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을 이용한 참모자반 효소분해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Biological Analysis of Enzymatic Extracts from Sargassum fulvellum Using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

  • 조은경;강수희;최영주
    • KSBB Journal
    • /
    • 제28권6호
    • /
    • pp.349-355
    • /
    • 2013
  • SC092 strain, producing a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 was isolated from the seawater.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Microbulbifer sp. using the comparative sequence analysis against known 16S rRNA sequence. A polysaccharide degrading enzyme from this strain was used to acquire the enzymatic extracts of Sargassum fulvellum.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OD activity of the enzyme extracts of S. fulvellum were about 61.9% and 82.9% at 2 mg/mL, respectively.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was 52.5% at 2 mg/mL on pH 1.2. In addition,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also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was about 52.7% at 2 mg/mL.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nzyme extracts of S. fulvellum on alcohol metabolism, the generating activity of reduce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H)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were measured. ADH and ALDH activities were 118.0% and 177% at 2 mg/mL, respectively.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nzyme extracts of S. fulvellum was remarkab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was about 52.7% at 2 mg/mL. These results indicate alcoholizing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can be enhanced by the enzymatic extracts of S. fulvellum.

콩나물 당 침지액의 항산화 효능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 연구 (Study of the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ies of Soybean Sprout Sugar Solutions)

  • 김경미;정현정;성혜미;위지향;김태용;김기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1-587
    • /
    • 2014
  • 콩나물은 숙취해소에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콩나물 특유의 비린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원료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숙취해소효과로 잘 알려진 설탕 및 올리고당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비린 맛을 없애고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항산화 효과 증진 및 숙취해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실험을 설계하였다. 콩나물에 설탕과 올리고당의 2종류 당액($50^{\circ}Bx$)을 25, 50, 75%(w/w) 비율로 첨가하여 1, 3, 6, 12, 24시간 침지하였으며, 침지한 콩나물의 여액을 여과하여 콩나물 당침용액을 샘플로 사용하였다.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제외한 모든 실험 결과에서 올리고당이 대조구나 설탕 침지보다 DPPH radical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ADH ALDH 효소 활성 실험 결과, 당액 첨가비율 25%에 비해 50%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띄었고, 50%와 75%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은 시간 증가에 따른 일정한 증가 추세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 시간만을 고려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 및 총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알코올 분해능 실험에서 1-3시간 추출 시 대부분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고 추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오히려 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콩나물을 올리고당 당액($50^{\circ}Bx$) 50% (w/w) 비율 이상의 수준에서 단시간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만으로도 항산화능과 알코올 분해능이 좋은 콩나물 추출액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콩나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과량의 당액을 사용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적인 절감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nhancement of PVA-Degrading Enzyme Production by the Application of pH Control Strategy

  • Li, Min;Zhang, Dongxu;Du, Guocheng;Chen, Ji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220-225
    • /
    • 2012
  • In batch culture for Poly(vinyl alcohol) (PVA)-degrading enzyme (PVAase) production by a mixed culture, higher pH (pH 7.5) was favorable for PVAase production at the prophase of cultivation, but lower pH (pH 7.0) was favorable at the anaphase. This situation wa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optimum pH for different key enzymes [PVA dehydrogenase (PVADH) and oxidized PVA hydrolase (OPH)] production is various. The activity and average specific production rate of PVADH reached the highest values at constant pH 7.5, whereas those of OPH appeared at pH 7.0. A two-stage pH control strategy was therefore developed and compared for its potential in improving PVAase production. By using this strategy, the maximal PVAase activity reached 2.05 U/ml, which increased by 15.2% and 24.2% over the fermentation at constant pH 7.5 and 7.0.

Microbacterium barkeri KCCM 10507 및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CM 10508에서 분비되는 PVA 분해 효소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PVA Degrading Enzymes from Microbacterium barkeri KCCM 10507 and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CM 10508)

  • 최광근;김상용;류원석;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54-58
    • /
    • 2006
  • 본 연구의 목표는 새롭게 분리한 두 종의 균주 Microbacterium barkeri KCCM 10507과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CM 10508 에서 분비되는 PVA 분해 효소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기 두 종의 균주로부터 얻은 crude enzyme을 사용하여 PVA 분해 시험을 진행한 결과, SAO의 활성은 시험 시작 후2일 혹은 3일 후 최대를 보인 반면, BDH의 활성은 시험 내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배지내에 PVA가 존재하면 이들 효소의 활성 이 유지되었으나, PVA가 배지에서 완전히 사라지게되면, PVA 분해 효소의 활성도 사라졌다. 배지에 다시 PVA를 주입하면 이들 효소의 활성이 다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상기 두 종의 효소는 PVA 분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PVA는 SAO와 BDH의 활성에 의해 분해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쌀보리 전분 당화효소 생산균의 분리 동정 및 무증자 알코올 발효에의 이용 (Screening of a Potent, Raw Naked Barley Saccharifying Enzyme Producer and Its Application on the Uncooked Alcohol Fermentation)

  • Oh, Sung-Hoon;Kwon, Ho-Joeng;O, Pyong-Su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08-413
    • /
    • 1987
  • 토양으로부터 생 쌀보리 분해 효소 생산능이 있는 170주의 곰팡이와 4주의 방선균을 분리하여 이중 생 쌀보리 분해 효소 생산능이 가장 높은 No. 281 균주를 선정하여 동정한 결과 Rhizopus sp.로 밝혀졌으며, 밀기울을 기본 배지로 한 효소 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 효소 생산 최적 온도는 3$0^{\circ}C$, pH는 4.5-5.0 이고 배양 시간 5일 후에 최고의 역가를 보였다. 생쌀보리를 이용한 무증자 알코올 발효 실험에서는 분리한 Rhizopus sp. No. 281의 효소를 이용했을 때가 시판 효소보다도 에탄올 생성이 2%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을 이용한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생리활성 연구 (Biological Analysis of Enzymatic Extracts from Capsosiphon Fulvescens Using the Microbulbifer sp. AJ-3 Marine Bacterium)

  • 배정미;조은경;김혜윤;강수희;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7-6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수로부터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의 효소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분석하고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매생이의 효소분해산물을 조제하여 이에대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gar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으로 나타내었는데 chitin 34.8%, fucoidan 36.8%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고, starch 51.2%, agarose와 laminaran은 agar와 비슷한 수준인 115.6%, 103.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뿐만 아니라 alginic acid에 대해서는 agar의 2배가 넘는 239.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측정으로 분석하였는데 매생이 효소분해산물 2 m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2%, SOD 활성은 93%로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82%, pH 3.0에서 53%, pH 6.0에서 12%로 positive control인 비타민C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 활성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효소분해산물 2 mg/ml 농도에서 30%의 증가된 알콜 분해능이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효능에 대해서는 tyrosinas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으며 2 mg/ml에서 2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주산 만감류 청견의 저장 중 펙틴 및 펙틴분해효소 활성의 변화 (Changes in Pectin and Pectin Degrading Enzymes Activity during Storage of Kiyomi Tangor Produced in Jeju)

  • 강문장;임자훈;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9
    • /
    • 2001
  • Kiyomi tangor(Citus unshiu x sinensis) was stored at 3$\^{C}$ and 85% relative humidity, and the changes in firmness, pectin degrading enzymes activity and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fruits during storage were investigated. Decay ratio and weight loss during 180 days’ storage were increased gradually to 13.0% and 12.9%, respectively. Firmness of fruits with 2 mm probe was decreased gradually from 808.7 g-force to 406.4 g-force, and moisture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from 76.5% to from 89.6% to 87.6% during storage, respectively. Exo-polygalacturonase activity of peel after 150 days’ storage were increased gradually to 558.09 units/100g. Pectin methylesterase activity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14.7 units/g to 2.3 units/g, and from 9.4 units/ml to 2.7 units/ml at 150days’ storage, respectively. Endo-polygalacturonase activities were not changed notably during storage. Alcohol-insoluble solid(AIS) of peel was not changed notably. During storage of the fruits water soluble pectin(WSP)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474.49 mg/100g to 614.29mg/100g, and from 66.91mg/100g to 92.74mg/100g as wet basis, respectively.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HMP) of peel were decreased from 405.5mg/100g to 270.43mg/100g, hydochloric acid soluble pectin(HSP) of peel was also decreased from 544.02mg/100g to 412.64mg/100g during storage. Total pectin substance(TPS)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from 1,424.01mg/100g to 1,297.36mg/100g, and from 165.51mg/100g to 171.54mg/100g, respectively. Composition ratio of pectin was in order of WSP > HSP > HMP.

  • PDF

딸기의 유통.저장시 연화현상에 관한 연구 (1) 세포벽 성분, 단백질 및 효소의 변화 (Studies on the Softening of Strawberry during Circulation and Storage (1) Changes of Cell Wall Components, Protein and Enzymes during Ripening)

  • 이광희;김광수;김미현;신승렬;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4
    • /
    • 1998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know changes of the cell wall components, cell wall degrading enzyme activities and contents of soluble protein of strawberry during ripening and softening. The contents of water soluble substances were slightly increased during ripening, but the contents of alcohol-insoluble substances were not changed. The contents of pectin were not changed at green mature and turning stage, while decreased after mature stage. The contents of alkali-soluble hemicellulose and cellulose were increased during ripening and softening. The contents of water-soluble and saltsoluble protein were not changed, but the content of cell wall protein was slightly decreased during ripening. The content of total protein was increased at turning stage, it is not changed after turning stage. $\beta$-Galactosidase activity was increased during ripening, and pectinmethylesterase activity was decreased at turning. 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 was changed up to mature stage, but decreased at overripening stage. Polygalacturonase and cellulase activities were not detected at all of ripening stages.

  • PDF

재조합균주 E. coli CNU312가 생산하는 Catechol 2,3-Dioxy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techol 2,3-Dioxygenase from Recombinant Strain E. coli CNU312.)

  • 임재윤;최경호;최병돈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6-32
    • /
    • 2000
  • Toluene, phenyl 등의 분해균주인 Burkholderia cepacia G4로부터 tomB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얻은 재조합 균주 E. coli CNU312로부터 catechol 2,3-dioxygenase를 정제하여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Catechol 2,3-dioxygenase는 native 분자량이 약 140.4 kDa이었으며 4개의 동일한 35 kDa subunit로 구성된 homotetramer로 생각된다. Catechol의 $K_(m)$값과 $V_(max)$값은 372.6 $\mu$M과 39.27 U/mg이었으며, 1.56 mM 이상의 기질 농도에서는 활성이 감소되었다. 효소 활성의 최적 pH는 8.0이었으며, pH 7.0-8.0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최적 활성온도는 $40^{\circ}C$였으며, $60^{\circ}C$이상에서 완전히 활성을 상실하였다. 또한 $Fe^(2+)$, $Fe^(3+)$ 를 비롯한 대부분의 금속 이온에 의해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Mg^(2+)$, $K^(+)$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효소 활성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화학변형제를 처리한 결과, tryptophan과 histidine이 효소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0%의 유기용매에 안정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H_(2)$$O_(2)$, EDTA, ο-phenanthroline에도 활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2-mercaptoethanol, dithiothreitol, 그리고 ascorbic acid와 같은 환원제에 대해서도 안정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효소는 catechol에 대해 높은 기질 특이성을 보였으며, 3-methylcatechol, 4-methylcatechol, 그리고 4-chlorocatechol에 대해 약간의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2,3-dihydroxybiphenyl에 대해서는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