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infrastructure

검색결과 3,348건 처리시간 0.037초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암반 발파 시 암반 사면의 진동속도 거동 분석 (Analysis of Vibration Velocity Behavior of Rock Slope in Rock Blasting by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 박찬영;허재영;김용진;이승주;김영석;김지훈;김용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71-8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암반 발파 시 발생하는 사면 재해를 방지하기위해 지중 관입형 변위센서를 이용한 암반 발파 시험을 수행하고 3차원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통해 지중 관입형 변위센서의 적용성 검증 및 암반 발파 시 진동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에 대해 고찰하였다. 암반 발파 시험 결과 지중 관입형 변위센서는 암반사면 거동 계측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임을 확인하였으며, 수치해석 결과 암반 발파 시 진동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는 단위중량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발파원과 멀어질수록 진동속도는 급격하게 줄어들고 발파원과 가까울수록 동탄성계수와 단위중량의 차이에 따라 최대 진동속도 차이는 크게 발생하며 내부마찰각과 점착력 변화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교통 인프라 투자와 농촌지역 발전에 미치는 영향 - 정책평가를 위한 탐색적 분석 - (Transport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Its Impacts on Rural Development : Exploratory Analysis for Policy Evaluation)

  • 이원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03-514
    • /
    • 2015
  • 본 연구는 교통 인프라 투자의 농촌지역 발전 효과를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교통 인프라 투자와 농촌지역 발전 간의 다층적인 인과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분석틀을 설정하고, 교통 인프라 투자와 농촌지역 발전의 공간적 패턴을 기술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농촌지역에서 교통 인프라 투자와 지역발전 간의 직 간접 관계에 대해 탐색적인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 인프라 투자는 접근성 제고를 통해서 인구기반 활성화와 생산 소득 증대에 뚜렷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인구기반 활성화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생산 소득 증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농촌지역에서도 지금까지 교통 인프라 투자가 단기적 및 장기적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지역발전의 궁극적인 목표인 생산 및 소득의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도시 생태공원의 풍환경 평가 적용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Application of Wind Environment Assement on Ecological Parks in Cities)

  • 김원술;정일원;권지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117-122
    • /
    • 2019
  • 도시공원은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을 줄여주고 열섬현상을 완화시켜주는 중추적인 역학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른 2020년 7월 이후 도시공원 제한이 일부 해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공원부지 확보와 더불어 생태공원 조성 등 공원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원 주변에 건설되고 있는 고층건축물에 의해 발생하는 빌딩풍은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생태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동·식물의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풍환경 평가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게 제안된 바가 없으며, 관련 연구 또한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외풍환경 평가기준 및 관련 연구를 검토하여, 풍환경 평가 기준의 중요 인자를 도출하고, 국내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한 풍환경 평가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침해사고 분석을 통한 기반시설 보호 강화 모델 연구 (A Study on Models for Strengthening Infrastructure Protection through Analysis of Cyber Intrusions)

  • 윤오준;한복동;박정근;서형준;신용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2호
    • /
    • pp.29-36
    • /
    • 2015
  • 최근 한수원을 대상으로 한 해킹 협박과 원전자료 공개 사고는 국가 사회 기능유지를 위한 기반시설의 보호 및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켰다. 그러나 이들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보안 활동이나 제도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향후 유사한 침해사고는 지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심지어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우려도 있어 우리 국민들은 불안해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 6개의 해킹조직으로 6,800여명의 해커를 운영하면서 불법자금 획득과 에너지 교통 등 기반시설까지 해킹하여 심리전까지 구사하고 있어 우리의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외 기반시설에서 발생한 침해사고 사례, 그에 따라 수립된 대책의 이행과정과 현행 기반시설 보호제도의 운영상 미비점을 분석, 평가하여 기반업무 수행체계 재정립, 기반시설 지원 강화 및 의무 부과, 보안점검 및 대응훈련 강화 등 우리나라의 기반시설 보호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토지이용 및 기후 예측자료를 활용한 미래 기저유출 분석 (Analysis of Baseflow using Future Land Use and Climate Change Scenario)

  • 최유진;김종건;이동준;한정호;이관재;박민지;김기성;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1호
    • /
    • pp.45-59
    • /
    • 2019
  • Since the baseflow, which constitutes most of the river flow in the dry seas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olution of river runoff and drought,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eflow for river management. In this study, land use change was evaluated through time series data of land use, and then baseflow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land use change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ribution of baseflow of scenarios considering both climate change and land use change was lower than that of scenarios considering only climate change for yearly and seasonal analysis. This implies that land use changes as well as climate changes affect base runoff. Thus, if we study the watershed in which the land use is occurring rapidly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both land use change and climate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ying the baseflow characteristics in the Gapcheon watershed considering various land use changes and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물리적 인프라의 서비스 취약요소 및 취약지역 진단 연구 - 마포구를 대상으로 (Underserved Elements and Regions of Physical Infrastructure for the Community Care - Case Study of Mapogu)

  • 김현주;이승지;이은진;전수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39-48
    • /
    • 2021
  • Purpose: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regional diagnosis methods and results combined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to expand the physical infrastructure related to community care services. To this end, the physical infrastructure for the core elements of community care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fulfilment and access of facilities to derive the underserved elements and regions. Methods: Utilizes GIS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at can derive physical infrastructure service areas. Underserved elements a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rvice area for each core element. Next, the underserved regions for each core element are derived through the overlapping of the set service area and the diagnosis population. Results: Among the physical infrastructure by core elements for community care, the housing support element was considerably weak, and the nursing care facility compared to health care was also analyzed to be weak. In addition, underserved regions by dong in Mapo-gu were deduced and presented for each diagnosed population. Implications: The discovery of underserved elements and underserved regions is meaningful as a diagnostic process that can derive the physical infrastructure that needs to be expanded urgently for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and determine the priority projects and targets of the projects.

영유아 자녀돌봄 자원 공급 수준에 따른 지역사회 유형화 (Categorization of Community Types Based on Childcare Resource Supply for Infants and Toddlers)

  • 김소영;유재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2호
    • /
    • pp.233-245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munity-level childcare infrastructure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to use the data to categorize community types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with spatial constraints. Seven indicators of childcare resource supply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categorization and the results revealed six types of community cluster. Communities in the Type 1 cluster provided sufficient parks, libraries, and kindergartens, but lacked pediatric facilities a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This cluster comprise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in Gangwon-do, Gyeongsangbuk-do, Chungcheongbuk-do, and Jeollabuk-do. The Type 2 cluster had numerous pediatric facilities and childcare centers, but lacked other childcare infrastructure. This comprise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Gyeonggi-do, some areas in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and Gangwon-do bordering Gyeonggi-do. The Type 3 cluster comprised Busan, Daegu, and Gyeongsangnam-do, but had insufficient childcare infrastructure as a whole. Type 4 had the largest number of childcare centers, libraries, an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mprised Jeollabuk-do, areas near Gwangju, and Jeju-do. Type 5, consisting of Seoul, Incheon and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had many pediatric facilities and certified childcare centers, but lacked other childcare infrastructure. Type 6, being the rural areas and islands in Jeollanam-do, had sufficient kindergartens, but other infrastructure was insufficien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local government with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relieving the childcare burden on residents with infants and toddlers.

Analysis of Research status based on Citation Context

  • Kim, Byungkyu;Choi, Seon-heui;Kang, Muyeong;Kang, Ji-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2호
    • /
    • pp.63-68
    • /
    • 2015
  • A citation analysis utilizes the relations among citations and is the most popular bibliometric method. This analysis is based on 1) the evaluation by paper, journal and researcher of the research output, 2) the identification of emerging research topics, 3) the production of a map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research domain and 4) various services for academic information. However, this approach has a limitation in that a citation is treated in a very simple manner, even though the purpose of citation can vary greatly. To address this problem, new approaches have been studied that take into account the citation context. This research separates the citations according to the citation functions and tries to conduct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newly classified citations. Furthermore, research on the citation summarization and visualization based on both the citation context and the citation function of the citations was also attempted. However, since there are very few studies related to citation context in South Korea,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in this area.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the research in terms of the citation context. For this, we utilize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만족도 분석 (Satisfaction Analysis for Green Infrastructure Activation around Dam in Terms of Sustainability)

  • 이동규;손병훈;안병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3-94
    • /
    • 2023
  • 본 연구는 다목적댐, 용수댐, 홍수조절지댐 등 39개 댐 주변 그린인프라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공간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조성된 댐 그린인프라에 대한 리커트(Likert) 척도 5점 기준 만족도는 3.76으로 나타났고 응답자의 성별, 나이, 거주지, 댐 방문 횟수,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성별의 경우 p<.05, 나이, 거주지, 댐 방문횟수,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은 p<.01로 나타났다. 이러한 응답자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댐 방문횟수와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의 특성 변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댐 그린인프라의 주요 공간인 공도교, 전망공간, 놀이공간의 구상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전망공간이 4.43으로 가장 높았고, 놀이공간이 4.35, 공도교가 4.21로 분석되었다. 각 공간의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 p<.01로 나타나 값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현재의 그린인프라에 대한 만족도와의 차이는 p=.00으로 분석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만족도 분석 결과를 통한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 방안으로는 주요 방문객 대상을 40대~50대를 대상으로 니즈(needs) 파악 및 이를 고려한 공간 조성이 필요하며, 비교적 댐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충북, 전주, 울산 지역의 댐 주변 그린인프라 현황 분석을 통한 타 지역에 도입 가능한 시설, 프로그램 등을 도출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간별 만족도 분석결과 댐의 구조와 형태를 고려한 포장 재료 선정, 호수의 전망을 고려한 전망시설 배치, 지역의 환경 자원을 활용한 놀이시설 등의 시설 도입 시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며, 공간별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를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시행이 필요한 공간을 전망공간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도시지역에 위치한 댐 주변지역의 그린인프라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측면을 고려한 공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이에 대한 공간개선은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그린인프라 연결성 향상에 기여 가능하며, 이는 우리나라 그린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하계해석을 이용한 수직방향 지진계수 영향에 따른 비탈면의 안정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lope Stabil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Vertical Direction Seismic Coefficient Using Lower Bound Analysis)

  • 최상호;김종민;김용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2호
    • /
    • pp.123-131
    • /
    • 2012
  • 최근에 발생한 아이티지진, 칠레지진의 지진파 기록에서 일반적으로 비탈면 안정해석에서 무시되었던 수직방향 지진가속도 성분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수직방향 지진성분은 진원이 내륙에 위치한 경우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설계에 수직방향 지진성분을 고려하지 않은 지반 구조물들은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진계수비에 따른 수평방향 항복지진계수의 하계해를 산정하였고,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한계상태 수직방향 지진계수의 방향(상향, 하향)을 결정할 수 있는 관계식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