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acidity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3초

오징어 먹즙 첨가에 따른 저염 오징어 젓갈의 적정산도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The Changes of Titrable Acidity and Free Amino Acids in Low Salt Fermented Squid Affected by Adding to Squid Ink)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7-525
    • /
    • 2011
  • Squid ink was added to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by 4% of concentration and ripened at $10^{\circ}C$ for 6 weeks and at $20^{\circ}C$ for 28 days. The effect of the squid ink on the titrable acidity and free amino acid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itrable acidity in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out addition of the squid ink was continuously decreased except for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 9% salt content till the latter stage of the ripening, had larger decreasing range than treatment groups. Seeing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 the major amino acids are proline,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nd glycine.

당질과 아미노산이 Ascorbic Acid 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Stability of Ascorbic Acid in the Solutions of Sugars and Amino Acids)

  • 황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1호
    • /
    • pp.22-29
    • /
    • 1982
  • As sugar and amino acid were adde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quantitatively determined by 2, 4-dinitrophenyl hydrazine method. The residual ascorbic acid was shown to increase slightly when sorbose, rhamnose or mannose was adde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whereas residual ascorbic acid was shown to decrease in time to the addition of other sugars. The effects of amino acid to the ascorbic acid solution were found that monoamino-mono, or dicarboxylic acids and aromatic amino acids increased the residual ascorbic acidity whereas diamino-monocarboxylic acids and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decreased the residual ascorbic acidity.

  • PDF

시판 고산도 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with High Acidity)

  • 조덕조;박은주;여수환;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04-1210
    • /
    • 2013
  • 총 산도 10% 이상의 시판 고산도 식초를 원료(사과농축액, 맥아엑기스, 액상포도당 및 현미당화농축액)와 산도(2배 및 3배)에 따라 구입하여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총산 함량은 2배 식초(12.10~13.41%)와 3배 식초(18.15~18.36%) 사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식초의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각각 $7.00{\sim}10.80^{\circ}Brix$ 및 1.32~3,885.90 mg%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일정한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고산도 식초의 유리당으로 fructose 및 glucose가 주로 확인되었고, 2배 식초의 경우 3배 식초에 비해 종류와 함량 측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초의 품질지표인 acetic acid는 모든 식초에서 7,171~14,762 mg% 함량으로 분석되었고, oxalic acid의 경우 시판 고산도 식초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맥아엑기스를 사용한 2배 식초에서 총 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확인되었고, 유리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과농축액을 원료로 한 2배 식초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이는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도 영향을 주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산도 식초의 품질은 사용된 원료와 제조방법에 영향을 받았으며, 사과를 이용한 2배 식초는 가장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고산도 배식초 제조 시 발효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Pear Vinegars with High-Acidity under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 조덕조;이혜진;정용진;여수환;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8-424
    • /
    • 2014
  • 배 농축액의 유가식 배양을 통해 영양원 없이 산도 12% 이상의 고산도 식초를 제조하면서 발효단계(Stage 1-4) 및 초기 알코올농도(6-9%)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환원당, 유리아미노산,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은 1차 초산발효한 일반산도 식초에 비해 2차 초산발효한 고산도 식초에서 증가하였고, 이는 유가식으로 첨가된 feeding 알코올의 영향으로 사료되었다. SPME/GC-MS 분석을 통한 20여종의 휘발성분은 식초의 산도에 따라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초기 알코올농도의 증가에 따라 자극적인 향의 acid류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초기알코올 농도 6-7% 조건에서 유가식 배양으로 제조된 고산도 배식초는 일반산도 식초에 비해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었고, 이에 관능특성 및 대규모 생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곰팡이 균종을 달리한 밀가루 누룩의 탁주양조 적성 (Aptitudes for Takju Brewing of Wheat Flour-Nuluks Made with Different Mold Species)

  • 소명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1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titude of wheat flour-Nuluks, for Takju brewing, which were made with Aspergillus oryzae, Rhizopus japonicus or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and to know the way of effective use the Aspergillus oryzae-Nuluk showed high saccharogenic activity, and Rhizopus japonicus-Nuluk high proteolytic activity. When these two Nuluks were combined, the activities of saccharogenic amylase and protease were more balanced. The Takju mash of Aspergillus oryzae-Nuluk was high in acidity and in amino acidity, and that of Rhizopus japonicus-Nuluk high in the content of free sugar, but, that of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Nuluk was low in amino acidity, free sugar and ethanol content. The Takju of Rhizopus japonicus-Nuluk was high in the content of suspended solid and slow in its sedimenting rate, but that of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Nuluk was not. The Takju which was made with combined use of Aspergillus oryzae-Nuluk and Rhizopus japonicus-Nuluk was more balanced in the composition of flavoring ingredients, and was slow in sedimenting rate of suspended solid. Moreover, it gained good result in sunsory evaluation test.

  • PDF

멸치 Vinegar 절임시의 산도와 효소 활성 (ENZYME ACTIVITY AND ACIDITY IN VINEGAR PICKLING OF ANCHOVY)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07-212
    • /
    • 1970
  • 멸치절임의 숙성 및 저장 중의 효소 활성 VBN, 세균수, 식염 함유량, 산도, amino-N pH 그리고 지방의 산가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rotease 활성은 염수 염장 중에는 증가하고 절임 중에는 식초산의 영향으로 감소하고 이후 차차 거의 일정하게 변화하며 이에 따라 amino-N는 대개 증가하여 숙성한다. 2) Lipase 활성은 염수 염장 중에는 감소하며 vinegar의 첨가로 일단 증가하였다가 절임중에는 증감의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다. 그리고산도는 대개 증가하고 있다. 3) VBN와 NaCl 농도는 염수 염장 중에는 급격히 증가하고 절임중에서는 VBN는 완만한 증가를 하며 NaCl 농도는 기의 변화가 없었다. 4) 세균수는 염수 염장함으로써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며 절임함으로써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그 이후에는 일정한 수를 유지 하였다. 5) 절임 제품의 저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육질의 산도가 $2\%$ 이상이 되도록 vinegar의 산도를 높혀 주어야한다. 6) 염수 염장하는 기간은 8일이 적합하였으며 VBN, 산도, amino-N, lipase 활성 및 관능 검사 성적을 보아서 절임한 후 47일까지 보장할 수 있고 32일 때가 가장 맛이 좋았다.

  • PDF

나박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Chitosan 첨가의 효과 (Effect of Chitosan on Storage Stability of Nabak Kimchi)

  • 전순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117
    • /
    • 1998
  • The effect of chitosan on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Nabak kimchi was studied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 Viscosity of the juice of Nabak kimchi added with chitosan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viscosity was gradually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especially from 5 days to ,7 days of storage. Initial pH was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inchitosan groups. The pH of controlgroup decreased rapidly during 4 days of storage. The pH of chitosan groups was slight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3 days of storage and decreased thereafter. Acidity was rapidly increased from 3 to 5 days. Reducing sugar contents increased up to 3 days and decreased thereafter. Acidity was rapidly increased from 3 to 5 days. Reducing sugar contents increased upto 3 days and decreased therafter.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 aspartic acid, proline and valine were the major free amino acids, and as the fermentation preceeded they were increased gradually.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in saltiness, sourness and aged odor in sensory evaluation of Nabak kimchi solution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 PDF

곶감과 동충하초 첨가에 따른 청주(삼백주)의 발효 특성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Brewing of Chungju(Sambaekju) Supplemented with Dried Persimmon and Cordyceps sinensis)

  • 이원영;이창호;우철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0-24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곶감과 동충하초의 첨가에 따른 청주(삼백주)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함량의 변화 발효가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담금 후의 최종 알코올의 함량은 각각 5.8%, 11.4% 및 16.5%를 나타내었다. 총산의 함량과 아미노산도는 발효 과정에 따라 증가 추세를 보였다. 유기산 함량은 젖산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의 유기산은 초산, 사과산, 호박산등은 검출되었으나 구연산과 주석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L- proline의 함량이 1151.7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유리 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19%와 217.70 ppm이었다.

Deacidification of Mandarin Orange Juice by Electrodialysis Combined with Ultrafiltration

  • Kang, Yeung-Joo;Rhee, Khee-Ch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11-416
    • /
    • 2002
  • The effects of electrodialysis (ED) alone or ED plus ultrafiltration (UF) on deacidification of mandarin orange juice were studied by using a commercial ED stack with ion exchange membranes. ED processing, reduced the total acidity of the juices by 30% (0.6~0.7% as total acidity) after 50 min and by about 60~70% (0.23~0.4% as total acidity) after 100 min, as compared to the control juice. However, the acidity reduction after 50 min of ED was determined to be suitable, when considering total acidity (0.6~0.7%, w/w) and current efficiency. There was no color change in the juices following ED, and the pH and Brix were only slightly decreased. Furthermore, ascorbic acid and citric acid concentrations showed only minor decreases, and amino-N, free sugar, and flavonoid contents remained almost unchanged.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nutritional integrity of the juice was maintained. ED combined with UF may be effective, not only in preventing membrane fouling, but also in preserving the nutrients, such as ascorbic acid, in citrus juice.

도정도를 달리한 쌀이 가속숙성에 의해 약주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nges of yakju prepared from rice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DOM) due to accelerated aging)

  • 최정실;강지은;정석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15-422
    • /
    • 2020
  • 쌀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도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백미의 추가 도정도(0, 10, 20, 및 30%)를 달리한 쌀로 담근 약주를 45℃에서 2주간 가속 숙성한 후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숙성 전의 쌀 약주에서는 갈색도를 제외한 모든 품질특성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그렇지만, 도정도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p for trend>0.05). 숙성 후 쌀 약주에서는 모든 품질특성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1), 특히 갈색도와 아미노산도는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0.05). 숙성 전후의 쌀 약주를 비교할 때 거의 모든 처리구에서 pH, 총산, 알코올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도정도와 상관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명도(L)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값), 아미노산도, 갈색도, 적색도(a), 황색도(b), 색차(ΔE)는 숙성 후의 평균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값). 도정도별 쌀 약주의 숙성 전후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질소 화합물 함량 변화에서는 도정을 많이 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알 수 있었고, 시스테인이나 메티오닌과 같은 함황 아미노산 함량은 숙성 전보다 감소하였다. 이로써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약주의 품질변화는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되며 특히 백미의 추가 도정 20% 이상에서 갈변과 이취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data not sh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