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tomb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2초

삼국시대 머리 장신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air Ornaments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 States)

  • 김문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5호
    • /
    • pp.712-72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Hair ornaments in old tombs of the Three Kingdom States. Hair ornaments was divided into Combs, Rod-like hairpins, Chae[;釵], Boyo[;步搖] Combs were 2 type in according to the tooth's space, wide-tooth comb[;梳] and fine-tooth comb(;比). The general name of two type was called Jeul(;櫛). Combs were excavated from the only ancient Silla tombs. Rod-like hairpins were called Gha(叉) or Jam(:簪). They were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Goauryeo, Baekje, ancient Silla tombs. The style was L-type and embellished circular head-type. Chae(;釵) was understand Cha(:叉) that had two tongs. Chae(:釵) was generally U-type and rarely hairtweezers -type. Jakchae(;爵釵) was understand distinctive Chae(;釵) hanged with phoenix. This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Baekje tombs of King of Muryeong. Boyo(;步搖) was originally a hair decoration of the northern nomadic tribes which had been introduced to the Wijin period. Boyo gained its popularity by the women in Dang Dynasty, hair ornaments were considered indicators of status and wealth. Boyo(;步搖) hair accessory features of which are suspended from a elaborate hairpin structure. Such pieces were designed to sway as their wearer walked. The bequest was not found, but we catch the Boyo(; 步搖) that was women'head decoration in painting of old tombs in Goguryeo.

  • PDF

종장판갑(縱長板甲) 부장의 다양성과 의미 - 부산 복천동 164·165호분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nerary Mean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from the 4th Century - Mainly Based on the Burial Patterns Shown by the Ancient Tombs No.164 and No.165 in Bokcheon-dong -)

  • 이유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78-199
    • /
    • 2011
  • 부산 복천동고분군은 4~5세기를 중심연대로 하는 삼국시대 무덤으로 종장판갑이 다량 출토한 고분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06년 복천동 고분 구릉의 동쪽 사면 말단부에 축조된 164 165호분에서 종장판갑 2령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본고에서는 보존처리가 완료된 종장판갑 2령의 내용을 정리하고, 기존 종장판갑 부장 유구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4세기대 종장판갑 부장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164 165호에서 출토된 종장판갑은 제작기술 속성을 기준으로 IIa형식(型式)인 경주 울산식 판갑으로 분류되며, 종장판갑편년 3단계 중 II단계의 이른 시점으로 편년된다. 부장양상을 살펴보면, 동단계에 속하는 구릉 정상부의 대형분에서는 종장판갑이 2령 이상 복수로 부장되지만, 164 165호에서는 1령씩 단수 부장된다. 따라서 복천동에서 경주 울산식 판갑(I IIa식)이 부장되는 단계에는 분묘의 규모에 따라 부장되는 종장판갑의 수량에 격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종장판갑은 지금까지 복천동 고분 구릉 정상부에 위치한 대형무덤에 부장되고 있어 상위계층의 전유물로 생각되어 왔지만, 164 165호분과 같이 무덤의 입지, 규모, 부장유물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중소형분에 속하는 분묘에서도 종장판갑이 부장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164호분은 장단축비가 1:3 이상인 세장방형 목곽묘로 갑옷 및 유구의 형태, 부장유물의 배치 상태 등에서 경주 구정동 3호분, 사라리 55호분 등과 같은 소위 경주식 목곽묘로 볼 수 있다. 반면 부장 토기의 양상은 소위 금관가야식 토기라 불리는 김해지역 토기와 공통되는 점이 주목된다. 4세기대 복천동고분군에서는 분묘의 입지, 규모, 종장판갑의 부장 수량 등에서 분묘간의 격차가 확인된다. 하지만 종장판갑의 부장유무만으로 분묘간의 계층성을 논하기 어려우며, 종장판갑의 부장이 곧 군사력의 장악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는 곤란하다. 164호분의 양상에서는 판갑 부장의 지역성, 복천동 분묘의 계층성에 대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삼국시대 원추형 수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e Shaped Pendant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 김문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5호
    • /
    • pp.485-49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Cone shaped Pendants in old tombs of Three Kingdom States. These Cone shaped Pendants are made of bronze and coated with gold plate or Gold. Each Cone shaped Pendants consists of a Sehwhan(細環) type or Taewhan type, a median part in the form of a several joined small globe, or circular shape, and finally a cone-shared pendant. Cone shaped Pendants is 5 part(A-L A-b, B-1-a, B-1-b, B-2-b type) in according to the styles of the Sehwhan(細環) and Taewhan type and median ornament types. A-a, A-b, B-1-a, B-1-b type was general style that was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Kokuryo, Pacjae, ancient Silla. B-2-b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Kokuryo tombs.

  • PDF

공주 송산리 고분군(公州 宋山里 古墳群)에서의 물리탐사와 무령왕릉(武寧王陵)의 구조분석 (Geophysical Exploration of Songsalli Ancient Tombs and Analysis of King Muryeong's Tomb Structure, Gongju)

  • 오현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4호
    • /
    • pp.4-23
    • /
    • 2013
  • 공주 송산리 고분군(公州 宋山里 古墳群)은 7기의 무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7호분인 무령왕릉(武寧王陵)은 1971년에 5호분과 6호분의 배수로 공사 중 발견된 전축분이다. 당시 발굴조사는 무덤의 입구와 현실 내부의 측량조사, 유물수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봉토부 조사에서 호석의 일부 잔존상황과 석회혼합토층을 확인하였으나 봉토를 더 깊이 제거하여 전축분의 외형구조까지는 조사하지 않았다. 발굴조사 후 6호분과 7호분에서 벽돌 손상, 습기와 곰팡이로 인한 벽화 손상이 발견되었다.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공주대학교가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물리탐사를 포함하여 송산리 고분군에 대한 종합 정밀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1999년에 보수공사가 이루어지고 문화재보존을 목적으로 5, 6, 7호분은 영구 보존 조치되어 현재 일반인의 출입을 금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송산리 고분군 5, 6, 7호분의 지표 위에서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GPR 탐사를 실시하여 보수공사 이후의 지하의 상태를 파악하고 무령왕릉의 내부에서 GPR 탐사를 실시하여 전축분의 벽체의 두께와 외형적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지표에서의 탐사결과, 3기의 고분 주변의 토양은 $5{\sim}90{\Omega}m$ 의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나타내고 있어 토양이 갖는 함수율이 보수공사 이전처럼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PR 탐사결과, 무령왕릉 현실의 벽체 축조방식은 약 35cm 길이의 벽전을 길이방향으로 두 장 잇댄(2B 벽돌쌓기) 약 70cm 두께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연도부는 약 80cm 두께로 측정되어 현실의 벽체와 같은 두 겹 구조에 눈썹아치가 복합된 구조로 추정된다. 그리고 천장의 외형은 내부의 모양과 같은 아치 구조임을 탐사결과를 통하여 추정할 수 있었다.

고대 사카 쿠르간 매장의례의 초보적 검토 - 제티수지역 카타르토베 유적 사례를 중심으로 - (A rudimentary review of the ancient Saka Kurgan burial rituals - Focused on the case of Katartobe Ancient Tombs in the Zhetisu Region -)

  • 남상원;김영현;서강민;정종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63-84
    • /
    • 2022
  • 고대 유목문화 중 하나인 사카(Saka)문화는 유라시아 고대 문화 네트워크의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들에 의해 조영된 카타르토베(Katartobe) 고분군에 대해 대한민국 국립문화재연구원과 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문화유산연구소가 3년간 공동 발굴하였던 내용을 재해석해 보았다. 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던 고고학적 자료들을 토대로 주변의 사카문화권에서 확인된 고분 조사 사례들과 비교·검토하여 카타르토베 고분군 축조 집단의 매장의례를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그들은 매장의례 과정에서 동물을 함께 매장하기도 하고 제사를 지내기도 하며, 망자를 땅속에 묻고 불을 사용한 의식을 치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장의례는 사카문화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었음을 다른 유적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당시 하나의 봉분 아래 다수의 목곽이 설치될 경우 대부분 동시에 매장이 이루어졌으며, 망자의 죽음 시점이 다를 때는 2차장인 세골장이 이루어졌다는 것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묘도가 발견된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단지 매장을 위한 통로가 아닌 별도의 의식이 이루어지는 장소였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의 삶에 있어 중요한 동반자 역할을 하였던 동물들도 쿠르간 내 출토되는 위치와 종류, 뼈에 나타난 흔적들을 통해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매장 의례의 각 단계에서 서로 달리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물의 매장은 출토된 위치와 동물의 종, 뼈에 나타난 흔적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장토기들은 인근 사카문화계 고분군들과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비슷한 기종들이 공헌용기로 사용되었으며, 두향을 서쪽으로 하고 있는 피장자들의 두부(頭部)쪽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족부(足部)가 위치하는 목곽 모서리에 토기를 한 점씩 배치하는 것은 카타르토베 고분군 축조집단의 독특한 매장의례였다. 현재 중앙아시아 쿠르간에 대한 조사자료가 다량 축적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성급한 일반화를 논하기는 어려운 단계이다. 실제로 하나의 유적 내에서도 일부 정형성이 있는가 하면 그 안에서도 다양성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세한 관찰과 연구가 지속된다면 고대 유라시아 문화 네트워크 주역들의 문화를 복원하는 데 큰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출토 소환두도의 재료학적 특성 (A Material Characteristic Study on the Sword with an Undecorated Ring Pommel of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gam-Ri, Naju)

  • 이혜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160-171
    • /
    • 2019
  • 나주 정촌고분 1호 석실 출토 소환두도는 내부 별도 장식이 없는 오각형 환두도이다. 또한 모도와 자도 2자루로 구성된 모자대도이다. 정촌고분 소환두도는 환두부, 병부, 신부, 초미금구로 구성되었다. 소환두도 환두는 철지은장(鐵地銀裝)이지만 은(銀)이 염화은으로 부식되면서 연보라색을 띠며 내부 철제 심의 부식물이 표면에 형성되었다. 염화은은 염화이온이 용해된 매장 환경에서 은이 수분과 반응하여 생성되는데, 가루 형태로 부식되어 유물의 형태 보존을 어렵게 한다. 정촌고분에서 함께 출토된 다른 은제 유물도 유사한 부식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정촌고분 소환두도의 X선 투과조사 및 CT 분석 결과, 철제 외환에 T자형 슴베를 만들고 신부의 슴베와 연결하였다. 소환두도의 자도를 참고하여 모도의 형태를 유추하면, 모도는 환두, 병두금구, 병연금구를 은판(銀板)으로 감싸고 금제 환과 은제 선으로 병부를 장식하였다. 환두 슴베와 신부 슴베의 연결 방식은 리벳 구멍이 확인되지 않아 단접(鍛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미금구는 철판으로 형태를 만들고 끝단을 견직물로 감싸고 그 아래를 은판과 금제 환으로 장식하였다. 정촌고분 소환두도는 금 은 철제 금속을 다양하게 사용하였으며 백제, 신라, 가야의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주변 유적 및 여러 문화권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라 $5{\sim}6$세기 임당고분군 직물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s excavated in Shilla Tombs($5{\sim}6th$ Century))

  • 박윤미
    • 복식
    • /
    • 제58권1호
    • /
    • pp.9-16
    • /
    • 2008
  • Six of the Imdang tombs containing remains with imprints of ancient fabrics and textiles were investigated. Within the tombs, a total of 120 pieces of imprinted fabrics and textiles were investigated, all of which belongs to $5{\sim}6C$ Shilla period. All of the hemp textiles examined exhibited similar characteristics found in ancient hemp textiles: they were woven by plain weave technique with s-twist threads. The examined silk could be categorized into plain woven silk, cho, and double woven brocade, all of them made with non-twisted threads and degummed silk. The density of the plain woven silk ranged from 39 threads to 144 threads. Cho was also found, which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ose of Gaya and Bakjae tombs. One piece of 2/1 twill weave on plain ground and 12 pieces of double woven brocade were found and their average density was $97.4{\times}33.4/cm$ with denser warp than weft. The various thickness of the threads were observed in the examined plain braid. The silk with twining technique showed thicker warp than weft. This is similar to the techniques of fabrics found in the King Muryeoung's Tomb of the Bakjae period. Fabrics with the purple-like color were observed in the some of the double woven brocades and also on the plain woven silk imprinted on the remains. The purple-like color was revealed to be purple with a tint of violet. The two tombs from which the imprinted fabrics with purple-like color were found belonged to top-class social level of the Shilla period, which informs that the purple color was used exclusively for the people of higher social status. The floss silk was found between the double woven brocade and plain woven silk of the belt, which is an important evidence that the floss silk was used for stuffing in the early 6th century.

삼국시대 관모 및 관식 유물 감정을 위한 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Headgear and Ornaments for Diadem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 김문자
    • 복식
    • /
    • 제58권5호
    • /
    • pp.13-34
    • /
    • 2008
  • In Headgear and Ornaments for Diadem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ere was Conical Cap(or Pointed Cap), Feathered Cap(Trim), and Crown[Tree-typed Diadem and Tree and Antler-typed Diadem] was excavated from the tombs. Feathered Trim is 5 types, Feathered Trim I-A, Feathered Trim I-B, Feathered Trim II-A, Feathered Trim II-B, Feathered Trim II-C in according to upper part of central insert plate style. Feathered Trim I-A, I-B, II-B type was general style that was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ancient Silla, Gaya. Feathered Trim II-A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Silla tombs and II-C type was excavated from Gaya tombs. The Ornaments for Diadem in Baekje was excavated from the tombs is adorned with a arranged leaf-stems on either sides and the flower-shaped. They were distinguished with the original mode of Goguryeo and ancient Silla at the time. Tree-typed Diadem is five part in according to the Mountain(;山)-typed piled up. Only one Mountain(;山)-typed one in three stand-up ornament(I-1 type), and three step one in three stand-up one(I-2 type), modification one (I-3 type), three step one of four and five stand-up ones(I-4 type), and four step one of four and five stand-up ones (I-5 type). Tree and Antler-typed Diadem is three part in according to the step of Mountain(; 山)-typed and cross-shaped of the upper part. Three one of three step one of Mountain(;山)-typed and two Antler- typed (II-1 type), cross-shaped one(II-2 type), four step one(II-3 type).

고신라, 가야고분출토 수목형.수목녹각형입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e-typed and Tree and Antler-typed Diadem in the old tombs of ancient Silla, Gaya)

  • 김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9-5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Tree-typed and Tree and Antler-typed Diadem in old tombs of ancient Silla, Gaya. First, Tree-typed Diadem is four part in according to the Mountain(; 山)-typed piled up. Only one Mountain(; 山)-typed one in three stand-up ornament(I-1 Style), and three step one in three stand-up ones(I-4 S.). Three and Antler-typed diadem is three part in according to the step of Mountain(; 山)-typed and cross-shaped of the upper part. Three one of three step one of four step one(II-3 S.). They were influenced by Tree worship and cult of deer in Northern mounted nomadic groups.

  • PDF

용해(龍海) 발해 왕실고분 출토 유물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ostume Relics Excavated from Royal Family's Ancient Tombs of Balhae at the Runghai Sites)

  • 전현실;강순제
    • 복식
    • /
    • 제61권10호
    • /
    • pp.72-88
    • /
    • 2011
  • This study is about the costume relics that were excavated from M10 of the 6th site, M13 and M14 of the 8th site among all the Runghai(龍海) ancient tomb sites that were known as the royal family's tombs of Balhae, which were built from the late 8th century to the early 9th century. These costume relics were also introduced in the academic journal of Chinese archaeology(考古) 6 in 2009. The summary of the results that focused on finding features of the costume relics and its meaning were as follows: 1. Male and female statues, both of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Runghai ancient tomb sites, had the shape and composition of the government official's costumes such as the Danryeong(團領), Bokdu, and Gwadae. The female's hairstyle and accessories were quite similar to other costume relics of Balhae. In particular, the male statues wearing the Danryeong and Bokdu were considered as the normal figures of government officials of Balhaeafter the mid 8th century. 2. The female statue wearing the male attire is considered as a maid, and we can confirm that women dressing up like a man was a popular trend in Tang(唐), and this trend was introduced to Balhae. 3. The back flap(垂脚) of Bokdu that the male statue is wearing in M10 of the 6th site, has a shape that has not been found in the ancient relics of both Balhae and Ta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a unique shape of Bokdu of Balhae. However, it needs to be observed more and discussed in the future. 4. In regards to the Gwadae, the outside of the Gwadae is decorated with jade and has an embossed carving that is gold inside. The Gwadae of the Runghaisites has a unique design and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ancient relics. 5. The gold trefoil crown and the leather conical hat that were found in M14 of the 8th site can be seen as the basic composition of official's hats in ancient Korea. Also, the motif of the gold trefoil is closely related to Anthemion that is often seen in the relic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Thus, we can assume according to this important finding that the style of ancient Korea official's hats came from either the king or a royal family of Balhae after the mid 8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