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o-residue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2초

채소류 섭취에 따른 연령별 잔류농약 노출평가 (Dietary Exposure Assessment by Ages due to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 장미라;문현경;김태랑;육동현;김은희;홍채규;최채만;황인숙;김정헌;김무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7
    • /
    • 2012
  •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서울시민의 연령별 채소섭취량을 산정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지역에서 유통 중인 채소류에 대한 잔류 농약을 모니터링 하여 채소류섭취에 따른 연령별 농약성분의 노출량을 평가하였다. 서울시민에 대해 연령별 평균 채소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연령그룹 중 40~59세 그룹의 채소류 섭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5세 이하 그룹의 채소류 섭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채소류 섭취에 따른 연령별 잔류농약의 %ADI(Acceptable Daily Intake)는 모두 1 이하로 나타나 잔류농약으로 인한 위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 강남지역 채소류 경작지의 토양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Land from the Southern Area of Seoul)

  • 최채만;육동현;홍채규;김태랑;황영숙;황인숙;김정헌;김무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0-165
    • /
    • 2011
  • 본 연구는 강남일부(강남구, 강동구, 송파구)지역 시설재배지에서 시기별 잔류농약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6월까지 토양시료 60 점을 채취하여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을 다성분 동시 스크리닝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설재배지 잔류농약 조사결과, endosulfan 0.002-0.999 mg/kg, procymidone 0.002-1.200 mg/kg, diazinon 0.003-0.024 mg/kg, metalaxyl 0.012-0.075 mg/kg로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난 endosulfan을 대상으로 참나물, 상추에 대하여 흡수 이행 정도를 조사하였다. 강남구 지역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endosultan이 0.445 mg/kg로 잔류하였고, 이 토양에서 참나물을 60일 재배 후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한 결과 endosulfan 0.157 mg/kg로 잔류하여 토양 대비 참나물 중 endosulfan 이행률은 35.3%를 보였다. 또한 강동구 지역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endosulfan이 0.358 mg/kg로 잔류하였고, 이 토양에서 상추를 60일 재배 후 상추 중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한 결과 endosultan 0.004 mg/kg로 잔류하여 토양 대비 endosulfan 이행률은 1.1%를 보였다.

경기도내 유통 생즙 원료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for Raw Juice in Gyeonggi-Do, Korea)

  • 유경신;박포현;김기유;임부건;강민성;이유진;강충원;김윤호;이선영;서정화;박용배;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9-346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9월까지 생즙 원료 농산물 12품목 297건에 대한 잔류농약의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GC/ECD, GC/NPD, TOF/MS, LC/PDA, LC/FLD, LC/MSMS를 이용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220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검사결과 14건(4.7%)에서 9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클로로피리포스, 사이플루페나미드, 클로로탈로닐, 펜디메탈린, 아족시스트로빈, 피리달릴, 이마잘릴, 플루디옥소닐, 프로사이미돈이였으며, 검출된 농산물은 감귤, 당근, 사과, 셀러리, 치커리, 오렌지, 포도였다. 농약 검출량을 바탕으로 일일섭취추정량(EDI)과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하였으며, %ADI값의 범위는 0.0011~6.7087%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2013년 서울북부지역 유통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on Agricultural Products Marketed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in 2013)

  • 김남훈;이정숙;김욱희;최영희;한성희;김윤희;김희선;이새람;이정미;유인실;정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0-180
    • /
    • 2014
  • 2013년 서울 북부지역에서 유통되는 농산물 2,877건을 대상으로 285종의 동시분석 농약에 대한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385건 (13.4%)이었으며 잔류허용기준 이상으로 검출된 경우는 15건 (0.5%)이었다. 농산물 분류에 따라서는 엽경채류 23.4%, 박과이외 과채류 21.4%, 엽채류 11.8%의 순으로 검출률이 높았다. 개별 농산물 중에서는 돌나물 63.6%, 참나물 45.8%, 부추 44.5% 및 고추 30.8% 순이었다. 부추와 파는 부적합률이 높았던 농산물로 각각 5건, 4건이 부적합하였다. 2종 이상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된 농산물은 74건 (18.5%)으로 깻잎, 부추, 시금치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전체 45종의 검출농약을 용도별로 분류하면 살충제 22종, 살균제 21종, 제초제 및 생장조절제 각 1종이 검출되었으며 개별농약 중에서는 프로시미돈, 클로르훼나피르, 싸이퍼메쓰린 순으로 검출빈도가 높았다. 검출 농약에 대한 위해성 평가 결과 %ADI는 1.050~28.613% 이었으며 농산물 섭취에 따른 인체 위해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Expression of Codon Optimized β2-Adrenergic Receptor in Sf9 Insect Cells for Multianalyte Detection of β-Agonist Residues in Pork

  • Liu, Yuan;Wang, Jian;Liu, Yang;Yang, Liting;Zhu, Xuran;Wang, Wei;Zhang, Jiaxiao;Wei, 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470-1477
    • /
    • 2019
  • ${\beta}_2$-adrenergic receptor (${\beta}_2-AR$) was expressed efficiently using Bac-to-Bac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in Sf9 cells as a bio-recognition element for multianalyte screening of ${\beta}$-agonist residues in pork. Sf9 cells were selected as the expression system, and codon optimization of wild-type nucleic acid sequence and time-dependent screening of expression conditions were then carried out for enhancing expression level and biological activity. Under optimum conditions of multiplicity of infection (MOI) = 5 and 48 h post transfection, the protein yield was up to 1.23 mg/ml. After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ic techniques, th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 was applied to develop a direct competitive enzyme-linked receptor assay (ELRA) and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assay was determined. The IC50 values of clenbuterol, salbutamol, and ractopamine were 28.36, 50.70, and $59.57{\mu}g/l$, and clenbuterol showed 47.61% and 55.94% cross-reactivities with ractopamine and salbutamol, respectively. The limit of detection (LOD) was $3.2{\mu}g/l$ and the relevant recoveries in pork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73.0-91.2%, 69.4-84.6%, and 63.7-80.2%,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it had better performance compared with other present nonradioactive receptorbased assays, indicating that the genetically modified ${\beta}_2-AR$ would have great application potential in detection of ${\beta}$-agonist residues.

GC/NPD와 GC/ECD를 이용한 잔류농약 정량 분석법으로써의 QuEChERS의 평가 (Evaluation of QuEChER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Using GC/NPD and GC/ECD)

  • 조태희;박영혜;박혜원;황래홍;조인순;김민정;김현정;김무상;채영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5-71
    • /
    • 2013
  • GC-NPD와 GC-ECD를 사용하여 잔류농약을 신속하게 정량 할 수 있는 변형 된 QuEChERS법이 시금치를 이용하여 검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잔류농약 모니터링에서 주로 검출되며 GC로 측정 가능한 50가지 농약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농약 시금치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R2 값은 0.995 이상으로 모든 농약이 직선상을 나타내었다. 분석 농약의 검출한계는 0.001~0.1 ug/g로 나타났으며, 분석농약의 90% 이상이 0.05 ug/g 이하를 나타내었다. 정량한계는 0.001~0.32 ug/g로, 이는 농약의 잔류 허용기준치 보다 낮았다. Dichlorvos, propamocarb, chlorothalonil, dichlofluanid, cyhalothrin 그리고 fenvalerate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회수율은 80~120%, RSD는 20% 이하로 나타났다. QuEChers는 기존 다중분석법과 비교해볼 때 일상적인 분석 시료에 응용했을 때 용매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친환경적 일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며 분석시간의 단축을 통해 유통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온라인 판매 농산물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Sold via Online Websites)

  • 박덕웅;김애경;김태순;양용식;김광곤;장길식;하동룡;김은선;조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31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도 온라인으로 판매되고 있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와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총 124건의 농산물(엽채류 98건, 엽경채류 26건)을 2014년도 3월부터 8월까지 6차례 20곳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무작위로 수거 및 전처리 후 GC-ECD/NPD와 LC-MS/MS를 사용하여 208종의 농약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깻잎, 깻순, 부추, 쑥, 열무, 대파, 취나물 7종 11건(8.9%)의 농산물에서 11종의 농약 19건이 검출되었다. 농산물 중 2건(깻순, 쑥)에서는 잔류허용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의 EDI(Estimated daily intake)와 ADI(Acceptable daily intake)를 비교하여 안전성 평가를 시행한 결과 %ADI가 100%를 넘는 대상은 없었으나 클로로타로닐이 잔류허용기준치 이상 검출된 깻순에서는 95.7%의 결과를 보이는 등 안전성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국가 농산물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 정책 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서울시 유통 건조농산물 중의 농약잔류 실태 연구 (A Study of Current Status on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Dried Agricultural Products)

  • 김복순;박성규;김미선;조태희;한창호;조한빈;최병현;김성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4-121
    • /
    • 2007
  • 서울지역에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및 수입산 건조농산물 58건을 대상으로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에 따라 GC-NPD, $GC-{\mu}ECD$, HPLC-UV와 HPLC-FLD로 분석가능한 총 253종의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후 GC-MSD로 확인한 결과 총 14건의 건조농산물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24.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고, 이 중 건조 채소류의 검출률은 25.5%였다. 품목별 잔류농약의 검출률은 건조과채류, 건조엽채류, 건조엽경채류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건조 과채류 중 건조고추의 잔류농약 분포가 다양하고 검출빈도가 상당히 높았다. 건조 농산물의 기준에 없는 12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순으로 검출빈도가 높았고, 특히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중 cypermethrin의 검출 횟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대상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살선충제 순서로 검출건수가 많았다. 산지별로 보면, 국내산, 중국산 ,북한산, 미국산, 베트남산의 순서로 잔류농약의 검출건수가 많았으며, 국내산은 과채류에서 수입산은 엽경채류에서 잔류농약의 검출빈도가 높았다.

전국 하천수 중 잔류우려 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Concerned in Stream Water)

  • 황인성;오예진;권혜영;노진호;김단비;문병철;오민석;노현호;박상원;최근형;류송희;김병석;오경석;임치환;이효섭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3-184
    • /
    • 2019
  • 우리나라 주요 하천수의 사용 중인 농약의 실태조사를 위해서 전국 50지점을 선정 후, 1차 (농약 사용 비성수기, 4/5월)및 2차(농약 사용 성수기, 8/9월)로 나누어 실시를 하였다. 하천수 모니터링 결과 농약 1차, 2차 때 각각 11, 28개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농약은 7월부터 기온이 올라가면서 병 해충 방제를 위해 농약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2차시기에 농약검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검출빈도 10회 이상의 농약은 1차 시기에는 butachlor, carbofuran, 2차 시기에는 tricyclazole, azoxystrobin, chlorantraniliprole, thiamethoxam, isoprothiolane 5종이었다. 검출농약은 대부분 수도용 농약으로 검출비율은 90%, 81%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하천수 중 잔류농약은 논에서 사용된 농약이 비산되어 직접적으로 하천수로 잔류되기도 하며 또는 토양에 잔류된 농약이 논물을 방류하면서 하천수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네 개의 scenario를 이용하여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을 때, butachlor, carbofuran, carbendazim, chlorantranilprole 및 oxadiazon에서 잠재위해성 및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추후 모니터링 연구와 수서생물에 위해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 이하로 잔류할 수 있도록 농약안전사용기준 설정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