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kaline ${\alpha}$-amylas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원료(原料)의 종류(種類)와 형태(形態)에 따른 Aspergillus oryzae 국(麴)의 생리활성(生理活性) 및 효소력(酵素力) (Physiological Function and Enzyme Activity of Koji Cultured by Aspergillus oryzae CNU O4-5 in the Various Grain Materials)

  • 최성현;정재홍;이상덕;손화영;성창근;오만진;김성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83-289
    • /
    • 1997
  • 재래식 메주로 부터 분리한 CNU O4-5를 Aspergillus oryzae로 동정하고 이 곰팡이를 장류제조에 이용하기 위해 원료를 달리하여 만든 koji의 효소 역가,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제의 생성과 항산화력,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을 측정하였다. ACE 저해제의 생성은 밀가루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콩분말 koji, 침지대두 및 쌀 koji가 모두 저해도 45-54% 정도로 비슷하였다. Lard에 의한 koji의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4일 까지는 밀가루 koji, 콩분말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침지 대두 koji, 쌀 koji 모두 peroxide value(POV)가 낮아 안정하였으며 6일째는 쌀 koji와 밀가루 koji는 POV가 높게 나타났고 콩가루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침지 대두 koji는 POV가 증가하지 않아 항산화력이 높았다. 따라서 콩을 원료로한 koji가 항산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밀가루, 밀가루+콩분말, 콩분말 koji의 SOD 활성은 2,000 units/g으로 같은 값을 보였다. 원료에 따른 Aspergillus oryzae koji의 $\alpha$-amylase와 gluco-amylase 활성은 밀가루 koji가 콩가루 koji 보다 높았으며 침지한 대두 koji와 쌀 koji는 낮은 값을 보였다. 중성 protease와 알칼리성 protease 활성은 콩분말 koji가 밀가루 koji 보다 높았고 침지한 대두 koji와 쌀 koji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D7에 의하여 발효된 백태 청국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White Soybean Chungkookjang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D7)

  • 이나리;박성보;이상미;고태훈;황대연;김동섭;정성윤;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29-53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subtilis D7과 발아콩을 이용하여 발효된 청국장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백태는 6시간 침지 후, $25^{\circ}C$에서 2시간마다 4일 동안 물을 공급했을 때,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발아 전 971.3 ${\mu}g/g$이었고, 발아 후 1023.8 ${\mu}g/g$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청국장에서 아미노태 질소 및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청국장의 pH는 발효과정을 통하여 pH 7.8-8.0로 증가하였다. 청국장의 생균수는 발효 24시간까지 급증한 후, 약간 감소하였다. 청국장의 protease 활성은 발효 30-36시간까지 증가하였고, B. subtilis D7를 이용한 청국장의 ${\alpha}$- 및 ${\beta}$-amylase 활성은 발효 12-18시간까지 증가하였다. 청국장을 섭취한 마우스의 ALP 활성과 SOD 활성은 대조군보다 매우 높았다. AST 활성은 미발아콩 청국장 섭취군보다 발아콩 청국장 섭취군에서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B. subtilis D7을 이용하여 조제된 발아콩 청국장은 품질 특성이 향상되었고,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Nutritional Evaluation of Full-fat Sunflower Seed for Broiler Chickens

  • Salari, Somayyeh;Nassiri Moghaddam, H.;Arshami, J.;Golian,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557-564
    • /
    • 2009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use of various levels of full-fat sunflower seeds (FFSS) on broiler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experiment, FFSS was included in a basal diet at 70, 140, and 210 g/kg and the $AME_n$ values of the experimental diets were determined.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of $AME_n$ values on rate of inclusion was calculated. Extrapolation value for the $AME_n$ of FFSS at 100% inclusion was 14.22 MJ/kg. In the second experiment, diets containing various levels (0, 70, 140, and 210 g/kg) of FFSS were given to broilers (Ross strain) from 0 to 49 d. At 28 days of age, blood parameters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were determined and carcass parameters were evaluated at 49 days of age.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improved (p<0.05) when broilers were fed various levels of FFSS in the starter and finisher diets. Breast, thigh, gastrointestinal tract and gizzard weight percentage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however, liver weight percentag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weight of abdominal fat decreased but this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activities of digestive enzyme (protease and ${\alpha}$-amylase) were not influenced by the treatments.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concentrations of calcium, phosphorus, glucose, triglyceride, protein,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 were not affected by incorporation of FFSS in the broiler diet. Although concentration of HDL increased and LDL decreased, the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FSS can be used at up to 21% in broiler diets without adverse effects on performance or other parameters of chickens.

Biological Parameters for Evaluating the Toxic Potency of Petroleum Ether Extract of Wattakaka volubilis in Wistar Female Rats

  • Gopal, Velmani;Agrawal, Nitin;Mandal, Subhash C.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7-15
    • /
    • 2014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oxic properties of petroleum ether extract of Wattakaka (W.) volubilis in Wistar female rats. Methods: An in vitro brine shrimp lethality bioassay was studied in A. Salina nauplii, and the lethality concentrations were assessed for petroleum ether extract of W. volubilis. A water soluble portion of the test extract was us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from $100-1000{\mu}g/mL$ of 1 mg/mL stock solution. A 24-hours incubation with a 1-mL aliquot in 50 mL of aerated sea water was considered to calculate the percentage rate of dead nauplii with test extract administration against a potassium-dichromate positive control. The acute and the sub-acute toxicities of petroleum ether extract of W. volubilis were evaluated orally by using gavage in female Wistar rats. Food and water intake, body weight, general behavioral changes and mortality of animals were noted. Toxicity or death was evaluated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petroleum ether extract for 28 consecutive days in the female rats.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bilirub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total protein, glucose, urea, creatinine, sodium, potassium and ${\alpha}$-amylase levels, were measured in the toxicity evaluations. Pathological changes in isolated organs, such as the liver, kidneys, and pancreas, were also examined using hematoxylin and eosin dye fixation after the end of the test extract's administr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brine-shrimp assay indicate that the evaluated concentrations of petroleum ether extract of W. volubilis were found to be non-toxic. In the acute and the sub-acute toxicity evaluat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imals and the animals treated with extract of W. volubilis. No abnormal hist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any of the animal groups treated with petroleum ether extract of W. volubili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troleum ether extract of W. volubilis has a non-toxic effect in Wistar female rats.

전통 누룩 발효과정 중 품질 및 항원성 변화 (Changes in Allergenicity and Quality of Nuruk during Fermentation)

  • 이효형;이진형;고유진;박미화;이정옥;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6-8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발효과정 중 누룩의 일반성분 및 효소 활성변화를 측정하고, 단백질의 분해정도와 밀 단백질에 민감한 환자의 혈청과 반응성을 관찰하였다. 누룩의 수분함량은 발효 1일 24.20%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미생물의 이용과 증발로 인해 감소되어 발효 15일에는 13.60%를 나타내었다. 누룩 발효 중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누룩의 발효 초기 조단백질 함량은 1.58%였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다소증가하여 발효 15일에는 2.05%로 나타났다. 또한 누룩의 조지방 함량은 발효 초기 1.32%였으며 발효 15일에는 2.24%로 다소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alpha}$-Amylase 활성은 발효 초기 1,416.67 U/g에서 발효 15일에는 2,833.00 U/g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glucoamylase 활성은 발효 초기 497.90 U/g에서 발효 10일 경과 후 705.40 U/g으로 최대 활성을 보였으나 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누룩의 산성 protease 활성은 발효 초기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효 10일에 75.00 U/g으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효 15일에는 327.00 U/g에 도달하였으며 중성 protease 활성도 발효 10일에 90.00 U/g으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15일에는 354.00 U/g로 검출되었으며 이후에도 계속 증가하였다. 반면에 알칼리성 protease 활성은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누룩 중 고분자 단백질이 각종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저분자의 펩타이드 밴드가 생성되었으며 밀 민감성 환자의 혈청과 반응하는 밴드도 점차 감소하여 발효 15일에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누룩 중 밀 단백질의 항원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누룩은 영양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효소학적 측면의 장점까지 겸비한 효율적인 한국 고유의 발효 식품용 스타터(starter)로써 전통주 제조에 필수적이며, 누룩의 고분자 단백질이 발효에 의해 저분자 펩타이드로 분해됨을 확인함으로써 밀 민감성 환자들을 위한 다양한 가공식품용 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막걸리의 제조를 위한 효소제의 개발연구 1 (Studies on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method of enzymic source for Maggerley(Korea wine) brewing(I))

  • 이성범;최경환;임동순;김덕치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9-166
    • /
    • 1969
  • It is necessry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 activity of enzymic source which in low applied for maggerley brewing as an amylolytic and proteolytic starter, recently in this country the active and strong enzymic starter is required for the better brewing and to substitute another starch material for the present wheat flour. In this study, manufacturing method the strong enzymic source have been developed and established with use of raw wheat bran plus fungal strains of Rhizopus sp. and Aspergillus usamii the culture of starter. The results on experimental the activities of enzymic sources (stater) are as following ; 1. Method of making the enzymic source (starter) is to cultivate the strains of Asperguillus orzyae, Asp. kawachii, Asp usamii and Rhizopus sp. in the acid treated raw or heatboiled wheat bran. 2. The saccharogenic pwoer (S.P.) of enzymic source which consisted of raw bran plus fungi and cultured in it is generally stronger than those of heat-boiled bran plus fungi, the strongest power was shown in the culture of Rhizopus plus raw bran, and the next other is in mixture of Asp.usamii and Rhizopus on raw wheat bran. 3. The most strong alpha amylase activity was expressed in the plot of Asp.oryzae on heat-boiled wheat bran, the next was in the culture of Rhizopus nad Aspergillus usamii on raw wheatbran. 4. The most vigourous acidic proteinase activity was expressed in the micture of raw bran plus Asp. usamii and Rhizopus those were independentlu cu;tured before mixing for neutral proteinase activity, it was shown in the mixed culture of Asp. usamii and Rhizopus on raw wheat bran, the msot active alkaline proteinase activity of enzymic source was found in the plot of raw bran material. 5. For poly-preptidase activity in pH 6.5 it is found that the culture of Rhizopus and Asp.usamii on raw bran was most active among them of enzymic sources. 6. Generally, it is concluded that culture of fungi on acid treated raw wheat bran is stronger in its activity than those of heat boiled wheat bran, especially the culture of Rhizopus nad Asp.usamii on raw bran exhibited the most vigorous and non-polarized activity for all aspects, so it is considered to be most desirable enzymic stater in Korean Maggerley brewing and this would be able to substitute brewing material for the present wheat flour because of its strong and wide hand activity of amylolytic and proteolytic action.

  • PDF

효소적 방법에 의한 보리피층의 분리 (Enzymatic Isolation of Husk from Barley Kernel)

  • 안병윤;안경혜;조재선;권태완;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4-256
    • /
    • 1984
  • 가열처리에 의한 전분의 호화작용과 아밀라제에 의한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한국산 곁보리(강보리와 올보리)및 쌀보리 (백동과 세도하다가)의 피층을 분리 측정하고 피층함량을 종래의 산, 알칼리 방법과 비교하였다. 효소적 방법을 이용한 피층함량은 강보리와 올보리의 경우 각각 14.9%, 15.1%이고, 백동 및 세도하다가는 각각 11.6%. 10.2% 이었다. 산처리방법에 의한 피층함량은 겉보리의 경우 $12{\sim}13%$. 찰보리의 경우 $5{\sim}7%$ 이었고 알칼리방법의 경우 겉보리는 $13{\sim}15%$. 찰보리는 $7{\sim}8%$의 피층함량을 나타내었다. 효소처리방법에 의해 분리한 피층의 단백질, 지방. 회분함량은 각각 $4{\sim}8%$. $5{\sim}11%$. $0.2{\sim}0.6%$이었으며 조섬유함량은 $20{\sim}40%$이었다. 효소처리에 의한 보리피층의 분리 방법은 기존의 산, 알칼리 처리와 비교할 때, 피층물질을 직접 분리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 PDF

해수 저염분 순치과정에서 먹이섭취가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유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on Postlarvae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during the Acclimation Process to Low Salinities in Seawater)

  • 김수경;심나영;조지현;김종현;김수경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377-384
    • /
    • 2018
  • 저염분 순치기간에 먹이를 섭취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초기 유생의 생리적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하루 동안의 순치기간에 염분농도에 따른 유생의 생존율은 차이를 보였지만 각 염분구간별 먹이섭취 유무에 따른 생존효과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먹이섭취 시 유생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cholesterol, triglyceride의 증가가 있었으며 삼투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glucose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저염분 순치기간 동안에 스트레스, 조직손상 및 대사작용의 지표가 되는 BUN과 creatine의 감소가 있었다. 먹이섭취로 인한 소화효소의 활성이 먹이를 섭취한 실험구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유생발달과 함께 중요한 소화, 순환, 생식기관이 형성되며 탈피 성장을 위한 신진대사가 빠르게 진행되는 유생시기에 저염분 순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먹이를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깨의 발아특성(發芽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 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28-60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참깨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온도(溫度), 수분(水分), 산소(酸素) 및 관(光) 등(等)의 외적(外的) 조건(條件)의 영향(影響) 발아진행중(發芽進行中)의 종자내(種子內) 물질변화(物質變化)를 구명(究明)하고져 수행(遂行) 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35^{\circ}C$부터 $5^{\circ}C$ 간격(間隔)으로 $20^{\circ}C$까지는 평균(平均) 95.8~97.2%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고 이들 온도간(溫度間)에는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의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15^{\circ}C$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의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보여 평균(平均) 32.2% 발아(發芽)되었고 이때 변이계수(變異係數)는 77%였다. 2. 온도(溫度)에 따르는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는 $35{\sim}25^{\circ}C$에서 평균(平均) 1.16~1.64일(日)이었으며 $20^{\circ}C$에서는 3.07일(日)이었고 $15^{\circ}C$에서는 10.40일(日)이었다. 3. 발아율(發芽率) 및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를 감안(勘案)할때 $15^{\circ}C$가 참깨종자(種子)의 발아한계온도(發芽限界溫度)였으며 참깨 종자(種子)의 저온발아성(低溫發牙性) 검정(檢定)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온도(溫度)로 고려(考慮)되었다. 4. Shirogoma, Turkey등(等)이 가장 저온발아성(低溫發牙性)이 높았고 수원(水原)29호(號), 내복, IS58이 그 다음이었으며, 70~80%의 비교적(比較的)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이는 품종(品種)들이 매포, 수원(水原)14호(號), 김포, 문덕, 해남이었는데, 이들 저온발아성(低溫發牙性)이 비교적(比較的) 높은 품종(品種)은 전공시품종(全供試品種)(90품종(品種))의 10%였으며 이들중 70%는 국내품종(國內品種)이었다. 5. $12^{\circ}C$에서 Shirogoma만 50% 이상(以上)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으며 대부분(大部分) 20%미만(未滿)의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는데 파종후(播種後) 18일(日)에 온도(溫度)를 $27^{\circ}C$로 상승(上昇)시켰던바 2일이내(日以內)에 전품종(全品種)에서 90% 이하(以上)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으며 변온처리(變溫處理)에 따르는 품종간(品種間) 발아율간(發芽率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고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 간(間)에는 청송, 의상천, 산동, 마산 등은 현저(顯著)히 소요일수(所要日數)가 길었다. 6. 발아(發芽)에 필요한 흡수율(吸水率)은 $25^{\circ}C$적습하(適濕下)에서 48%내지 62%로서 품종간(品種間)에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또한 치상후(置床後), 2시간에 발아(發芽)에 소요(所要)되는 전체 수분(水分)의 63% 정도가 흡수(吸收)되었다. 7. 포화수분하(飽和水分下)에서는 전공시품종(全供試品種)에서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이 0.42%였고 -0.4bar에서는 64.8%였으며 -0.4~-5.5bar에서 가장 발아율(發芽率)이 높았고 이보다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不足)할 경우 발아율(發芽率)은 거의 직선적(直線的)인 감소(減少)를 보였다. 8. 10개(個) 공시품종중(供試品種中) 6개공시품종(個供試品種)에서는 5%의 산소하(酸素下)에서 발아(發芽)에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으나 예천, PI158073, IS103, 의상천의 4품종(品種)은 산소농도(酸素濃度) 5%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64~91%로 저하(低下)되었다. 또한 무산소하(無酸素下)에서는 하배축(下胚軸)만 출현(出現)하였을뿐 자엽(子葉)의 출현(出現)은 없었으며 하배축(下胚軸) 출현(出現)은 IS103이 현저(顯著)히 낮았다. 9. 청송, Early Russian 및 수원(水原)9호(號)는 12시간(時間) 흡습(吸濕)시킨 후(後) 24시간(時間) 건조(乾燥)시킬때 청송만 27.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고 수원(水原)9호(號) 및 Early Russian은 전혀 발아(發芽)되지 않았으며 IS103은 4시간 흡습후(吸濕後) 24시간(時間) 건조시(乾燥時) 발아율(發芽率)이 감소(減少)되었는데 24시간(時間) 흡습후(吸濕後) 24시간(時間) 건조시(乾燥時)에도 32.5%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10. 발아(發芽)의 진행(進行)에 따라 종자내(種子內) 당함량(糖含量)은 급격(急激)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나 전분함량(澱粉含量)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alpha}$-amylase의 활성도(活性度)는 점증(漸增)되었는데 이들 증감정도(增減程度)는 $25^{\circ}C$에 비해 $15^{\circ}C$에서는 현저(顯著)히 낮았다. 11. 발아(發芽)가 진전(進展)됨에 따라 종자(種子)의 지질함량(脂質含量)은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보였고 alkaline lipase의 활성도(活性度)는 특히 발아초기(發芽初期)에 더욱 급격(急激)한 증가(增加)를 보였는데 지질(脂質)의 감소정도(減少程度)와 alkaline lipase의 활성도(活性度) 증가정도(增加程度)는 $25^{\circ}C$에 비해 $15^{\circ}C$에서 현저(顯著)히 낮았다. 12. 6개공시품종중(個供試品種中) 4개공시품종(個供試品種)의 발아(發芽)에는 광파장(光波長)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으나 수원(水原)8호(號)는 600~650nm에서 IS103은 600~650nm, 500~550nn에서 현저(顯著)히 발아율(發芽率)이 저하(低下)되었으며 수원(水原)8호(號)는 600~760nm 및 500~560nm에서, IS103은 400~470nm 및 암흑상태(暗黑狀態)에서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13. 100입중(粒重)이 무거운 종자(種子)에서 각(各) 품종(品種)의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높았으며 파종심도(播種深度) 4 cm 하(下)에서는 청송 및 Early Russian은 전혀 자엽(子葉)이 출현(出現)되지 않았던 반면(反面), 수원(水原)9호(號) 및 IS103은 각각(各各) 32.5 및 50%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또한 참깨의 지상부(地上部), 지하부(地下部) 및 재배지토양(栽培地土壤) 추출물(抽出物)은 발아(發芽)에 전혀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14. 무피복구(無被覆區)에 비해 흑색(黑色) 및 투명(透明) polyethylene film 피복구(被覆區)에서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높았고, 발아소요일수(發芽所要日數)는 현저(顯著)이 단축(短縮)되었으며 또한 초기생육(初期生育) 및 주당삭수와 주당수량(株當收量)이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는데 polyethylene film의 종류간(種類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흑색(黑色)polyethylene film보다는 투명(透明) polyethylene film이 약간(若干) 더 효과적(效果的)인 경향(傾向)이었다. 15. 심천, 청송, 수원(水原)9호(號), PI158073 및 IS103은 수분흡수율(水分吸收率)이 현저(顯著)히 낮았고 흡습후(吸濕後) 종자중(種子重)의 증가(增加)는 수원(水原)8호(號), 수원(水原)26호(號), Orotall 및 의상천이 현저(顯著)히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