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cin and alliinas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양파의 진공 동결 건조 과정 중 Alliinase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Alliinase Activity during the Vacuum Freeze Drying of Onions(Allium cepa L.))

  • 채수규;윤미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4-151
    • /
    • 2008
  •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것을 진공 동결 건조 처리하여 각각 건조 과정 중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과 alliinase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양파의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은 각각 26.40 ppm, 2.78 ppm이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시료의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은 진공 동결 건조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증가 정도는 시료의 형태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생양파의 alliinase 비활성은 7.536 units/mg protein이었으며,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시료의 alliinase 활성은 진공 동결 건조가 진행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8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5.516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73.2%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3.304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43.8%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양파를 절편으로 하여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2.366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31.4%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양파를 마쇄하여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2.232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29.6%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alliinase 활성에 있어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 PDF

마늘과 논마늘의 주요 매운맛 관련 인자의 분석 (Analyses of Pungency-Related Factors of Field and Rice Paddy Garlic)

  • 오혜림;김나연;손찬욱;유보람;윤준화;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55-660
    • /
    • 2012
  • 밭마늘과 논마늘(영천산)의 매운맛 차이를 알아보고자, 마늘의 매운맛 생성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들인 alliin과 allcin 그리고 SAC의 함량을 HPLC로 분석하고, 이들 함함성분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alliinase와 GTPase(${\gamma}$-glutamyl trans peptidase) 활성 및 pyruvate 생성량과 일반성분을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논마늘이 밭마늘에 비하여 높았으며,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 탄수화물 함량 역시 밭마늘이 논마늘에 비하여 높았다. 마늘의 주요 매운맛 성분인 allicin 함량은 밭마늘이 $2.83{\pm}0.03$ mg/g, 논마늘이 $2.22{\pm}0.02$ mg/g을 나타내어 밭마늘이 논마늘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Allicin의 전구체인 alliin의 함량은 밭마늘이 $8.97{\pm}0.09$ mg/g, 논마늘이 $8.22{\pm}0.08$ mg/g으로 나타났다. SAC 함량은 밭마늘이 $1.74{\pm}0.17$ mg/g으로, 논마늘의 $1.04{\pm}0.14$ mg/g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편, 효소 alliinase 활성도는 밭마늘이 $285{\pm}43{\mu}mole/mg$ protein, 논마늘이 $239{\pm}34{\mu}mole/mg$ protein을 나타내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GTPase 활성은 밭마늘이 86.3 ${\mu}mole/mg$ protein으로 논마늘의 78.4 ${\mu}mole/mg$ protein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밭마늘이 매운 맛이 강한 것은 본 연구결과로부터 allicin 함량이 논마늘에 비하여 높은 데 기인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밭마늘은 논마늘에 비하여 alliinase 활성은 유사하였으나 alliin의 함량이 높아 allicin 생성량이 많았으며, SAC가 높고 GTPase의 활성이 높아 alliin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마늘을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을 극대화하고자 한다면 밭마늘이 논마늘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고압처리에 의한 Alliinase의 불활성화가 마늘의 풍미에 미치는 영향 (High Pressure Inactivation of Alliinase and Its Effects on Flavor of Garlic)

  • 손경현;임재각;공운영;박지용;야구명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93-599
    • /
    • 1996
  • 고압처리에 의한 효소반응의 조절을 연구하기 위하여 마늘에 압을 적용하여 alliinase의 압력에 의한 활성변화를 해석하였다. 마늘을 $25^{\circ}C$에서 10분간 고압 처리한 결과 alliinase 활성은 150 MPa 및 300 MPa에서 변화가 없었고, 500MPa에서는 완전히 불활성화되었다. 한편 정제된 alliinase는 150MPa에서 30%, 300 MPa에서 80%, 500MPa에서 100% 불활성화되어, 효소의 상태에 따라 압력에 의한 불활성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압처리에 의한 alliinase의 불활성화는 상온보다는 고온 또는 저온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0^{\circ}C$에서 500MPa로 고압처리한 마늘은 allicin이 거의 생성되지 않아 매운 맛을 느낄 수 없었고, 휘발성 화합물의 50%이상이 제거되어, 마늘의 무취화에 고압처리를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lliinase 첨가에 의한 열처리 마늘로부터 생성된 함황 화합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e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inase)

  • 최윤희;심유신;김청태;이찬;신동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00-607
    • /
    • 2007
  • 마늘의 주요 향기성분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함황 화합물의 생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열처리에 의하여 마늘 중의 효소를 완전히 실활 시킨 마늘펄프에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첨가하여 첨가량 및 반응시간에 따른 thiosulfinates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HPLC 및 LC/MS/MS를 이용하여 생마늘 중의 thiosulfinates를 분리, 확인한 결과 8종의 thiosulfinates를 확인하였다. Allicin은 전체 thiosulfinates함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열처리 마늘펄프에 각각 100, 200, 300 및 400 unit를 첨가하여 5, 10 및 15분씩 각각 반응시킨 결과 효소첨가량 및 반응시간의 증가와 함께 thiosulfinates 함량도 증가하였다. 100, 200, 300 및 400 unit의 alliinase를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결과 총 thiosulfinates는 생마늘(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7, 68, 77 및 80%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SD를 이용하여 대조구 및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36개의 피크를 분리하였고, 이중 28개 피크에 대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확인된 28개의 피크 중 23개 피크가 함황 화합물이었다. Alliinase를 100, 200, 300 및 400 unit씩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시료에 대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25, 36, 66 및 76%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열처리한 마늘에 alliin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반응조건에 따라 마늘 중의 주요생리활성 물질 및 휘발성 향기성분인 thiosulfinates와 휘발성 함황 화합물의 생성을 30-80%까지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 Kim, Jeong-Youn;Lee, Young-Chun;Kim, Keun-S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331-335
    • /
    • 2002
  • Aqueous extracts of garlic (Allium sativum) preparation were prepared after the samples were exposed to various heat treatments.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antimicrobial activities was carried out by determining the minimum inhibitory and microbicidal concentrations (MICs and MMCs) of the various extracts against some selected bacteria and fungi.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decreased as the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This fact implies that alliinase may be the most critical rate-determinant to produce the activity when garlic is heated.

Antimicrobial Activity of Chemical Substances Derived from S-Alk(en)yl-L-Cysteine Sulfoxide (Alliin) in Garlic, Allium sativum L.

  • Choi, Mi-Kyung;Chae, Kyung-Yeon;Lee, Joo-Young;Kyung, Kyu-H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07
  • Garlic (Allium sativum L.) contains a specific sulfur compound, the S-allyl derivative of L-cysteine sulfoxide, and has long been known for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including bacteria, fungi, and protozoa. The principal antimicrobial compound of garlic is S-allyl-L-propenethiosulfinate (allicin) which is generated by an enzyme, alliinase (L-cysteine sulfoxide lyase), from S-allyl-L-cysteine sulfoxide (alliin). This compound exists exclusively in Allium as a major non-protein sulfur-containing amino acid. S-Allyl-L-propenethiosulfinate belongs to the chemical group of thiosulfinates and is a highly potent antimicrobial. The potency of garlic extract is reduced during storage since thiosulfinates are unstable and are degraded to other compounds some of which do not have antimicrobial activity. Diallyl polysulfides and ajoene are sulfur compounds derived from allicin that do possess antimicrobial activity. It was recently found that garlic becomes antimicrobial on heating at cooking temperatures, and that the compound responsible for this is allyl alcohol, which is generated from alliin by thermal degradation.

마늘 황화합물의 병원성미생물 번식억제작용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Sulfur Compounds of Garlic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 경규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5-152
    • /
    • 2006
  • 마늘과 마늘의 황화합물은 여러 가지 미생물(그람양성 및 음성 세균, 곰팡이, 효모, 원생동물)의 번식을 저해하므로 마늘을 감염증치료에 쓰고자 하는 노력이 많았고 따라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번식저해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마늘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의 번식저해작용을 연구한 대상 미생물 중에서 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기타 많은 종류의 그람음성 및 앙성 병원성 세균이 연구대상이었다. 효모와 곰팡이를 통털어 Candide albicans의 번식저해 연구가 전체 진균류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특이하게 Giardia intestinalis에 대한 연구보고도 있었으며 마늘은 시험한 대부분의 미생물에 대해 강력한 천연 항균제로서 인정되었다. 마늘은 원래 가열하지 않은 생마늘이어야 알린이 alliinase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강력한 항균물질인 알리신을 생성하게 되므로 주로 생마늘의 항균작용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알리신은 불안정하여 저장중에 분해되어 여러 가지 물질로 변화하게 되는 데 알리신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ajoene이나 기타 여러 가지 sulfide류 역시 세균이나 효모에 매우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마늘의 알리신이 나타내는 항균작용은 thiosulfinate기가 미생물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중에서 -SH 기를 가지는 효소단백질과 결합하여 불활성화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미생물이 사멸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반적인 독성 메카니즘 이외에 특이한 효소에 특이하게 저해작용을 나타낸다는 가설이 있고 그 중에서도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저해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다. 최근에 식품의 조리 온도에서 가열한 마늘이 항균작용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그 작용은 주로 항진균작용이며 그 항균작용물질은 알린이 열분해 되어 생성되는 allyl alcohol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녹변된 마늘의 성분 변화 (Changes of Component on Green Discolored Garlic)

  • 황진봉;하재호;박완수;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04
  • Control, 저온저장한 마늘, 녹변 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의 저장 전후 및 녹변 유발 후의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일반성분과 가용성고형분, pH, 유기산 산도 및 총당 등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늘에 함유된 유기산 함량 중 pyruvic arid는 137.1-160.6mg%으로서 총 함량은 687.9-733.7mg% 수준이었다. 마늘의 유리당의 분포는 sucrose, fructose, glucose 순으로 높았으며, 1-kestose, 1-nystose 및 1-F-fructosyl nystose와 같은 fructooligosaccharide도 다소 함유되어 있었다. Control, 녹변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에 대하여 allicin는 각각 647.9, 613.8mg 및 648.0mg%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늘에 존재하는 향기성분을 GC/MSD로 조사한 결과 분리된 peak 중 control은 32개, 저온저장한 마늘은 31개, 녹변마늘 은 32개 및 conditioning한 마늘은 32개의 성분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이들 동정된 향기성분을 계통별로 분류한 결과 sulfide계통의 성분이 11으로 가장 많았으며 acid가 5종, aldehyde가 3종 그리고 기타 13종이었다. Control, 저온 저장한 마늘, 녹변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간에 sulfide의 면적을 조사한 결과 disulfide(di-propenyl), 2-thiophene methanethiol, thiophene, 3,4 dihydro-3-vinyl-1,2-dithiin, 2-vinyl-4H-1,3-dithiin 등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이 centre에 비해 저온저장한 마늘에서 높게 검출되었으며, 저온저장 후 conditioning과정을 거치면 논았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이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온저장한 마늘을 마쇄하여 녹변을 유발시킨 마늘시료에서는 저온저장한 마늘보다는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의 물질이 적지만 control이나 conditioning한 마늘보다는 이들 함량이 매우 높음을 관찰한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늘의 녹변현상은 마늘을 저온저장할 때 di-propenyl disulfide 등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 pectin질이 축적되었다가 마늘이 마쇄로 alliinase가 이들 물질과 반응하여 녹변색소가 생성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마늘의 약물대사효소 CYP3A4 저해 활성 (Inhibiting Activity of Garlic on a Drug Metabolizing Enzyme CYP3A4)

  • 이은희;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37권2호통권145호
    • /
    • pp.97-102
    • /
    • 2006
  • Garlic(Allium sativum Linn) is widely used as a common condiment for a variety of foods and beverages. It has been well known that fresh garlic and garlic supplement of commercial preparations have various therapeutic properties including antimicrobial activity, antiplatelet aggregation, antihypertension,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which contribute to its increasing uses for an alternative medicine. Allicin(diallyl thiosulfinate), the major bioactive components of garlic, is formed by alliinase cleavage of the naturally occurring alliin upon crushing or mincing of garlic, and is the progenitor of a number of other products, such as diallyl disulfide. CYP3A4, heme-containing monooxygenase, is a key enzyme responsible for drug metabolism. Therefor,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and examined the compounds with CYP3A4-inhibiting activities from garlic. Among EtOAc extracts of garlic, we found that N-p-coumaroyltyramine and N-feruloyltyramine showed remarkable CYP3A4-inhibiting activities, compared to diallyl disulfide. Structures of the isolated active compounds were establish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ans.

마늘즙액의 대장균 생육 저해 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 김연순;박경숙;경규항;심선택;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30-735
    • /
    • 1996
  • 마늘이 상처를 입으면 마늘중에 존재하는 alliin이 alliinase에 의해 allicin으로 분해되며 allicin은 마늘의 주된 항미생물 작용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성분에 의한 미생물번식 저해작용을 크게 받는 E. coli는 1%의 마늘즙액이 들어있는 TSB에서 사멸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사멸속도는 더욱 빨랐다. 마늘즙액에 의한 미생물생육 저해효과는 pH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나는데 pH 7.2에 비해 5.2와 6.2에서 저해작용이 강하게 나타났다. 초기 접종균수가 $10^{6}\;CFU/ml 이상일 때는 번식에 대한 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0^{5}\;CFU/ml 이하일 때는 저해효과가 나타나서 항미생물 작용에 대한 초기 미생물 수도 중요한 변수였다. 유리 SH기를 가진 cysteine이나 glutathione을 첨가하면 마늘즙액의 번식 저해효과로부터 E. coli를 보호하였다. 결과적으로 E. coli에 대한 마늘즙액의 번식 저해효과는 마늘즙액의 농도뿐만 아니라 pH, cystein이나 glutathione같은 SH화합물의 존재여부, 접종균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