking. Our implementation constructed as-is 3D environment models from laser-scanned point clouds of real environments and enabled a DHM to walk autonomously in various environment models. The difference in joint angles between the DHM and MoCap data was evaluated. Demonstrations of our environment modeling and walking simulation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including corridors, slopes, and stairs are illustrated in this study.

Understanding Smartphone-based Online Shopping Experiences and Behaviors of Blind Users

  • Park, Jihyuk;Han, Yeji;Oh, Ur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3호
    • /
    • pp.260-271
    • /
    • 2020
  • Smartphones provide blind users with screenreader as an accessibility tool. However, blind users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accessing online shopping malls via smartphones due to their inconsistent and image-based layouts. To enable screenreader users to get access to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products while they are shopping online, we have developed BarrierFreeShop, an accessible mobile shopping application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BarrierFreeShop has three accessibility features: (1) layout automation, (2) review summarization, and (3)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We conducted a user study with 80 participa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ere they were asked to use BarrierFreeShop for a month. The findings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our app in terms of speed and post interview feedback. We have also discovered typical shopping experiences that participants had during the tes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mputer vision technologies can improve accessibility issues in online shopping malls. In addition, we have confirmed that extracting contents from images help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o get better access to product information.

일본 장애아 보육시설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Children in Japan Focusing on Accessibility)

  • 이지예;주서령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75-8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ysical accessibi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for disabled children in Japan. Fifteen centers located in Tokyo, Japan were surveyed through sketching, measuring, taking pictures, and observation. To understand the user's needs. the directors of the center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the followings suggestions were proposed. First, when the entrance of the center is close to the road, careful design for the entrance area is required to secure the safety of children using wheelchairs. If possible, a fence or door between the corridor and entrance is necessary. Second, most aspects of accessibility are pretty well designed. But a canopy over the entrance area is required to escape the rain. Third, a wider corridor space is desirable for storing and driving wheelchairs and for special equipment for the disabled. Forth, because the emergency exits were installed but not used, the new and safer emergency exits should be installed. These results will be a good case reference for developing Korean design guideline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연구를 위한 건강보험 청구자료 요구 및 이용 요인분석 (Assessment of Needs and Accessibility Towards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 이정아;오주환;문상준;임준태;이진석;이진용;김윤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7-92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health policy researchers' needs and their accessibility towards health insurance claim dataset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capacity. Methods : An online questionnaire to capture relevant proxy variables for academic needs, accessibility, and research capacity was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urvey was delivered to active health policy researchers through three major scholarly associations in South Korea. Seven-hundred and one scholars responded while the survey as open for 12 days (starting on December 20th, 2010).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Results : Regardless of the definition for operational needs, the prevalent needs of survey respondents were not met with the current provision of claim data. Greater research capacity was shown to be correlated with increased demand for claim data along with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empts to obtain claim datasets and research capacity. A greater research capacity, however, was not necessarily correlated with better accessibility to the claim data. Conclusions : The substantial unmet need for claim data among the healthcare policy research community calls for establishing proactive institutions which could systematically prepare and make available public datasets and provide call-in services to facilitate proper handling of data.

접근성 지표를 도입한 보행로 서비스 수준의 영향요인 규명 (Determination of Key Factors for the Pedestrian LOS Introducing the Accessibility Index)

  • 최성택;추상호;장진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84-597
    • /
    • 2015
  • 보행로 서비스 수준 평가에 활용된 기존 지표는 보행의 양적인 측면에만 집중한다는 점에서 서비스 수준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평가를 위한 효과척도로 접근성 지표를 제안하였다. 특히 대중교통수단과 보행로간의 접근성에 주목하여 변수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3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에서는 버스와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지표를 활용해 접근성 변수를 수단별로 정의하였다. 2단계에서는 접근성 변수와 보행류율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3단계에서는 접근성 변수를 포함한 보행로 서비스 수준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 결과, 접근성, 보행로 기하구조, 주거와 상업 등의 토지이용 용도 등이 보행로 서비스 수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 상업용도 면적 비율은 보행 활동을 유인하여 서비스 수준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함께 지장물과 버스 정류장이 입지하는 경우에도 서비스 수준은 하락하였다. 그러나 주거면적 비율이 높거나 유효보도폭이 넓을수록 서비스 수준은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행로 서비스 수준 산정, 유효보도폭 결정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접근성 변수를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of Trip Generation Model and Trip Distribution Model Reflecting Coefficient of Accessibility)

  • 전용현;노정현;장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76-584
    • /
    • 2017
  • 교통수요 예측 결과는 교통계획 및 운영과 같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매우 주요하게 작용되고 있다. 교통수요 예측 시 적용되는 기존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모형은 지정된 기점과 종점 간의 통행만을 대상으로 하며 모형의 특성상 접근성 향상에 따라 유발되는 수요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고 모형의 추정력 및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접근성을 반영한 전국 지역 간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접근성을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정산 결과, 접근성 계수의 부호는 양(+)의 값으로 추정되었다. 통행목적 중 업무통행은 타 목적통행에 비해 외부요소의 제약에 가장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통행은 통행비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산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을 관측자료 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결과, 접근성을 반영한 모형의 가중평균(weighted average) 오차율(%), RMSE(Root Mean Square Error), 총 오차량(total error)등이 기존 모형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모형의 추정력 및 신뢰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 분석과 구현 방향 (The Implementation Directions and an Analysis of Assistive Devices and Alternative Format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 임명환;길연희;전광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664-673
    • /
    • 2015
  • 장애인에 대한 정책과 지원,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침 제정, 기술혁신과 제품개발 등으로 장애인 보조기기 분야는 산업측면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최근에는 ICT 발전으로 시각 장애인용 스크린 리더, 점자 디스플레이, 화면 확대기, 문자음성 변환기 등이 출시되어 촉각과 청각으로 인터넷 접속이 용이해지고 스마트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전자출판 콘텐츠를 활용하고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급속하게 전환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기반의 스마트시대에 시각 장애인의 접근성은 아직도 열악하고 보조기기와 대체자료의 성능과 품질도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개발 혁신 측면에서 시각 장애인용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의 현황과 구조를 분석하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구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향후에는 다양한 디지털 정보가 맞춤형 및 실감형 형태로 전환되고 장애인 전용 단말기 또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유통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 내 자연 휴식공간의 네트워크화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Networking for the Natural leisure areas in Gyeonggi-do)

  • 성현찬;서정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6-129
    • /
    • 2009
  •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provincial leisure plans through various programs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to establish a network of natural leisure areas in Gyeonggi-do.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in terms of analyzing the locations of natural leisure areas by types, the rest of urban parks is formed in the Capital area outside Seoul as centering around the central area. Moreover, with regard to the rest of forest and the rest of natural ecology learning, the area of the detention exceeds the total area of Gyeonggi-do. The rest of valleys and swamps showed a dotted pattern of the detention area while the rest of tideland and fishing village experience indicated a distribution of the detention area along the West Coast as an axis. Second, according to result of analyzing the accessibility of natural leisure areas by types, the rest of valleys and swamps showed the highest accessibility among the natural leisure areas : the rest of natural ecology learning had the medium level of accessibility; the rest of forest indicated the lowest accessi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more leisure areas concerning the futures demands. In addition, they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places adjacent to the urban district area exhibiting higher usability and accessibility. In the places where there are many natural leisure area with higher utility, management plans should be deliberated as well.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st of valleys and swamps and the rest of tideland and fishing village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the natural leisure area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intensively and hydrophile property and create hydrophilic spaces. The development of natural leisure areas need to be carried out under the principl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while considering historic sites and nearby rivers and lakes. Moreover, water leisur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ctively as well with further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in order to enhance the usability of natural lei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