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flow obstruc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수면호흡장애와 코막힘 (Sleep Disordered Breathing and Nasal Obstruction)

  • 정유삼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93-97
    • /
    • 2005
  • Nasal obstruction may cause or aggravate sleep disordered breathing but exact pathogenesis is not clear. The possible mechanism could be combination of alteration in upper airway aerodynaimcs, loss of nasal reflex or sensation, effect of mouth opening, and a genetic predisposition. Anatomical narrowing of nasal airway cause more rapid airflow and induce more negative inspiratory air pressure. So, it increases collapsibility of pharyngeal airway. Loss of nasal sensation to airflow block nasal reflex. Mouth opening decreases the activity of pharyngeal airway dilator muscles and narrowing the pharyngeal airway may occur. The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cause. The causes of nasal obstruction are various from problems of external nasal opening to nasopharynx. Relief of nasal obstruction may not cure sleep disordered breathing always. In some mil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only may cure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some severe sleep apnea patients,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may increase compliance of continous nasal positive airway pressure.

  • PDF

기류 가역성 평가에 있어서 최대호기유속 측정의 유용성 (Validity of Peak Expiratory Flow for Assessing Reversible Airflow Obstruction)

  • 최원일;곽진호;권두영;한승범;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4호
    • /
    • pp.522-529
    • /
    • 2000
  • 목 적 : 최대호기유속 측정도 $FEV_1$과 함께 기도폐색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기도폐색의 가역성을 평가하는 것은 기도폐쇄질환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하다. 최대호기유속은 $FEV_1$에 비해 측정이 간단하며 쉽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1차 진료기관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최대호기유속으로 기류 가역성을 평가한 연구는 매우 적다. 이에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에게서 최대호기유속과 $FEV_1$으로 기류 가역성올 비교 평가하여 1차 진료기관에서 최대호기유속을 측정함으로써 기류 가역성을 평가하는데 기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호흡곤란, 기침 및 천명을 주소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호흡기내과를 방문한 환자들 중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진단 받은 8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베타-2 교감신경작용제(salbutamol) 흡입 직전과 15분 후 측정한 $FEV_1$의 추정정상치가 12% 이상 증가하고 노력성폐활량 또는 $FEV_1$의 절대값이 200ml 이상 증가한 경우를 기류가역성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최대호기유속의 가역성은 베타-2 교감신경작용제 사용 후 절대값의 변화(1/min)로 표현하였으며 최대호기유속의 절대값의 변화에 따른 기류폐색의 가역성 평가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과 음성예측율을 구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 80명중 36명(45%)에서 기류 가역성이 있었다. 폐활량측정법으로 기류 가역성이 증명된 환자에서 최대호기유속으로 기류 가역성을 평가하여서 최대호기유속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을 그리고 음성예측율을 구하였을때 기저치보다 30 l/min 이상 증가한 경우에 가장 높게 관찰되었고 민감도 72.2%, 특이도 72.7%, 양성예측율 68.4% 그리고 음성예측율은 76.2%로 관찰되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베타-2 교감신경작용제 사용 후 최대호기유속의 절대값의 변화는 기류 가역성을 평가하는데 간편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만성기도폐쇄 환자에서 최대운동부하시 관찰되는 호흡양상 - 기도폐쇄정도와 흡기책임비율변화 사이의 상관관계 - (The Changes of Breathing Pattern Observed During Maximal Exercise Testing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Airflow Obstruction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Inspiratory Duty Cycle and the Degree of Airflow Obstruction)

  • 이계영;지영구;김건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74-582
    • /
    • 1997
  • 연구배경 : 정상인에서는 운동부하시 증가되는 환기량의 요구를 초기에는 상시호흡량의 증가로 후기에는 호흡수의 증가로 충족시키며, 호흡수 증가에 따라 유발되는 호흡주기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흡기책임비율이 50% 이상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만성기도폐쇄 환자에서는 환기능력의 감소와 생리적 사강 호흡의 증가로 인해 최대운동부하시 얕고 빠른 호흡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지만 책임비율의 변화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지 않고 이와 기도폐쇄정도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방 법 : 12명의 만성기도폐쇄 환자와 10명의 정상인을 대조로 점진적 최대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안정시에서 최대운동부하시점까지의 시간을 100%로 하여 rest, 20%, 40%, 60%, 80%, max 등% control duration으로 분획한 후 각 시점에서 1분 환기량, 상시호흡량, 호흡수, 생리적 사강비율, 흡기책임비율 등의 지표를 양군 간에 비교하였다. 결 과 : 1분환기량과 상시호흡량의 안정시에서 최대운동시까지의 변화는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호흡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리적사강 비율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만성기도폐쇄군에서 그 감소가 유의하게 낮았다. 흡기책임비율은 정상대조군에서 $38.4{\pm}3.0%$에서 $48.6{\pm}4.5%$로 증가한 반면 만성기도폐쇄군에서는 $40.5{\pm}2.2%$에서 $42.6{\pm}3.5%$로 별 변화가 없어 양군간에 유의한 변화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흡기책임비율의 변화는 기도폐쇄정도 (FEV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0.8151, 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만성기도폐쇄 환자는 최대운동부하시 정상에서 관찰되는 흡기책임비율의 증가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는 기도폐쇄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기류제한 정도와 주관적 건강상태 (The Airflow Obstruc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Residing in the Community)

  • 송희영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38-47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flow obstruc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reported by stabl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residing in the community.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78 stable COPD patients aged 69.7 years old on average and selected by a convenient sampling from an outpatient department of pulmonology in tertiary hospitals. They completed a constructed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 history, dyspnea by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mMRC) scale, and health status by COPD assessment test (CA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body mass index (BMI) and pulse oxymetry for $O_2$ saturation (Sat $O_2$).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to obtain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including duration of the disease, cardiovascular comorbid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20.0. Results: Mean $FEV_1%$ and CAT scores were 55.11% and 17.73, respectively. Those in the lower stage of mMR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EV_1$ and lower CAT. $FEV_1$ and CA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ge and BMI with $FEV_1$, and Sat $O_2$ with CAT.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ss airway obstruction was, the better health status was, and provide the support for using subjective measures in clinical practices for COPD patients.

Body Plethysmograph를 이용한 Airway Resistance Curve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Airway Resistance Curve by the Body Plethysmograph)

  • 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2호
    • /
    • pp.218-225
    • /
    • 1995
  • 연구배경: 기도저항은 body plethysmograph를 이용하여 flow/alveolar pressure의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데, 기도저항이 정상인 경우 oscillooscope 상에서 얻어지는 resistance curve가 거의 linear 하나 증가된 경우에는 그 모양이 기울어지거나 loop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curve를 분석하여 환자의 임상평가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기도저항이 증가되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body plethysmograph에서 quiet breathing시에 얻어진 resistance curve의 형태를 분석하여 폐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1) Resistance curve는 type 1: linear, type 2: ovoid, type 3: sigmoid, type 4: scoop, type 5: paisley의 5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1예를 제외한 type 3과 type 4 및 5는 loop을 형성하였다. 2) Curve의 형태가 특정 질환에 특징적이지는 않았으나 급성질환은 주로 type 1, 및 2, 만성기류폐쇄는 주로 type 3, 4 및 5에 속하였으며, 기관지 천식이나 오래된 폐결핵은 그 정도에 따라 type 1 에서 5까지의 형태를 모두 보였다. 3) Type 1에서 type 5로 갈 수록, loop을 형성 할 수록 기도폐쇄가 심하고 기도저항이 증가되며 잔기량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기도저항을 측정할 경우 기도저항의 측정치 뿐 아니라 resistance curve를 분석하여 기도폐쇄와 air trapping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얻을수 있으며, resistance curve의 모양이 특정 질환에 특징적이지는 않았지만 호기시 loop이 형성되는 경우 심한 기도폐쇄를 시사하였다.

  • PDF

Clonal Hematopoiesis of Indeterminate Potential Is Associated with Current Smoking Status and History of Exacerb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Jung-Kyu Lee;Hongyul An;Youngil Koh;Chang-Hoon Le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7권3호
    • /
    • pp.309-318
    • /
    • 2024
  • Background: There is limited data regarding the clinical outcomes of clonal hematopoiesis of indeterminate potential (CHIP)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CHIP as a COPD biomark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with COPD who were enrolled prospectively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irway Registry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9 and underwent pulmonary function and blood tests. We evaluated the CHIP score according to smoking status and severity of airflow obstruction. Results: We analyzed next-generation sequencing data to detect CHIP in 125 patients with COPD. Current smokers had a higher prevalence of CHIP in combination of DNMT3A, TET2, and PPM1D (DTP), DNA methyltransferase 3 alpha (DNMT3A), and protein phosphatase, Mg2+/Mn2+ dependent 1D (PPM1D) genes than in never- or ex-smokers. CHIP of DTP and DNMT3A gen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urrent smokers (adjusted odds ratio [aOR], 2.80;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 to 7.79) (aOR, 4.03; 95% CI, 1.09 to 14.0).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airflow obstruction had a higher prevalence of CHIP in most of the explored genes than those with mild obstructio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IP in ASXL transcriptional regulator 1 (ASXL1) gen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story of mild, severe, and total acute exacerbation. Conclusion: Given that CHIP in specific gen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urrent smoking status and acute exacerbation, CHIP can be considered as a candidate biomarker for COPD patients.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기류제한 및 COPD 복합지수와 말초산소포화도의 연관성 (Association of Airflow Limitation and COPD Composite Index with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이종성;신재훈;백진이;손혜림;최병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7-66
    • /
    • 2024
  • Objectiv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airflow obstruction that is only partly reversible, inflammation in the airways, and systemic eff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low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levels (SpO2), and composite indices predicting death in male patients with (COPD). Method: A total of 140 participants with post-bronchodilator FEV1/FVC ratio less than 0.7 were included. Three composite indices (ADO, DOSE, BODEx) were calculated using six variables such as age (A), airflow obstruction (O), body mass index (B), dyspnea (D), exacerbation history (E or Ex), and smoking status (S). Severity of airflow limit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Global Initiative for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guidelines. SpO2 was measured by pulse oximetry, and anemia and iron deficiency were assessed based on blood hemoglobin levels and serum markers such as ferritin, transferrin saturation, or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Results: Participants with low SpO2 (<95%)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FEV1 predicted (p=0.020) and %FEV1/FVC ratio (p=0.002) compared to those with normal SpO2 levels. The mMRC dyspnea scale (p<0.001) and GOLD grade (p=0.002)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ow SpO2 group.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revealed higher area under the curve for %FEV1 (p=0.020), %FEV1/FVC(p=0.002), mMRC dyspnea scale (p=0.001), GOLD grade (p=0.010), ADO (p=0.004), DOSE (p=0.002), and BODEx (p=0.011) in the low SpO2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SpO2 levels are related to increased airflow limitation and the composite indices of COPD.

심한 만성기류폐쇄 환자의 Impairment/Disability 측정에 있어 폐기능검사 및 운동부하검사의 역할 (The role of the pulmonary function test and the exercise test for assessing impairment/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airflow obstruction)

  • 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77-387
    • /
    • 1996
  • 연구배경 : 폐기능의 경한 저하는 운동능력이나 작업능력을 제한 시키지 않지만 심한 폐기능 저하는 중요한 제한 요인이 된다.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폐기능의 감소를 impairment, 운동기능의 감소를 disability로 구분하였으며, 1986년 ATS에서 FVC가 50% 이하로 감소, FEV1이 40% 이하로 감소, FEV1/FVC가 40% 이하로 감소, 혹은 DLCO가 40% 이하로 감소된 경우, 또는 운동부하 검사에서 VO2max가 15 ml/Kg/min 이하이면 거의 모든 작업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심한 장애상태로 평가하였다. 이에 심한 기류폐쇄환자를 대상으로 impairment/disability를 평가하는데 있어 안정시 폐기능 검사와 운동부하검사의 역할 및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성한 만성기류폐쇄(CAO; chronic airflow obstruction) 환자 19예를 대상으로 안정시 spirometry와 body plethysmograph를 시행하였으며, cycle ergometer를 이용하여 증상제한적 최대 운동검사(symptom limited maximal exercise test)를 분당 5 - 10 watt 씩 증가시키면서 시행하였다. 환자를 안정시 폐기능검사 결과에 따라 FEV1이 40% 이하인 경우 severe impairment군, 이상인 경우 non-severe impairment 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1. Severe impairment 군은 non-severe impairment 군에 비하여 기도폐쇄 및 저산소증이 유의하게 심하였고, VO2max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운동수행상태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2. Severe impairment 군은 운동부하검사에서 환기제한장애(ventilatory limitation)를 보였으며, 운동제한 증상은 10예중 9예가 호흡곤란이었다. 3. 만성기류폐쇄 환자중에서 결핵 파괴성 폐질환 환자의 장애가 가장 심하였다. 4. 안정시 폐기능검사 결과 중에서 FEV1이 심한 장애를 결정하는 가장 유용한 지표였으며, VO2max와의 상관관계도 가장 컷다(r = 0.81, p < 0.001). 5. 안정시 폐기능검사에 의한 심한 폐기능장애(impairment by WHO)는 sensitivity 80%, specificity 89%로 심한 운동장애(disability by WHO)를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 : 심한 기류폐쇄환자에서는 안정시 폐기능검사 특히 FEV1으로 운동수행상태를 잘 예측할 수 있어,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하지 않고서도 안정시 폐기능검사인 폐기능 장애(impairment by WHO)에 따라 운동기능 장애(disability by WHO)를 충분히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henotypes and endotypes of severe asthma in children

  • Yoo, 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5호
    • /
    • pp.191-195
    • /
    • 2013
  • Severe childhood asthma is a complicated and heterogeneous disorder with distinct phenotypes. Children with severe asthma have more persistent symptoms despite receiving treatment, more atopy, greater airway obstruction, and more air trapping than those with mild-to-moderate asthma. They also have higher morbidity and substantial airflow limitations that persist throughout adulthood. Identification of the phenotype clusters and endotypes of severe asthma can allow further modulation of the natural history of severe asthma and may provide the pathophysiologic rationale for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Summary of Korean Asthma Guideline

  • Chin Kook Rhee;Ji-Yong Moon;Hyonsoo Joo;Ji Ye Jung;Jung-Kyu Lee;Kyung Hoon Min;Hyeon-Kyoung Koo;Seong Yong Lim;Hyoung Kyu Yoon;Sang Yeub Lee;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KATRD)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6권3호
    • /
    • pp.158-165
    • /
    • 2023
  • Asthma is a chronic inflammatory airway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variable airflow obstruction. The Korean Asthma Study Group of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has recently updated the Korean Asthma Guideline. This review summarizes the updated Korean Asthma Guideline. Asthma prevalence is increasing worldwide, and in Korea. Variable airflow obstruction can be confirmed by bronchodilator response or other tests, and should be established prior to the controller medication. A low-dose inhaled corticosteroid-formoterol is used to alleviate symptoms in all treatment step, and it can be used as a controller as well as reliever in steps 3-5. This approach is preferred, because it reduces the risk of severe exacerbations, compared to the use of short-acting β2-agonist as reliever. In severe asthma, phenotype/endotype based on the underlying inflammation should be evaluated. For type 2 severe asthma, the biologics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