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ic fermentation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7초

Production of Microbial Cellulose and Acids in Kombucha

  • Soh, Han-Sup;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1호
    • /
    • pp.37-42
    • /
    • 2002
  •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and organic acids in Kombucha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Kombucha was obtained by the fermentation (for 12 days at 3$0^{\circ}C$) of the green/black tea extract, supplemented with 10% white sugar, using an Oriental tea fungus as starter. Hitgher initial pH increased acid production with decreased cellulose production. With a cellulose pellicle or tea fungus broth as a starter, a 1~3 mm thick cellulose layer developed as a top layer every four days, and was removed subsequently while continuing fermentation. Addition of 30 mL tea fungus broth (13%, v/v) in Kombucha fermentation resulted in maximum production of a cellulose pellicle, indicating weak acid production. Yield of cellulose production at an early stage of fermentation was also higher when Kombucha was inoculated with a cellulose pellicle. In fact, addition of 1% (v/v) alcoholic beverage in the Kombucha fermentation activated the cellulose production, coupled with four times higher acid production.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Analysis of Optimum Condition for Alcoholic Drink Production Using Onion Extract.)

  • 김삼웅;오은혜;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71-877
    • /
    • 2008
  • 이 연구는 양파즙을 이용한 알코올 음료의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양파는 당, 아미노산과 다양한 영양분을 기인하여 알코올 음료 개발을 위해 적절한 원료로 고려된다. 양파에서 알코올 발효를 위한 효모를 선별하기 위해 시판중인 효모를 양파배지에서 순화시켰다. 양파배지에서 성장하는 19 균주를 사용하여 알코올 생성능을 확인해 본 결과 OJ-8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의 특이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냄새를 제거한 결과 열을 가하거나 활성탄을 처리하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액량에 대해 20% 활성탄을 30 분간 처리하고 $100^{\circ}C$ 40분간 열처리를 하면 효과적으로 냄새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즙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발효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의 검사 결과는 5% 접종량으로 $25^{\circ}C$ 5일 동안 정치배양하면 최대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Malo-Alcohol 발효(醱酵)에 있어서 사과산의 대사경로(代謝経路) (Metabolic Pathway of L-Malate in Malo-Alcoholic Fermentation)

  • 정기택;유대식;송형익;김재근;김찬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0-94
    • /
    • 1984
  • Malo-alcohol 발효효모(醱酵酵母) Schizosaccharomyces japonicus var. japonius St-3에 의한 사과산의 대사경로(代謝經路)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chiz, japonicus var. japonicus St-3의 조효소(粗酵素)의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바, malic enzyme(EC1. 1. 1. 40)의 효소활성(活性)이 malate dehydrogenase(EC1. 1. 1. 37)보다 약 4배 높았으며 양효소(兩酵素)의 기질(基質)인 L-malate에 대한 Km치(値)는 malic enzymed l 3. 125mM, malated dehydrogenase는 4. 761mM로써 기질에 대한 친화성(親和性)에 있어서 malic enzyme 쪽이 훨씬 컸다. malo-alcohol발효(醱酵)과정중 사과산이 소시(消矢)되어 pyruvate가 생성(生成)됨을 확인(確認)할 수있었으며 $Mn^{2+}$에 의해 malic enzyme의 활성(活性)이 촉진(促進)되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미루어 본(本) 공시균(供試菌)에 의한 사과산 대사(代謝)의 주경로(主經路)는 $malate{\rightarrow}pyruvate{\rightarrow}acetaldehyde{\rightarrow}ethanol$의 경로(經路)를 거치는 것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 PDF

사과농축액의 알코올발효 불량화 자료 설정 (Detecting Defects from the Alcoholic Fermentation of Apple Concentrates)

  • 성나혜;우승미;여수환;여명재;이경훤;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21-626
    • /
    • 2013
  • 본 연구는 사과농축액을 이용한 알코올발효 적성에 따른 불량화 검정지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5종의 사과농축액(A~E)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정산도는 모든 희석액에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pH는 A 및 D가 4.0 이상으로 높았고 B, C 및 E가 3.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maltose가 A 및 D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C에서 698 mg%, B 및 E에서 1,000 mg% 이상이 검출되었다. 사과의 주요 유기산인 malic acid는 A 및 D에서 약 600 mg%로 높게 나타났고 B, C 및 E에서는 약 50 mg%였다. 주요 무기질인 K은 A 및 D에서 약 180 mg%로 높았고 B, C 및 E에서는 6~9 mg%로 소량 검출되었다. 보존료(소르빈산으로서)는 모든 사과농축액(A~E)에서 불검출 되었다. 상기의 사과 희석액으로 알코올발효를 실시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DAFB 및 AAFB가 각각 11.2 및 10.8%였고 BAFB, CAFB 및 EAFB는 알코올발효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으며, 효모의 maltose 이용에 따른 영향도 있겠으나 앞의 유리당 및 유기산 분석결과와 조합하면 B, C 및 E는 불량화 또는 변조된 사과농축액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포도주 효모에 의한 중간크기의 지방산 생성 (Formation of Medium Chain Fatty Acid by Wine Yeasts)

  • 이수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32-837
    • /
    • 1989
  • 포도주 발효에 사용되는 호모균주 12종을 Murphy배지에 배양하여 중간크기의 지방산(MCFA)의 생성을 분석하였고 발효조건에 따라 그 생성량을 관찰하였다. 특히 발효력이 강한 Saccharomyces cerevisiae에 속하는 균주들은 발효초기에 decanoic acid를 약 21-26mg/1 생성하였고 발효 후기에는 약 5-10mg/1로 감소하였다. 발효조건에서 볼 때 MCFA의 생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당함량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또한 탄산가스의 존재 하에서도 증가하였다.

  • PDF

감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발효 최적 조건 및 감식초의 품질특성 (Optimum condi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Persimmon Vinegar Prepar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Persimmon Vinegar)

  • 정석태;김지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1-178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ersimmon vinegar. The acetic acid bacteria strain JST-3, using acetic acid fermentation was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persimmon vinegar. The optimum conditions for high yield of acetic acid were studied in the shaking bath. Acetic acid bacteria was cultured at 3$0^{\circ}C$ for 4 days and transferred to persimmon alcoholic juice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The optimum initial acidity for acetic acrid fermentation was 1%(w/v) and the addition of glucose or yeast extract was observed to produce relatively low yield of acetic acid. Succinic and acetic acid were major organic acid in the persimmon vinegar, The contents of lactic acid which was known to increase off-flavor were very low.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persimmon vinegar prepared in this study was superior to two commercial ones in the aroma and taste.

  • PDF

포도주(葡萄酒) 제조방법(製造方法)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ed Wine)

  • 변상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3호
    • /
    • pp.139-144
    • /
    • 1980
  • 포도주(葡萄酒)의 제조방법(製造方法)과 품종(品種)에 따른 제품(製品)의 물리(物理)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또 그들의 기호성(嗜好性)에 대(對)한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하므로서 평가(評價)한 몇가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료포도(原料葡萄)의 성분(成分)에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90.70{\sim}90.82%$로서 품종간(品種間)에는 차별(差別)이 없고 Brix 당도(糖度) 및 당분함량(糖分含量)은 Muscat Bailey A>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다. 적정산도(滴定酸度)는 Muscat Bailey A 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고 PH 는 Campbell Esrly>Muscat Bailey A Alden의 순(順)이였다. 2)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포도주(葡萄酒)의 비중(比重)은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었다. 3) 포도주(葡萄酒)의 주정도(酒精度)는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자연발효구(洗滌自然醱酵區)의 순(順)이였으나 숙성(熟成)이 됨에 따라 차(差)는 적어졌다. 4) 발효액(醱酵液)의 PH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에 비(比)하여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가 약간 낮으나 숙성(熟成)됨에 따라 차(差)가 적어졌다. 5) 총(總) Ester 양(量)은 발효(醱酵)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가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 보다 약간 높았으며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6) 발효성(醱酵性)에 따른 관능검사(官能檢査)의 결과(結果) 발효조건(醱酵條件)에 따라서는 효모첨가구(酵母添加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발효구(洗滌醱酵區)의 순(順)이였고 품종(品種)에 따라서는 Alden>Muscat Bailey A>Campbell Early 순(順)으로 우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Estimation of Korean Adult's Daily Intake of Ethyl Carbamate through Korean Commercial Alcoholic Beverages Based on the Monitoring

  • Ha, Mi-Sun;Hu, Soo-Jung;Park, Hee-Ra;Lee, Hyo-Min;Kwon, Ki-Sung;Han, Eun-Mee;Kim, Kyung-Mi;Ko, Eun-Jung;Ha, Sang-Do;Bae, Do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12-116
    • /
    • 2006
  • Levels of ethyl carbamate, by-product produced naturally during fermentation, in Korean alcoholic beverage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de (GC/MS/SIM), and their daily intake by Korean adult group was estimated. In GC/MS/SIM analysis 0.8-10.1, 0.5-0.8, 0.4-0.9, 3.5-689.9, 8.4-30.3, 13.9-30.0, and 1.7-11.7 ppb of ethyl carbamate were detected in soju, beer, takju, fruit wine, cheongju, whiskey, and grape wine, respectively. Maximum daily exposure of ethyl carbamate through alcoholic beverage consumption was 7.41 ng/kg body weight/day for average Korean male, with one soju brand and two fruit wine brands showing high ethyl carbamate level.

탁주 및 탁주료의 화학성분과 그 변화에 관한 연구 (The bio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mashes and Takju)

  • 홍순우;하영칠;민경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7-115
    • /
    • 1970
  • In order to brew Takju, Korean flour wine, it requires three necessary steps for specific brewage. One is primary brewing process and another main brewing process to sacharify and perform alcoholic fermentation. After previous two brewing passing, the mash of main brewing process mixed with 1 volume of water is commercial Takju. Three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ree breweries and incubated at $28{\pm}1^{\circ}C$for the alcoholic fermentation. All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observation of the changes of various biochemical constituents which were contained in the mashes of two brewing processes and in Takju. The starch contents of the suspensions in the primary and main mashes, and in Takju were 28.08, 25.92, 3.83%, and decreased considerably within 36-48 hrs and thereafter slowly. The amounts of water soluble carbohydrates and reducing sugars in three steps had a tendency of decreasing within 48 hours. The initial numbers of yeasts per 1ml in the suspensions were $1.74{\times}10^8$, $1.65{\times}10^8$, $0.66{\times}10^8$, appeared the highest at 72 hours (12.66%) in main process, and in the case of Takju kept increasing untill 60 hours. The dextrin contents in the mashe of primary process through the long period were 0.34 - 0.68%, in the main one were 0.12 - 0.32%, concerning with the amylase activities which were stronger in the mash of the primary process than in that of the main. The contents of methanol and cellulose in the mashes of two processes were 3.40-0.68%, in the main one were 0.12-0.32%, concerning with the amylase activities which were stronger in the mash of the primary process than in that of the main. The contents of methanol and cellulose in the mashes of two processes were 3.40-5.98mg/ml, 0.43-0.48% during the fermentation. The consumption of crude protein the mashes of Takju revealed with time, on the contrary, the production of free amino acids and oligo-peptides were performed, depending upon the affection of proteinase. The amount of tannic acid in Takju was 0.0073-0.0098mg/ml and organic acids of these three groups increased with time and hydrogen ion concentration was 3.28-4.43.

  • PDF

토마토 농축액을 이용한 무가당 알코올 발효를 위한 효모의 선발 (Screening of yeast for alcoholic fermentation of no sugar-added tomato concentrate)

  • 김동환;문재남;이슬;이수원;문혜경;김귀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91-59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농축액을 이용한 무가당 알코올 발효를 통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토마토 와인을 제조할 토마토 농축액($25^{\circ}Brix$)의 수분 함량은 67.33%, 조단백질 함량은 1.90%, 조지방 함량은 0.03%, 조회분 함량은 0.02%, 가용성 무질소물은 30.72%로 나타났고,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가 함유되어 있었고, 유리아미노산이 총 19종으로 glutamic acid가 814.7 mg/100 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알코올 함량은 발효 3일째 가장 높은 알코올 함량을 보였으며, 사용 균주 중 사용 균주 중 TWB(S. cerevisiae ICVD-47)는 8.20%로 가장 높은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었고, 당도는 발효 4일차에서도 TWB(S. cerevisiae ICVD-47)는 13.25로 가장 낮은 잔류당 함량을 나타내었고, 각 균주의 당도는 $13.25{\sim}13.45^{\circ}Brix$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4일차에서 28.37~28.48 mg/mL의 값을 나타내어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4.31~4.55의 값을 나타내어 균주에 따른 pH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산은 사용된 균주 모두 1일차에서 4일차까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L, a, 및 b 값은 사용된 균주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토마토 농축액 알코올 발효에 적합한 균주는 알코올 생성량이 높고, 낮은 잔류당 함량을 가진 TWB(S. cerevisiae ICVD-47)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