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ae ecology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1초

錦江河口 潮間帶 低棲生物群集의 에너지 流轉 (Energy Flow of Benthic Community at the Intertidal Zone of Kum River Estuary)

  • Kim, Joon-Ho;Kyung-Je Cho;Chi Shick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1호
    • /
    • pp.7-14
    • /
    • 1985
  • Biomass,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standing crops of bethic community were estimated at the trophic levels in the intertidal zone of Kum river estuary. Annual mean biomass of zoobenthos was 130.5g/$m^2$, body fraction 26.7g/$m^2$ and shell fraction 103.8 g/$m^3$. Biomass estimated as ash-free dry weight was total 28.9g/$m^2$, body fraction 20.2g/$m^2$ and shell fraction 8.7g/$m^2$ Carbon standing crops of zoobenthos were 15.9gC/$m^2$, in which organic carbon content was 7.0gC/$m^2$ and carbonate carbon was 8.9gC/$m^2$. Production efficiency by carbon standing crops from sediment to herbivores and carnivores and 10.6% and 16.0% in phosphorus, respectively. Annual primary production of benthic algae was crudely estimated to 329g.dw/$m^2$/yr by using the biomass and turn-over rate of benthic algae.

  • PDF

Anabaena koreana sp. nov. (Cyanophyceae), a new species, and new record of fresh-water blue-green algae from Korea

  • Kim, Han S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93-302
    • /
    • 2013
  • The present study summarizes the occurrence, distribution and autecology of 12 taxa of the class Cyanophyceae collected from several swamps, reservoir and highland wetlands in South Korea from 2009 to 2012. A new species, Anabaena koreana sp. nov. and 11 taxa of blue-green algae newly recorded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nabaena koreana is similar to A. oumiana, A. spiroides and A. crassa in that the trichomes form regular coils. However, A. koreana is distinguished from these three species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ve cell, heterocyst, and akinet shape and size. This study considers 12 blue-green algal species, including a new species, Anabaena koreana sp. nov. and 11 species that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freshwater algal flora. Among them, the genus Nostochopsis Wood ex Bornet et Flahault 1886 had not previously been recorded in Korea.

Use of Benthic Algae and Bryophytes for Monitoring Rivers

  • Whitton, Brian 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1호
    • /
    • pp.95-100
    • /
    • 2013
  • Many countries have adopted a single, well-described approach to the use of phototrophs for monitoring river water quality, which involves the use of indices related to diatom composition at a site. Increasingly these indices have focussed on assessing ambient phosphate concentration. However, there is a wide range of other methods which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o make up for any weaknesses in the standard method. Some of these methods are reviewed briefly here. They can be useful, for instance, when considering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in phosphate concentration at a particular site and providing much more insight on heavy metal or pesticide pollution than revealed by routine water analysis.

Zo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in shallow reservoirs during winter: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yclops vicinus (Copepoda: Cyclopoida)

  • Choi, Jong-Yun;Jeong, Kwang-Seuk;Joo, Gea-J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2호
    • /
    • pp.99-104
    • /
    • 2014
  • We estimated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zooplankton communities at 25 reservoirs during winter (December 2010 to January 2011). Among zooplankton groups, Cyclops vicinus is more dominant during winter, and this is positively related to withered vegetation area and dissolved oxygen level. Therefore, the presence of withered vegetation might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C. vicinus distribution during winter. We considered that withered vegetation might be utilized as a habitat for C. vicinus, as well as provide an attachment substrate for periphytic algae. Abundance of periphytic algae can lead to high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Although copepods prefer high water temperatures for increasing their population growth, if Cyclops can overcome low temperature stress that leads to disruption of population, their population growth initiation in the next growing season (i.e. next spring) is possibly propelled by the winter population.

Seaweed aquaculture: cultivation technologies, challenges and its ecosystem services

  • Kim, Jang K.;Yarish, Charles;Hwang, Eun Kyoung;Park, Miseon;Kim, Youngdae
    • ALGAE
    • /
    • 제32권1호
    • /
    • pp.1-13
    • /
    • 2017
  • Seaweed aquaculture technologies have develop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70 years mostly in Asia and more recently in Americas and Europe.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challenges to overcome with respect to the science and to social acceptability. The challenges include the development of strains with thermo-tolerance, disease resistance, fast growth, high concentration of desired molecules, the reduction of fouling organisms and the development of more robust and cost efficient farm systems that can withstand storm events in offshore environment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seaweed aquaculture provides ecosystem services, which improve conditions of the coastal waters for the benefit of other living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The ecosystem services role of seaweed aquaculture and its economic value will also be quantitatively estimated in this review.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연구: (III) 녹조류 (Fundamentals of Ecotoxicity Evaluation Methods Using Domestic Aquatic Organisms in Korea: (KII) Green Algae)

  • 안윤주;남선화;백용욱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117-1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계에 분포하는 녹조류를 대상으로 수행된 바 있는 국내외 독성 시험법의 시험 세부 조건을 노출 기간, 종말점, 초기접종농도 등을 중심으로 수렴하여 급성 및 만성 독성시험기법의 시험 세부 조건별 범위를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형 생태독성시험기법을 마련하기 위해 현 시점에서의 제한점과 생태독성평가기법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 생물종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수행된 바 있는 독성 시험법에 대한 기존 연구 사례를 살펴본 결과, OECD, EC, KS 등의 표준시험법에서 추천한 시험종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Desmodesmus subspicatus를 대상으로 한 독성자료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표준시험법의 시험종 이외에도 국내 생물종에 대한 소수의 독성 자료가 있었으나, 대체로 표준시험법을 수정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초기접종농도 및 배양액은 생물종마다 상이하게 수행되었으므로 녹조류 성장저해시험에 있어서 가장 주의할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이 미약한 현 시점에서 국내생태독성시험법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선정한 녹조류 7종을 대상으로 도출된 생태독성시험기법에 대한 실험 연구를 통한 검증 및 보완,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바 없는 시험종 개발 및 각각의 시험종별 생태독성시험기법 규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생물종별 독성시험기법 및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수계 실정 및 먹이 연쇄에 따른 생물종간 상호 연관성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국내 시험종 및 그 시험법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racking the Movement and Distribution of Green Tides on the Yellow Sea in 2015 Based on GOCI and Landsat Images

  • Min, Seung-Hwan;Oh, Hyun-Ju;Hwang, Jae-Dong;Suh, Young-Sang;Park, Mi-Ok;Shin, Ji-Sun;Kim, Wonko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7-109
    • /
    • 2017
  • Green tides that developed along the coast of China in 2015 were detected and tracked using vegetation indices from GOCI and Landsat images. Green tides first appeared near the Jiangsu Province on May 14 before increasing in size and number and moving northward to the Shandong Peninsula in mid-June. Typhoon Cham-hom passed through the Yellow Sea on July 12, significantly decreasing the algal population. An algae patch moved east toward Korea and on June 18 and July 4, several masses were found between the southwestern shores of Korea and Jeju Island. The floating masses found in Korean waters were concentrated at the boundary of the open sea and the Jindo cold pool, a phenomenon also observed at the boundary of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China. Sea surface temperatures, derived from NOAA SST data, were found to play a role in generation of the green tides.

한국의 남해 거문도해역에 자생하는 홍합(Mytilus coruscus)의 수심별 성장, 비만도와 저서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benthic organisms and growth and obesity of mussels (Mytilus coruscus) by depth in Geomundo, south coast of Korea)

  • 배종일;황성일;정영호;김유진;김동욱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19-31
    • /
    • 2021
  • 본 연구는 거문도 해역에 자생하는 홍합의 수심별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공존 또는 경쟁하며 생활하는 주변 저서 생물상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홍합은 수심이 낮은 곳에서 밀도가 높고 비만도가 낮은 반면, 수심이 깊어 질수록 밀도가 낮고 비만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형태적특성도 수심이 깊어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장과 전중량의 상관관계식에서도 수심 2m에 비하여 수심 12 m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수심에 따라 각장이나 각고의 성장 및 전중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변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중 해조류는 홍합의 패각을 기질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소형생물과 주변환경에 서식하는 대형생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암반조하대의 서식특성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광량에 영향을 받아 밀도 및 생체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저서동물은 팔각따개비가 홍합의 패각과 주변 서식공간에 모두 분포하고, 굴의 경우는 함께 분포는 하고 있다. 그러나 수심 2 m 지점에서 굴이 우세한 지점에서 홍합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홍합이 우점하는 수심이 깊은 지점에서는 굴이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나 두 종 간의 공간경쟁에서 수심에 따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 대형 해조류가 번성하는 지역의 경우, 홍합의 군집이 발달하지 않고 있어 대형해조류의 서식 유·무에도 홍합의 생존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담수와 기수성 남조류의 한국 미기록종 (Unreported Taxa in Freshwater and Brackish Blue-green Algae in South Korea)

  • 김용재;이동현;홍현철
    • 생태와환경
    • /
    • 제56권1호
    • /
    • pp.14-35
    • /
    • 2023
  • 담수와 기수성(호수, 연못, 습지, 하천, 하구, 조간대 포함) 남조류는 2017년 3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43지점에서 채집되었다. 출현한 종수는 2017년도에 담수지점에서 223종류, 기수지점에서 230종류였고, 2018년도에 274종류로 국립생물자원관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보고되었다. 이 중에 20종류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한국 미기록은 Aphanocapsa marina, Calothrix fusca f. durabilis, Calothrix littoralis, Calothrix parva, Chamaesiphon minimus, Chroococcidiopsis cubana, Chroococcidiopsis fissurarum, Coelosphaerium aerugineum, Dolichospermum mendotae, Eucapsis alpine, Gomphosphaeria cordiformis, Gomphosphaeria natans, Merismopedia danubiana, Lyngbya aestuarii var. gaditana, Tolypothrix tenuis, Pseudocapsa maritima, Pseudocapsa sphaerica, Pseudophormidium tenue, Trichodesmus sp. and Woronichinia elorantae이다.

한국 서해 어청도 해조상 및 군집구조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Eocheongdo in 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식;양은아;남기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5-665
    • /
    • 2013
  • 한국 서해안 어청도에서 조간대와 조하대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생물량과 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6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녹조류 12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6종이 출현하여 총 101종 채집되어 동정되었다. 이중 19종은 일 년 내내 출현하였다. 총 생물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점종은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톳(Sargassum fusiforme),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neri), 고사리모자반(Sargassum filicinum)이었다. 연간 평균 건중량은 $237.5gm^{-2}$이었으며, 최대값은 겨울에 $272.1gm^{-2}$, 최소값은 여름에 $204.5gm^{-2}$을 기록하였다. 조하대에서의 출현종과 생물량은 조간대에 비하여 많았다. 어청도에서 출현종수와 생물량은 투명도가 낮은 한국 서해 연안의 일반적 특성과 반대로 높은 투명도와 자연 암반의 발달로 인하여 한국 서해안의 다른 도서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