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falfa extrac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Allelopathic and Autotoxic Effects of Alfalfa Plant and Soil Extracts

  • Chon, Sang-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11
    • /
    • 2004
  • Alfalfa (Medicago sativa L.)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be autotoxic as well as allelopathic. Laboratory and greenhouse experiments through petri-dish and pot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autotoxic effects of alfalfa leaf and soil extracts on the germination or early seedling growth of alfalfa, and to evaluate allelopathic effects of alfalfa leaf residues on alfalfa, barnyard grass, com, eclipta and soybean. Alfalfa seed germination was delayed depending on aqueous extract concentration, with no difference in final germination after 48 hours. Alfalfa root length was more sensitive to the autotoxic chemicals from leaf extracts than was germination or shoot length. Root growth of alfalfa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extract concentration of more than 1 g dry tissue/L (g $\textrm{L}^{-1}$). Hypocotyl growth, however, was not affected by all the concentrations of leaf extracts. Soil extracts from 4-yr-old alfalfa stand significantly reduced alfalfa root length by 66%, while soil extracts from 0,1, and 3yr-old stand stimulated root length up to 14-32% over the control. Residue incorporation with dry matters of alfalfa leaf at 100 g $\textrm{kg}^{-1}$ reduced seedling length of several crop and weed species, ranging from 53 to 87% inhibition. Addition of nutrient solution into alfalfa leaf extracts alleviated alfalfa autotoxic effect. This result indicates alfalfa leaf and soil extracts or residues could exert autotoxic as well as allelopathic substances into soil environments during and after establishment.

알팔파와 베치의 추출물 및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Influence of Alfalfa and Vetch Extracts and Residues on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305
    • /
    • 1994
  •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Phytotoxic Effect of Xanthium occidentale Leaf Extract on Seed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Alfalfa and Barnyard Grass

  • Chon, Sang-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0-35
    • /
    • 2004
  • Compositae plants are known to contai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at are allelopathic to agricultural crops as well as weed species. Aqueous extracts from leaves of Xanthium occidentale were 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tiva)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ic effect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tracts applied onto filter paper significantly inhibited seed germination as well as root growth of alfalfa. Untreated seeds germinated in 60h, but extrac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30g $\textrm{L}^{-1}$ delayed seed germination. The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seed germination of alfalfa, and $\beta$-amylase activity of alfalfa and barley seeds during 24-36 hours after treatment. Aqueous extracts of 40 g $\textrm{L}^{-1}$ from X. occidentale were completely inhibited the hypocotyl and root growth of alfalfa. Aqueous leaf extracts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and followed by root and stem extracts. Early seedling growth of both alfalfa and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methanol extracts. By means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hlorogenic acid and trans-cinnamic acid were quantified as the highest amounts from water and EtOAc fractions, respectively. BuOH and EtOAc fractions of X. occidentale reduced alfalfa root growth more than did hexane and water fractions. The findings of the bioassays for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reflect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extract was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responsible allelochemicals found in plant extracts.

Effect of Alfalfa Plant Extracts on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Forages

  • Chon, Sang-Uk;Choi, Seong-Kyu;Park, Sang-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310-315
    • /
    • 2000
  • Alfalfa (Medicago sativa L.)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contain water-soluble substances that are autotoxic as well as allelopathic. Laboratory experiment through a petri-dish assay with imbibed seeds was conducted to evaluate both autotoxic and allelopathic effects of alfalfa leaf extracts on the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alfalfa, red clover, crested wheatgrass, and Russian wildrye. Alfalfa seed germination was delayed dependent on extract concentration, with no difference in final germination at 72 hours. Root growth of alfalfa was stimulated up to 14% above control at very low concentrations of both leaf and stem extracts of alfalfa and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extract concentration of more than 0.5g dry tissue/L (${gL}_{-1}$). Leaf extracts were generally more autotoxic for root growth than were stem extracts. Hypocotyl growth was not affected by all the concentrations of both leaf and stem extracts. Root length of legumes was more sensitive to the autotoxic chemicals from leaf extracts than was germination or shoot length. Hypocotyl growth of two legume plants and plant height of two grasses were not influenced by extracts. Seed germination and root growth of legumes were more inhibited by aqueous extracts of alfalfa leaf than were those of grasses. This result indicates autotoxic effect of alfalfa leaf extracts seems to be greater than allelopathic effect.

  • PDF

몇가지 잡초들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알팔파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Effect of Some Weed Species Extracts and Residues on Alfalfa)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85-294
    • /
    • 1994
  • 본 실험은 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velvetleaf등을 비롯하여 7종류의 잡초를 마른 상태와 생체상태로 각각 수확하여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물질을 추출 이들을 alfalfa 종자 발아와 생육정도 검정에 사용하여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억제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이 중 억제효과가 제일 큰 velvet-leaf의 추출물은 여러 농도로 silica sand와 혼합하여 alfalfa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토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추출물 처리는 alfalfa의 발아율, 발아세,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을 억제시켰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 보다 더 큰 타감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 정도를 보였다. 또 alfalfa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이었다. 2. 농도에 따르는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다. 3. 건조된 velvetleaf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에서 잔기의 비율이 증가 될수록 alfalfa의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그 정도는 잔기 비율 1%에서 가장 억제적이었다. 4. 잡초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alfalfa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 하여 타감작용이 인정되었다.

  • PDF

알팔파 추출물, 추출농도 및 흡착제 처리가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falfa Extract, It's Concentration and Absorbent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Alfalfa)

  • 정일민;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19-628
    • /
    • 1995
  • 본 실험은 온실과 포장에서 재배한 알팔파를 잎, 줄기, 뿌리, 꽃 부분으로 나누어 수확, 건조,하여 물 추출한 후 이 추출물들이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포장상태에서 자란 알팔파 지상부 전체를 수확,건조, 추출하여 이를 농도별로 처리 알팔파 발아율을 검정하였고, pot실험을 통하여 알팔파 품종간 biomass 분배율 검정과, 알팔파 autotoxicity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adsorbent로 처리하여 이들이 알팔파 독성성분을 변형시키는지를 검토하였다. 1. 온실과 포장에서 자란 알팔파의 추출물로 알팔파 발아 및 생육에 대한 영향을 비교한 결과 포장에서 자란 추출물질이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고, 특히 포장에서 생육한 꽃 추출물 처리가 가장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2. 농도처리에 따르는 추출물 처리는 농도가 증가 할수록 발아율이 억제되었고, biomass분배율에 대한 pot실험에서는 LWR 과 SLA의 산물인 LAR은 품종간 유의성을 보였다. 3. 알팔파 추출물에 대한 absorbents처리는 추출물의 독성을 변형시키지 못하였다.

  • PDF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Alfalfa (Medicago sativa L.) Extracts)

  • 김상은;이상원;염동민;이문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3-128
    • /
    • 2012
  • 본 연구는 두부에 알팔파가 갖는 우수한 생리기능을 활용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두부를 개발하고자 알팔파 추출물을 0.25, 0.5, 0.75 및 1.0%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두부의 수분 함량은 알팔파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무첨가 두부에 비해 높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회분의 함량은 시료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부의 수율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무첨가 두부보다는 높았다. 알팔파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탁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부의 색도는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모두 음(-)을 나타내어 녹색의 경향을 띄었다. 알팔파 추출물 첨가 두부의 견고성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깨짐성은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팔파 추출물 첨가 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daidzein, genistein은 각각 322.6~348.6, $342.0\sim385.3{\mu}g/g$으로 증가하였다. 두부의 관능검사 결과 점수는 알팔파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5% 첨가 두부가 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알팔파 추출물의 첨가는 전체적인 조직감 및 이소플라본 함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두부의 품질 특성은 유지하면서 관능적 특성 및 기능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알팔파 추출물을 0.5% 이내로 첨가하였을 때 두부의 조직감 및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농도로 판단된다.

생장배지 및 추출액의 멸균이 알팔파 Autotoxicity 의 유묘 생물검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Medium and Extract Sterilization on a Seedling Bioassay of Alfalfa Autotoxicity)

  • 천상욱;;한성욱;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5-190
    • /
    • 1999
  • 알팔파의 식물체로부터 자감작용에 관여한 물질은 알팔파 재배 후에 연작되는 알팔파의 발아와 유묘생장 및 입모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물질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알팔파·잎추출물의 자감작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묘생물검정의 감수성을 개선코자 몇 가지 생장배지 및 추출액의 멸균방법을 비교하여 발아와 초기 유묘 생장을 억제하는데 한계 적정농도를 결정하였다. 여과지를 이용한 종이배지보다는 한천과의 혼합배지에서 추출액에 대한 발아 및 유묘신장 반응이 더 민감하였으며, 한천배지에서 뿌리신장, 발아 및 배축 신장을 50% 억제하는 추출액 농도는 각각 2.7, 3.8 및 9.9g $kg^{-1}$으로 나타나, 뿌리신장이 발아나 배축의 신장보다 추출액의 autotoxic 물질에 대해 더 민감하였다. 100ppm의 streptomycin은 유의적으로 발아율을 촉진시켰으나, 추출액이 없는 대조처리의 뿌리 신장을 43%억제시켰다. $125^{\circ}C$ 고열 증압 멸균은 추출물의 활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멸균 가능한 방법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고열증압멸균에 의한 추출액을 한천과 혼합한 배지에서 생물검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더 높은 일관성과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뿌리신장은 알팔파 잎 추출물의 자가작용 효과를 검정하는데 최선의 판단기준이 될 수 있음을 결론지을 수 있다.

  • PDF

알팔파 꽃 추출물의 Autotoxicity와 돌피에 대한 Allelopathy (Autotoxicity of alfalfa flower extract and its allelopathy to Echinochloa crus-galli)

  • 정일민;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21-832
    • /
    • 1997
  • 본 실험은 알파파 꽃 추출물로부터 Allelopathy와 Autotoxicity에 관련되는 활성물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알팔파 꽃 200g을 80% MeOH로 추출하여 $CHCl_3$층을 silica gel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microcrystalline cellulose thin layer chromatography (MCTLC)와 droplet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DCCC)의 분획을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행하고 DCCC의 생물검정에서 가장 억제력을 보였던 분획 5와 6은 HPLC로 활성물질을 동정하였다. HPLC분석 결과 분획 5에서는 ferul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rutin, narringin 이, 분획 6에서는 ferul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rutin, coumarin이 동정되었다. 이들 동정된 물질을 이용한 알팔파와 돌피에 대한 발아실험에서도 모두 알팔파와 돌피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중 coumarin의 처리가 가장 억제적이었다. 따라서 이들 물질이 알팔파와 돌피의 autotoxicity와 allelopathy에 관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Effects of Horsetail, Alfalfa, Ortie, Chêne and Aleppo oak as Potential Hemostatic Agents on Laboratory Coagulation Tests

  • Sina Ahmadianfar;Nahid Mehrabi;Saeed Mohammadi;Ali Sobhanizadeh;Alireza Moradabadi;Ali Noroozi-Aghide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42-49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horsetail, alfalfa, ortie, chêne and aleppo oak on blood coagulation in vitro. Extraction was performed by the maceration method. Extracts were mixed with platelet and plasma, then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latelet aggregation tests were conducted. Alfalfa extract had a dose-dependent effect on the PT. Ortie, and horsetail, reduced the PT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Alfalfa, horsetail, and ortie reduced the APTT, but their effect was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ooled extract showed the highest effect compared to the single extract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rsetail and alfalfa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response to arachidonic acid but not in response to collagen. In the case of ortie, no aggregation occurred regarding the arachidonic acid, and incomplete was observed in response to collagen. Interestingly, blood clotting occurred immediately after adding the chêne, aleppo oak and the pooled extract, and therefore platelet poor plasma (PPP) and platelet rich plasma (PRP) became jelly. Generally, chêne and aleppo oak, as well as pooled extract, were more effective in inducing both primary and secondary coagulation pathways via shortening the PT and APTT, and induction of platelet aggre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