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oebic meningoencephaliti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Naegleria fowleri로 면역된 어미에서 태어난 마우스의 방어면역 결여 (Failure of immunization with Naegleriu fowleyi in mice born to immune mothers)

  • 임경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51-155
    • /
    • 1985
  • CGVS 배지에서 무균 배양한 Naegleria fowleri 영양형을 5% formaldehyde로 고정시켜 $1{\times}10^6$개씩 일주일 간격으로 3회 또는 6회 BAKA/c 마우스 복강내에 주입시켜 면역시켰다. 면역이 끝나고 7일후 배양된 N. fowleri영양형 $5{\times}10^4$개를 secobarbital로 마취된 마우스 비강에 떨어뜨려 감염시켰다. 어미 마우스에만 또는 어미와 그 새끼 마우스에 모두 면역시켰을 때, N. fowleri 감염에 의한 사망율에 있어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그 생존기간은 연장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새끼마우스에만 면역시켰을 때 사망율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생존기간도 훨씬 연장되었다. 새끼 마우스에만 면역시켰을 때 방어면역 효과가 현저하였으나, 어미 마우스에만 또는 면역시킨 어미로부터 태어난 새끼 마우스에 면역시켰을 때는 방어면역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장적출(splenectomy)이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lenectomy on Development of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 신호준;임경일;최림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56-164
    • /
    • 1985
  • 자유생활아에마중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Naegleria fowleri영양형 $5{\times}10^4$개를 생쥐의 비강내 로 감염시켜서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받생시켰다. 그런 과정중 비장을 적출하여 그 영향에 대하여 생쥐의 체중과 수술후 회복기간별로 뇌수막염에 의한 사망율과 평균생존기간을 비교하였다. 또 생쥐의 혈청중 면역확산법으로 항체의 형성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각 실험군에서 채취한 혈청을 전기영동법을 실시하여 혈청단백질분획을 바교하였다. 본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생후 3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1주일 후에 N. fowleri로 감염시킨 실험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100%, 85%,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7.3일, 7.5일, 7.8일이었다. 2. 생후 3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3주일 후에 N. fowleri를 감염시킨 실험 I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95%, 95%,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12.1일, 11.5일, 11.5일이었다. 3. 생후 5주째에 비장을 적출하고 1주일 후에 N. fowleri를 감염시킨 실험 III에서 대조군, sham군, 비장적출군 사이의 사망율은 각각 95%, 90%, 95%이었으며, 평균생존기간은 8.1일, 8.3일, 8.6일 이었다. 4. 원발성 아에바성 뇌수막염이 발생된 생쥐의 혈청을 면역확산법을 실시한 결과, 항원-항체 복합체의 2중으로 된 침강대를 관찰하였다. 5. 혈청단백질분획의 비교는 다음과 같았다. 1)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를 감염 시키기 전에 채취한 혈청중, 대조군에서 분획 III, IV 이 sham군과 비장적출군에 비하여 다르게 나타났다. 2)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을 감염시켜서 뇌수막염을 발생시킨 생쥐의 혈청에서는 대조군과 sham군의 분획 II, III, V가 비장적출군과 달랐다. 3) 비장을 적출한 후 N. fowleri를 감염시키기 전에 채취한 혈청과 감염시킨 후 뇌수막염에 의하여 사망하기 직전에 채취한 혈청사이에서는 분획 I, III, N, V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병원성이 강한 N. fowleri 영양형을 생쥐의 비강내로 떨어뜨려 원말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발생시킬 수 있었고, 비장을 적출하면 혈청 단백칠분획에는 차이를 나타낼지라도 생쥐의 사망율과 평균생존기간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우스에서 Naegleria fowleri에 의한 뇌수막염 발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Meningoencephalitis by Nuegleria fowleri in Mice)

  • 안명희;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53-258
    • /
    • 1984
  • Naegleria fowleri를 마우스 비강을 통하여 감염시킨 뒤 P.A.M. 발생율 및 발병후 생존기간을 마우스 주별 체중별, 성별, 접종아메 바수에 따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N. fewleri를 감염시킨후 P.A.M. 발생은 ICR마우스보다 BALB/C마우스에서 많았으며 감염후 평균생존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2. 마우스 성별에 따른 N. fowleri감염후 P.A.M.발생율 및 발병후 평균생존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3. 체중이 다른 여러 실험군에서 P.A.M. 발생율 및 사망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발병후 마우스의 평균생존 기간은 체중이 가벼운 실험군에서 짧았다. 4. 감염시킨 아메 바수에 따른 P.A.M. 발생율은 영양형 Ix104이상 감염 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0.5x104인 경우 P.A.M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Efficient Liquid Media for Encystation of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 Sohn, Hae-Jin;Kang, Heekyoung;Seo, Ga-Eun;Kim, Jong-Hyun;Jung, Suk-Yul;Shin, Ho-J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233-238
    • /
    • 2017
  • Pathogenic Naegleria fowleri, Acanthamoeba castellanii, and Acanthamoeba polyphaga, are distributed worldwide. They are causative agents of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or acanthamoebic keratitis in humans, respectively. Trophozoites encyst in unfavorable environments, such as exhausted food supply and desiccation. Until recently, the method of N. fowleri encystation used solid non-nutrient agar medium supplemented with heat-inactivated Escherichia coli; however, for the amoebic encystment of Acanthamoeba spp., a defined, slightly modified liquid media is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generate pure N. fowleri cysts, a liquid encystment medium (buffer 1) modified from Page's amoeba saline was applied for encystation of N. fowleri. N. fowleri cysts were well induced after 24 hr with the above defined liquid encystment medium (buffer 1). This was confirmed by observation of a high expression of differential mRNA of nfa1 and actin genes in trophozoites. Thus, this liquid medium can replace the earlier non-nutrient agar medium for obtaining pure N. fowleri cysts. In addition, for cyst formation of Acanthamoeba spp., buffer 2 (adjusted to pH 9.0) was the more efficient medium. To summarize, these liquid encystment media may be useful for further studies which require axenic and pure amoebic cysts.

면역시킨 마우스의 비장세포, 혈청 또는 모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Naegleria fowleri 감염에 대한 방어 능력 (Resistance to Naegleria fowleri infection passively acquired from immunized splenocyte, serum or milk)

  • 안명희;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79-86
    • /
    • 1989
  • Naegleria fowleri로 면역시킨 마우스의 혈청이나 비장세포를 다른 마우스에 주입시켜 N. fowleri 감염에 대한 면역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또 어미 마우스를 N. fowleri로 면역시 킨 다음 면역시키지 않은 어미에서 태어난 새끼 마우스에게 면역시킨 마우스의 모유를 먹게한 뒤 모유를 통한 면역 효과의 전달 여부를 관찰하였다. 면역시킨 마우스의 비장세포나 정상 마우스의 혈청을 다른 마우스에 주입시킨 경우 감염 후 사망률이 감소하였으나 혈중 IgG는 증가되지 않았다. 한편, 면역시킨 마우스의 혈청이나 정상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준 경우 혈중 보G가 증가되고 감염 후 생존 기간은 연장되었으나 결국은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다. 즉 면역시킨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의 혈청이나 비장세포를 다른 마우스에 주입시키면 사망률이 감소되거나 생존 기간이 연장됨을 알 수 있었다. 또 면역시킨 어미 마우스의 혈중, 모유 내, 또는 그 모유를 먹은 새끼 마우스의 혈 중에서, N. fowleri에 대한 IgG는 증가되었으나 IgA는 증가하지 않았으며 증가된 항체도 감염 후 의 사망률이나 생존 기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Prednisolone 투여가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실험적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dnisolone Treatment on the Experimental Inducement of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 김옥용;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65-172
    • /
    • 1985
  • Naegleria fowleri의 감염에 의한 생쥐의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발생에 prednisolone투여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실험군 별로 $1{\times}10^5$의 N. fowleri를 감염시킨 후 생존기간을 관찰하였더니, prednisolone을 투여한 제1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10.2일, 제2군은 10.6일, 제3군은은 11.3일로써 prednisolon을 투여한 군이 비투여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으며, prednisolon투여군인 제1, 2, 3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투여군인 제1군에서 생존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각 실험군 별로 감염 이후 20일까지 체중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prenisolone 투여군에서는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투여하는 시기부터 어느 정도 감소하다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prednisolon만 투여한 제 IV군에 비하여 제1, 2, 3군에서 체중이 더욱 심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조군은 감염 8일 후부터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아 체중감소현상은 주로 prednisolone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3. Prednisolone 투여한 감염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뇌와 폐조직에서 비교적 심한 병변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4. 감염된 생쥐의 임상증세는 감염 후 며칠이 지나면 머리를 비비고 고개를 떨구며, 식욕부진이 나타나 먹이를 먹지 않다가 발작이 오고, 빈사상태가 되어 사망하게 된다. 대부분의 생쥐에서 이러한 증세가 나타나는데, prednisolone 투여군에서는 감염 5일 이후부터 증세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은 감염 8일 이후에야 나타나 10일경에 사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항 보면 prednisolone을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면역반응을 억제시켜 줄 경우 N. fowleri에 감염된 생쥐의 생존기간은 단축되고 병변도 더욱 심하게 나타나며, 감염전에 투여해 주는 것이 가장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Naegleria fowleri 감염에 대한 방어면역에 관한 실험적 연구 (Protective immunity against Naegzeria meningoencephalitis in mice)

  • 이순곤;임경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293-299
    • /
    • 1985
  • 병원성 자유생활 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를 CGVS 배지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그 영향형을 복강내로 주입하여 인위적으로 면역시킨 마우스에 본 원충율 비강내로 감염시켰을때 방어면역이 생성되는지를 관찰하였다. 감염 8일후부터 마우스가 사망하기 시작하였고 이 마우스의 뇌에서 전형적인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이 발생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N. fowleri 감염으로 인한 마우스의 사망율은 대조군에서 보다 네가지 항원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 모두 현저히 낮았으며, 감염에서 사망할 때까지의 생존기간도 면역시킨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연장되었으나, N. fowleri 세포막항원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할때 차이가 없었다. 또한 N. gruberi 영양형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도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이상의 성적을 요약하면 N. fowleri를 마우스 복강내로 주입시켜 면역시킬 때 방어면역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실험적 Acanthamoeba 수막뇌염에서 세포성 면역에 관한 연구 (Cell-mediated immunity in experimental amoebic meningoencephalitis)

  • 임경일;정평림;김태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73-78
    • /
    • 1989
  • 병원성이 강한 Acanthamoeba culbertsoni를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경과된 감염기간에 따른 세포매개성 면역반응과 혈청 내 항체가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9H]-thymidine을 이용한 마우스 비장세포의 아세포화를 관찰하였는데 사용된 mitogen으로는 concanavalin A(Con A)와 lipopoITsaccharide(LPS)였으며, 항체의 측정을 위하여 효소표식 면역검사법(ELISA)을 시행하였다. T림프구 및 B림프구의 아세포화 정도는 A. culbertsoni 감염 7일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기간에 서는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감염된 마우스의 혈청 내 항체가도 감염 7 일 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Naegleria fowleri Induces Jurkat T Cell Death via O-deGlcNAcylation

  • Lee, Young Ah;Kim, Kyeong Ah;Shin, Myeong He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501-505
    • /
    • 2021
  • The pathogenic free-living amoeba Naegleria fowleri causes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a fatal infection, by penetrating the nasal mucosa and migrating to the brain via the olfactory nerves. N. fowleri can induce host cell death via lytic necrosis. Similar to phosphorylation, O-linked β-N-acetylglucosamine (O-GlcNAc) glycosylation (O-GlcNAcylation) is involved in various cell-signaling processes, including apoptosis and proliferation, with O-GlcNAc addition and removal regulated by O-GlcNAc transferase and O-GlcNAcase (OGA), respectively. However, the detailed mechanism of host cell death induced by N. fowleri is un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N. fowleri can induce the modulation of O-GlcNAcylated proteins during cell death in Jurkat T cells. Co-incubation with live N. fowleri trophozoites increased DNA fragmentation. In addition, incubation with N. fowleri induced a dramatic reduction in O-GlcNAcylated protein levels in 30 min. Moreover, pretreatment of Jurkat T cells with the OGA inhibitor PUGNAc prevented N. fowleri-induced O-deGlcNAcylation and DNA fragm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deGlcNAcylation is an important signaling process that occurs during Jurkat T cell death induced by N. fowleri.

Characterizations of four freshwater amoebae including opportunistic pathogens newly recorded in the Republic of Korea

  • Hyeon Been Lee;Jong Soo Par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3호
    • /
    • pp.118-133
    • /
    • 2023
  • Background: Free-living amoebae (FLA) are widely distributed in freshwater, seawater, soil, and extreme environments, and play a critical role as feeders on diverse preys in the ecosystem. Also, some FLA can become opportunistic pathogens in animals including humans. The taxa Amoebozoa and Heterolobosea are important amoeboid groups associated with human pathogens. However, the identification and habitat of amoebae belonging to Amoebozoa and Heterolobosea remain poorly repor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is study highlights the first record for identification and source of four amoebae including putative pathogens in the Republic of Korea.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four previously reported FLA were isolated from freshwaters in Sangju Gonggeomji Reservoir (strain GO001), one of the largest reservoir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along the Nakdong River, the largest river in the Republic of Korea (strains NR5-2, NR12-1, and NR14-1) for the first time. Microscopic observations and 18S rDNA phylogenetic trees revealed the four isolated strains to be Acanthamoeba polyphaga (strains NR5-2 and NR12-1), Tetramitus waccamawensis (strain GO001), and Naegleria australiensis (strain NR14-1). Strains NR5-2 and NR12-1 might be the same species and belonged to the morphological Group 2 and the T4 genotype of Acanthamoeba. Strain GO001 formed a clade with T. waccamawensis in 18S rDNA phylogeny, and show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previously recorded strains, although the species' flagellate form was not observed. Strain NR14-1 had the typical morphology of Naegleria and formed a strongly supported clade with previously recorded strains of N. australiensis in phylogenetic analysis of 18S rDNA sequences. Conclusions: On the base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four strains of FLA were newly observed and classifi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ree strains belonging to the two species (A. polyphaga and N. australiensis) isolated from the Nakdong River have the potential to act as opportunistic pathogens that can cause fatal diseases (i.e. 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Acanthamoeba Keratitis, and meningoencephalitis) in animals including humans. The Nakdong River in the Republic of Korea may provide a habitat for potentially pathogenic amoebae, but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confirm the true pathogenicity of these FLA now known in the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