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um sativum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8초

흰쥐에서 흑마늘 추출물과 그 성분들에 의한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mponents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in Rat)

  • 최유희;정형민;경규항;류병호;이광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355-1363
    • /
    • 2011
  • 많은 임상 실험을 통해 마늘(Allium sativum)이 심혈관 질환에 유효한 효과가 알려져 있다. 흑마늘(AGE)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 등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흑마늘의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흑마늘과 그 유래 성분이 혈소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백서의 혈액을 얻어, 흑마늘과 그 유래 성분의 thrombin에 의해 유도되는 혈소판 응집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흑마늘과 diallyl sulphides는 농도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in vivo 실험에서도 마늘 오일과 S-Allylmercapto-cystein (SAMC)는 thrombin과 ADP에 의해 유도되는 혈소판 응집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흑마늘 유래 SAMC와 diallyl sulphides가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흑마늘이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으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Lactic acid bacteria를 이용한 마늘 고체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id-fermentation Garlic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중복;주우홍;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6-452
    • /
    • 2016
  • 마늘(Allium sativum L.)은 많은 아시아 지역의 나라에서 민간요법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국내 전통채소류들은 다양한 기능성과 강한 생리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고체마늘 발효에 따른 생리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마늘 고체 발효를 위해 유산균을 한국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로부터 분리 및 KCTC로 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발효유산균 선별은 MRS 고체배지에 디스크법을 이용하여 마늘 착즙액에 저항을 보이며 증식하는 유산균을 선택하였다. 선별된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고체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731.0-845.2 ug/g과 92.68-413.58 ug/g로 각각 조사되었다. 그리고 DPPH 라디컬 활성과 SOD 유사활성은 양성대조구인 비타민 C 50 ppm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당뇨 활성인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유산균 발효마늘에서 양성대조구인 acarbose 50 ppm 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 유산균 발효 마늘의 생리학적 활성을 증대를 통해 향후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발효 마늘의 개발을 위해 유산균을 활용이 가능하며, 발효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음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난지형 마늘의 인경 발육 및 이차생장 과정 중 Gibberellin, Abscisic Acid, Jasmonic Acid 및 당 함량 변화 (Changes in Gibberellin, Abscisic Acid, Jasmonic Acid and Sugar Contents during Bulb Development and Secondary Growth Period in the Southern Type of Garlic (Allium sativum L.))

  • 손은영;김윤하;장수원;김정태;이현숙;서동환;이인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279-287
    • /
    • 2011
  •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인 '산동마늘'과 '남도마늘'의 인경비대 및 이차생장에 미치는 식물 생장 물질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산동마늘'과 '남도마늘'의 내생 GA, ABA, JA 함량 변화 양상은 품종군 간에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난지형 마늘의 내생 GA와 JA는 인편 분화기 전에 최대에 달하여 그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ABA 함량(leaf sheath: 6.58-18.59$ng{\cdot}g^{-1}$ DW)은 비대개시기부터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산동마늘'과 '남도마늘'의 GA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두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GA 함량은 마늘의 이차생장에는 크게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JA 함량(33.0-76.16$ng{\cdot}g^{-1}$ DW)은 이차생장이 적게 발생하는 '남도마늘'에서 '산동마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로 볼 때 JA가 마늘의 이차생장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 된다. '산동마늘'과 '남도마늘'간에 총 당 함량은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당 함량은 인편분화기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환제의 무기금속 함량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of Inorganic Metals and the Safety in Botanical Pills)

  • 전옥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0-307
    • /
    • 2001
  • 2000년 9월에서 2001년 2월말가지 서울시내 대형 유통 매장에서 판매 중인 식물성 환제 총 11종 51건을 채취하여 철(Fe), 칼슘(Ca), 아연(Zn), 나트륨(Na), 마그네슘(Mg), 칼륨(K) 등의 무기금속류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매우 다양한 무기 금속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함량은 칼륨(7933.32 mg/kg)>나트륨(5848.58 mg/kg)>칼슘(2441.60 mg/kg)>마그네슘(1595.34 mg/kg)>철(353.14 mg/kg)>아연(22.49 mg/kg)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일반적인 가공식품류의 경우 칼륨이 가공 과정 중 다량 소실되어 나트륨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반하여 환제의 경우 비교적 단순가공 과정만을 거쳐 다량의 칼륨이 함유되어 있는 칼륨의 좋은 급원임을 보여 주는 결과라 할 수 있었으며, 철등은 식물성 원재에 함유되어 수산(oxalic acid)의 영향으로 그 흡수율이 동물성에 비해 낮기는 하나 역시 풍부한 급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총 무기금속 함량을 식품별로 나타내면 뽕잎환(Morus)과 다시마환(Laminaria)은 다량의 칼륨과 나트륨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가피환(Acanthopanacis cortex), 두충환(Eucommia ulmoides), 솔잎환 (Pinus densiflora), 구기자환(Lycii fructus), 마늘환(Allium sativum for. pekinense), 도라지환(Eucommia radix) 등은 칼륨의 함량이 나트륨 함량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인진쑥환(Artemisia capillaris)과 홍화씨환(Carthamus tinctorius seed), 복분자환(Rubi fructus) 등은 다양한 무기 금속류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식물성 환제를 이용된 부위에 따라 껍질(cortex), 잎(leaves), 씨(seed), 열매(fructus), 뿌리(radix)별로 비교한 결과, 납의 경우 뿌리(0.54 mg/kg)>껍질(0.36 mg/kg)>잎(0.20 mg/kg)>열매(0.20 mg/kg)>씨(0.07 mg/kg)의 순이었으며, 카드뮴 함량은 뿌리(0.16 mg/kg)>잎(0.09 mg/kg)>열매(0.07 mg/kg)>씨(0.06 mg/kg)>껍질(0.03 mg/kg), 크롬 함량은 뿌리(6.34 mg/kg)>껍질(4.25 mg/kg)>열매(4.20 mg/kg)>잎(2.14 mg/kg)>씨(1.67 mg/kg)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마늘 P. E. Mulching 재배시(栽培時)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lection of Effective Herbicides in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 of Garlic (Allium sativum L.))

  • 정태원;연규복;조진태;송영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5-110
    • /
    • 1983
  • 마늘 프로에치렌 피복(被覆) 재배시(栽培時) 보통재배(普通栽培)보다 초기저온기(初期低溫期)에 많이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爲)하여 '78, '79, '82 3년간(年間) 우수(優秀)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시험(選拔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음. l. 마늘밭의 우점잡초(優占雜草)는 무피복구(無被覆區)에서 명아주(98.1%) 피복구(被覆區)에서 구슬갓냉이(39.7%) 명아주(34.3%)였다. 2. 포리에치렌 피복재배(被覆栽培)에 있어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는 alachlor EC, pendimethalin EC, oxyfluorfen EC, acifluorfen EC 이며 5월(月) 15일(日) 이후(以後)는 metabenzthiazuron WP, prometryne WP 등(等) 화본과용(禾本科用) 제초제(除草劑)가 좋았다. 3. 마늘에 대한 약해(藥害)는 acifluorfen EC 에서 약간 있었으나 수량(收量)에는 별 영향이 없다. 4. 포리에치렌 피복재배시(被覆栽培時) 우수(優秀)한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함으로서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의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보다 22~37%의 증수(增收)를 할 수 있었으며 26~37%의 증수(增收)를 할 수 있었으며 26~84%의 소득(所得)도 올릴 수 있었다. 5. 흑색(黑色) 불투명(不透明) 포리에치렌 피복재배(被覆栽培)도 관행(慣行) 재배(栽培)보다 20%의 수량증수(收量增收)와 56%의 소득(所得) 증가(增加)를 할 수 있었다

  • PDF

생장점배양에 의한 우량마늘 체계적 증식 1.생장점배 양으로부터 기관형성 (Systematic Propagation of High Quality Garlic (Allium sativum L.) Through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 1. Organogenesis from in Vitro Cultured Shoot-tips)

  • Lee, Eun-Mo;Lee, Young-Bok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1-166
    • /
    • 1994
  • 본 연구는 마늘 무병우량종구의 효율적인 생산, 증식 및 보급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지형 서산종 마늘의 생장점 배양시 기관분화에 미치는 배양 온도, 배양시기, 생장조절물질 및 저온처리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동절기의 생장점 배양은 28/2$0^{\circ}C$의 변온 조건에서 배양하는 것보다 24$^{\circ}C$ 항온조건에서 배양하는 것이 생존율 및 shoot 형성과 생장이 양호하였다. 마늘인편 휴면기인 7, 8월에는 kinetin 2 mg/L와 NAA 0.1 mg/L을 첨가한 배지에서 생존율 및 shoot의 생장이 양호한 반면에, GA$_3$ 1 mg/L 첨가한 배지는 억제되었다. 또한 휴면기에는 생장점 배양 전 종구를 15-60일간 4$^{\circ}C$에서 저온처리 함으로서 shoot 생장 및 발근을 촉진시켰으며, 또한 구형성 배지에 계대배양시 저온처리기간이 증가할수록 기내인경구 형성 및 비대를 촉진하였다.

  • PDF

다양한 마늘 추출물이 HepG2 세포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arious Garlic (Allium sativum) Extracts on Cholesterol Synthesis in HepG2 Cells)

  • 정수한;이상훈;고광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779-178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다양한 조리법에 따른 냉수추출 마늘 추출물이 HepG2 세포 내 콜레스테롤 합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세포 내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확인하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작용 기전을 알아보았다. 마늘을 $25^{\circ}C$에서 60분간 숙성하였을 경우 1분간 숙성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추출물 내 alliin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늘 추출물을 HepG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동결건조 마늘 추출물이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콜레스테롤 합성의 제한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발현량 역시 마늘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동결건조 마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많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산성처리를 한 마늘의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결건조 마늘 추출물의 농도 비례 효과를 살펴본 결과 동결건조 마늘 추출물의 경우 생마늘을 상온에 60분 숙성시킨 마늘 추출물과 구운마늘 추출물에 비하여 세포 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합성 감소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HMGCoA reducatase mRNA의 상대적 발현 수준 차이 이상의 지질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동결건조 마늘의 경우 생마늘을 섭취하였을 때와 유사한 또는 더 우수한 효능을 보이면서도 오히려 보관성이 우수하고 생마늘 섭취 시 나타날 수 있는 과민 반응 및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이 적기 때문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뒷받침할 방안들의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균주를 이용한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White Rot in Garlic Using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 한광섭;김병련;김종태;함수상;홍기흥;정창국;남윤규;유승헌;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24
    • /
    • 2013
  • Sclerotium cepivorum에 의한 흑색썩음균핵병은 마늘에 큰 피해를 주는 중요한 토양병이다. 충남 서산 및 태안의 마늘 재배농가 포장을 중심으로 2009년부터 3년간 조사한 결과, 흑색썩음균핵병은 4월 하순부터 발생을 시작하고, 5월 중순에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여 5월 하순에는 최고 발병률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에 사용된 길항미생물 CAB008106-4 균주는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Burkholderia pyrrocinia로 확인되었다. B. pyrrocinia CAB08106-4 균주는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하여 69.6%의 포장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B. pyrrocinia CAB08106-4는 마늘에 발생하는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하여 효과적인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늘 열수추출물의 CCl4 유발된 간 손상 랫드에서 기능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llium sativum L. extract on hepatic function in rats with CCl4-induced (hepatic) injury)

  • 이태종;민경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936-1942
    • /
    • 2010
  • 본 논문은 기능식품의 과용에 따른 간질환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마늘열수추출물의 용량을 달리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랫드의 간 손상을 유발하여 기능학적검사를 통해 간장에 미치는 용량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종 웅성 랫드로 하여 정상군,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E1, E2, E3 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7마리씩 총 42마리를 이용하였고, 실험동물은 체중 당 사염화탄소 $0.5\;m{\ell}$ (0.20 g/kg/day)를 olive oil에 동량 희석하여 1일 1회 격일 간격으로 총 5회 복강 내 투여하여 간 손상 유발한 후 국내에서 유기농 재배한 마늘을 열수 추출하여 각 실험군에 체중 당 0.35 g/kg(E1), 0.70 g/kg(E2), 1.40 g/kg(E3)를 일일 1회, 주 5일, 4주간 위존데를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마늘추출물의 투여가 생리적 기능 활성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여 간장에서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독성 증감작용 및 기능학적 변화를 확인하였고, 용량에 따른 실험군(E1, E2, E3) 간의 비교에서 고농도 투여군(E3)에서는 마늘독성의 영향 때문에 E1, E2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덜 보였다.

마늘추출물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이우원;손수경;이강록;김금향;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7-178
    • /
    • 2011
  • Garlic (Allium sativum L.) has long history of reputed value and actual use for its medicinal, antimicrobial and pesticidal proper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possible developments to natural food preservatives and natural antimicrobials from garlic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aw garlic extract, heat, pH, temperatur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were investigated. E. coli, S. Enteritidis,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at 20% garlic extract, but no antimicrobial activity was seen in E. faecium. Raw garlic extract and garlic extract heated for 2 min at $95^{\circ}C$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bu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heated for 10 min at $95^{\circ}C$ was much les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50% garlic extract adjusted pH 4.0~7.0 showed much the same, but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decreased at pH 8.0 or higher.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by storage $-18^{\circ}C$ of garlic extract showed much the same. When five strains were cultured for 72 hr at $35^{\circ}C$ in the TSB containing 1~10% garlic extract, viable cell number of five strains were decreased to $10^0{\sim}10^4$ CFU/ml even at 1% or 2.5% (E. faecium) after 24 hr, but later increased to $10^4{\sim}10^9$ CFU/ml after 72 hr. When five strains were cultured for 21 day at $4^{\circ}C$ in the TSB containing 1%, 2.5%, 5%, and 10% garlic extract, viable cell number of E. coli, S. Enteritidis, and S. aureus were decreased to $10^3$, $10^0{\sim}10^2$, $10^1{\sim}10^4$ CFU/ml after 21 day, respectively, but L. monocytogenes and E. faecium increased to $10^8$ and $10^6$ CFU/ml after 21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